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andmark of Christianity and freedom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 landmark of Christianity and freedom

테스트

Seungdong Church as it appears today. Above left: The church on Feb. 16, 1913. [JoongAng Ilbo]
승동교회의 현재모습. 승동교외희 1913년 2월 16일의 모습 [중앙일보]


Dating back to 1893, the Seungdong Presbyterian Church has been designated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30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 timeworn memorial to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welcomes visitors to the church, which 118 years ago was established under the name Gondanggol. It's the second-oldest Christian house of worship in Korea after Saemunan Church.

*timeworn : 오래된
*Tangible Cultural Property : 유형문화재

좁은 뜰에 서 있는 3·1운동 기념 표석이 역사탐방을 나온 시민들의 발길을 이끈다. 교회당 건물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0호다. 승동교회는 1893년 설립된 곤당골교회를 계승해 어언 118년의 역사를 지녔다. 새문안교회 다음으로 오래된 교회이다.

The church has a dramatic history. In 1892, a man named Park, who was a baekjeong, or “untouchable,” fell ill with typhoid fever. A doctor named Avison, who was working at Jaejungwon, Korea’s first hospital, visited him at home with Pastor Moore. As Avison was King Gojong’s personal doctor, his visiting a baekjeong’s house was a shock to Park, and it touched his heart. Back then, baekjeong weren’t allowed family registration and had to live in ghettos.

*typhoid : 장티푸스
*untouchable : 불가촉천민
이 교회는 드라마 같은 역사가 있다. 갑오개혁이 시작되기 한 해 전인 1893년, 관잣골(종로 관철동) 백정(白丁) 박가가 장티푸스에 걸려 앓아누웠다. 제중원 의사 에비슨이 무어 목사와 함께 왕진했다. 에비슨은 고종의 시의(侍醫)였다. 임금의 주치의가 천하디천한 백정을 찾아와 치료해 주다니. 박가의 가슴 깊은 곳에서 뜨거운 것이 올라왔다. 이름도 호적도 없고 거주지도 제한되는 천민 백정은 갓은 고사하고 상투조차 틀지 못했다.

Inspired by Avison’s kindness, Park started attending Gondanggol Church as soon as he recovered. This displeased the church’s noble yangban members. When Park was baptized shortly after, the yangban stormed out and formed their own church at one of the congregants’ home. They had no pastor or deacons.

*storm out : 난폭하게 뛰쳐나가다
*congregant : 집회 회중
*deacon : 집사

감화 받은 박가는 병석에서 일어나자 곤당골교회에 나오기 시작했다. 무어 목사로부터 세례까지 받았다. 백정이 감히 양반들과 한자리에서 예배를 보고 세례까지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파란이 일었다. 양반들은 당장 교회를 박차고 나갔다. 세례교인 20명 가운데 절반 넘는 교인이 가세했다. 그들은 광교 근처 어느 양반 집을 빌려서 예배를 보았다. 목회자도 없고 장로와 집사도 없는 평신도 중심의 임시교회였다.

Naturally, after that Gondanggol Church filled with baekjeong. Thanks to Park and Moore’s proselytizing, they had a registered congregation of 57. Park petitioned the government for the abolition of the caste system and for the rights of the baekjeong to wear traditional gat hats, previously limited by law to yangban. Surprisingly, the petition was granted. That was the beginning of the Gabo Reform of 1894. Baekjeong were said to be so happy they even wore the hats to bed. Witnessing the event, Moore wrote that he felt he understood how American slaves must have felt hearing Abraham Lincoln’s Emancipation Proclamation for the first time.

*proselytize : 개종하다
*petition : 청원하다

백정들이 중심이 된 곤당골교회는 박성춘과 무어 목사의 전도에 힘입어 세례교인이 57명으로 늘어난다. 박성춘은 조정에 신분을 철폐하고 백정도 갓을 쓸 수 있게 해달라고 청원한다. 그리고 마침내 뜻을 관철한다. 갑오개혁이 단행된 것이다. 박성춘을 비롯한 곤당골교회 백정들은 너무도 기쁜 나머지 밤에 잠잘 때도 갓을 벗지 않았다. 그 모습을 지켜본 무어는 “링컨 대통령의 노예해방선언을 들었던 흑인들도 갓을 쓸 수 있게 된 조선 백정들처럼 기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The end of the caste system is approaching,”Park wrote to the baekjeong who were living in the countryside. “This great blessing came from Gondanggol Church. Now, don’t become too excited and clash with yangban or commoners.” Moore joined in and wrote 360 copies of the declaration, which he had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at his own expense.

*declaration : 선언문

박성춘은 시골에 사는 백정들에게 편지를 냈다. ‘신분 해방의 날이 다가오고 있다. 이 위대한 축복이 곤당골교회로부터 왔다. 너무 기뻐하다가 양반들이나 평민들과 충돌하지 말라.’ 무어도 고무되어 전국 방방곡곡에 보낼 포고문 360장을 자비로 제작했다.

JoongAng Daily 8면 기사 Saturday April 24, 2010


반역 : 임승혜 중앙데일리 인턴기자 (estyle@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