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n power of bourgeoisie
Published: 12 Jul. 2010, 20:27
Here is a portrait of woman painted in the mid 19th century by the French artist Jean-Auguste-Dominique Ingres (1780~1867). Her Romantic-era dress, with tight waist and low shoulder line, is splendid with vary-colored flower patters. On her bodice and arms are jewels such as diamonds, amethysts, garnets and opals sparkling brightly. Her face is depicted in Classical way - with less individuality and with idealized ivory-like skin and big, round and dark eyes, whereas the texture of her skirt, decorative tassels on the bodice and sparkles of the jewels are depicted precisely in realistic way.
*splended : 화사한
*depict : 묘사하다
여기, 프랑스 화가 앵그르(1780~1867)가 19세기 중반에 그린 한 여인의 초상이 있다. 그녀가 입은 허리가 잘록하고 어깨가 파인 로맨틱 스타일 드레스는 색색의 꽃무늬로 화사하기 짝이 없고, 가슴과 손목에는 다이아몬드·자수정·석류석·오팔 등 다양한 보석이 찬란하게 빛나고 있다. 여인의 얼굴은 둥글고 검은 큰 눈에 상아처럼 매끈한 피부로 다소 개성 없이 고전주의적 정형으로 묘사된 반면, 드레스와 술의 촉감, 보석의 광택은 사실적으로 정밀하게 묘사돼 있다.
Not only what she wears but also the satin couch on which she sits and a Chinese jar behind her tells that she is wealthy. Then, what is her status? A duchess or a baroness? No, her name is Madame Moitessier without title of nobility. She was the daughter of a civil servant and the wife of the rich banker and lace merchant Sigisbert Moitessier. Accordingly, she did not belong to the nobility but belonged to the bourgeoisie.
*status : 지위
*civil servant : 공무원
이 여인이 걸친 것들뿐만 아니라 그녀가 앉은 공단 소파며 뒤에 놓인 중국산 도자기를 보면 부유한 사람임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이 여인은 어떤 신분일까? 공작 부인? 아니면 남작 부인? 아니, 그녀의 이름은 귀족 칭호가 없는 ‘마담 무아테시에’다. 그녀는 공무원의 딸이었으며, 은행가이자 레이스 거래업자인 무아테시에의 부인이었다. 따라서, 그녀는 귀족이 아닌 부르주아(Bourgeois) 계급, 즉 부르주아지(Bourgeoisie)인 것이다.
After the 1789 French revolution collapsed the Ancien regime, which was the feudal status system, the bourgeoisie, who had led the revolution, emerged as power of not only politics but also culture. The aristocratic class did not easily yield and attempted recovery of power during the dictatorship of Napoleon Bonaparte and the Bourbon Restoration era. Still, the power was tilting toward the bourgeoisie, who gained more economic power in the time of industrialization. The bourgeoisie’s grown power can be seen also on the fact the successful artists of the days, including Ingres, painted portraits for many people from the class.
*feudal status system : 봉건적 신분 체제
*aristocratic class : 귀족 계급
*tilt toward : ~으로 기울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으로 봉건적 신분 체제인 앙시앙 레짐이 무너진 후 혁명을 주도한 시민계급, 즉 부르주아지가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의 주요 세력으로 떠오르게 됐다. 귀족 계급은 쉽게 물러서지 않고 혁명 후에도 나폴레옹의 군사독재와 왕정 복고 와중에 세력 회복을 시도했지만, 대세는 산업화의 진행으로 더욱 경제력을 얻은 부르주아지에게 기울고 있었다. 이 변화는 앵그르 같은 당대의 잘나가는 화가들이 이 계급 사람들의 초상화를 많이 그린 것에서도 알 수 있다.
Of course, even before the 19th century, successful commoners such as rich merchants, would order portraits for them and their families to famous painters. However, at that time, they could not have such splendid appearances as the aristocratic-class people in their portraits unless they were granted a title of nobility or purchase one. In contrast, the bourgeoisie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France after the Revolution or in Britain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appear so much splendid as the dukes and duchesses in their portraits.
*commoners : 평민
*Industrial Revolution : 산업 혁명
물론 19세기 이전에도 부유한 상인 등 성공한 평민 계급이 유명한 화가에게 자신과 가족의 초상화를 주문하곤 했었다. 하지만 그들은 귀족 작위를 받거나 사들이기 전에는 결코 귀족처럼 화려한 모습으로 초상화에 나타날 수 없었다. 그러나 대혁명 이후의 프랑스나 산업혁명 와중의 영국 등에서는 ‘사장님, 사모님’이 백작 부인 못지않게 화려한 모습으로 초상화에 나타나는 것이다.
JoongAng Daily 7면 기사 Friday. July 9, 2010
번역 : 문소영 중앙데일리 문화생활스포츠 팀장 symoo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