Giving to less fortunate became part of their lives
Published: 30 Dec. 2009, 21:32

Sean and Jeong Hye-young
The public took little notice, but that would soon change.
In 2007, instead of hosting the first birthday party for their first-born daughter, the couple gav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20 million won which was to be used for children of poorer families. And they did the same for their son’s first birthday the next year.
Royalties of 100 million won they received for their book, “I Love You More Today,” were used to establish a financial aid committee and another 100 million won from starring in a commercial to support Holt Children’s Service Inc. Recently, for founding a new center for patients of Lou Gehrig’s disease, they willingly donated another 100 million won.
During just five years of marriage, former Korean pop singer Sean (Noh Seung-hwan), 37, and his wife, renowned actress Jeong Hye-young, 36, are now symbols of noblesse oblige. “Since we started to share, more money came to us and with it came various organizations in need of that money. We began donations because we wanted to be happier,” the devout Christian couple told the JoongAng Ilbo. “We believe this path has been prepared for us to follow. Now, sharing our happiness is our cause.”
On the second day after their lavish wedding ceremony at luxurious Sheraton Grande Walkerhill Hotel, Sean suggested saving 10,000 won each day.
“Because our wedding ceremony was so very blessed, I wanted to share that bliss,” Sean said.
Although Jeong openly adopted her husband’s idea at first, she admits having felt unsure as her first daughter’s birthday came close and the amount rose.
“It would be a lie if I say I wasn’t worried about our financial situation at all,” she said. “I started thinking, ‘we don’t have our house yet’.”
One hand-written card, however, opened her heart.
“I received a card saying, ‘I love you, mommy’ from one Filipino kid I never met before,” she recalled. “The kid can now attend a kindergarten by only a few bills of 10,000 won I sent. I told Sean that purchase of our future home could wait,” said Jeong. The couple sends 45 million won monthly to Philippines.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anyone can start making contributions to the world at any moment with a very small compromise, Sean and Jeong had a rule to publicize the sources and reasons for donations. After their good deeds were announced, more people volunteered to join their fund raising.
When Sean recently declared he would participate in a 10k run for children suffering in poverty, about 100 sponsors showed up in only fifteen days.
More than 10 churches responded immediately to Sean’s request of support to establish a Lou Gehrig’s disease rest home.
Being famous celebrities, why does the couple not have any desire to flaunt their wealth or live more extravagantly?
“We do lead very nice lives. We wear nice clothes and eat nice meals,” the couple answered with a laugh.
“Don’t you agree that an aspiration to make donations comes only when one is happy? We share the amount of our overflowing abundance. As we said earlier, our future home can wait. We are happy without it right now.”
By Lee Hyun-taek [[email protected]]
Related Korean Article
2009년 ‘행복한 중독’에 빠진 사람들 그들에게 기부는 □□이다!
올겨울 추우신가요. 이분들과 만나면 조금 따뜻해지실 겁니다. 전주시 노송동 주민센터에 올해도 ‘얼굴 없는 천사’가 나타났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서울 흑석동의 한 할머니는 남을 돕기 위해 폐지를 줍고 계실 겁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식사 대신 기부 전화를 거는 여교수님도 있고요. 화려한 삶 대신 나누는 삶을 택한 연예인 부부도 있습니다. “기부를 끊을 수가 없다”는 기부 중독자들. 2009년 한국 사회에 온기를 전해준 이들에게 기부는 무엇일까요.
“넘치는 만큼만 나눠도 저희가 더 행복”
‘나눔 바이러스’ 퍼뜨리는 션·정혜영 부부 집 장만 미룬 채 인세·모델료·강연료 선뜻
처음엔 다들 반짝 이벤트라고 생각했다. 2005년 10월, 첫 결혼기념일에 그들이 매일 1만원씩 모은 것이라며 365만원을 ‘밥퍼 나눔운동’에 기부할 때만 해도 그랬다. 2007년엔 큰딸의 돌을 맞아 “돌잔치를 안 하기로 했다”며 2000만원을 서울대 어린이병원에 내놓았다. 가난한 아이의 수술비로 써 달라는 것이었다. 이듬해엔 아들의 돌을 맞아 또 2000만원을 기부했다. 부부가 쓴 책 『오늘 더 사랑해』의 인세 1억원은 장학재단 설립에 쓰였고, 부부가 찍은 광고 수익금 1억원은 최근 홀트아동복지회에 전달됐다. 최근엔 강연 수익료 1억원을 루게릭 환자인 농구인 박승일씨를 통해 요양소 건립금으로 내놓았다. 결혼한 지 불과 5년 만에 션(37)·정혜영(36) 부부는 기부문화의 상징 같은 존재가 됐다.
“나누기 시작하니까 더 많은 돈이 저희에게 들어왔어요. 그리고 그 돈이 들어올 때마다 돈을 기부할 곳들이 나타났죠. 저희가 더 행복하려고 시작한 기부이지만 사실은 누군가가 준비해 놓으신 거라고 생각합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이 부부는 “기부는 우리에게 소명”이라고 말한다.
한글 원문 기사 보기
2009년 ‘행복한 중독’에 빠진 사람들 그들에게 기부는 □□이다!
올겨울 추우신가요. 이분들과 만나면 조금 따뜻해지실 겁니다. 전주시 노송동 주민센터에 올해도 ‘얼굴 없는 천사’가 나타났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서울 흑석동의 한 할머니는 남을 돕기 위해 폐지를 줍고 계실 겁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식사 대신 기부 전화를 거는 여교수님도 있고요. 화려한 삶 대신 나누는 삶을 택한 연예인 부부도 있습니다. “기부를 끊을 수가 없다”는 기부 중독자들. 2009년 한국 사회에 온기를 전해준 이들에게 기부는 무엇일까요.
“넘치는 만큼만 나눠도 저희가 더 행복”
‘나눔 바이러스’ 퍼뜨리는 션·정혜영 부부 집 장만 미룬 채 인세·모델료·강연료 선뜻
처음엔 다들 반짝 이벤트라고 생각했다. 2005년 10월, 첫 결혼기념일에 그들이 매일 1만원씩 모은 것이라며 365만원을 ‘밥퍼 나눔운동’에 기부할 때만 해도 그랬다. 2007년엔 큰딸의 돌을 맞아 “돌잔치를 안 하기로 했다”며 2000만원을 서울대 어린이병원에 내놓았다. 가난한 아이의 수술비로 써 달라는 것이었다. 이듬해엔 아들의 돌을 맞아 또 2000만원을 기부했다. 부부가 쓴 책 『오늘 더 사랑해』의 인세 1억원은 장학재단 설립에 쓰였고, 부부가 찍은 광고 수익금 1억원은 최근 홀트아동복지회에 전달됐다. 최근엔 강연 수익료 1억원을 루게릭 환자인 농구인 박승일씨를 통해 요양소 건립금으로 내놓았다. 결혼한 지 불과 5년 만에 션(37)·정혜영(36) 부부는 기부문화의 상징 같은 존재가 됐다.
“나누기 시작하니까 더 많은 돈이 저희에게 들어왔어요. 그리고 그 돈이 들어올 때마다 돈을 기부할 곳들이 나타났죠. 저희가 더 행복하려고 시작한 기부이지만 사실은 누군가가 준비해 놓으신 거라고 생각합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이 부부는 “기부는 우리에게 소명”이라고 말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