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truly makes a humanities schola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What truly makes a humanities scholar?

This summer, I am working on a translation project that I had postponed because of other priorities. It is not easy to concentrate in the sizzling heat, but writing and translation are a job that requires a chunk of dedicated time, and summer vacation is the only time for professors to work on books. Whether a writer or a translator, anyone with the experience of publishing a book would understand the struggle. As you work on a manuscript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you often feel exhausted, even sick. The intensity of the work is no less, really, than physical labor.


But even after all that hard work, you cannot expect much reward.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still exclude writing books or doing translations from their achievement evaluation because they are not academic papers. It would be rewarding if a book were welcomed by readers, much less academia, but that’s not the case a lot of the time.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aid that Koreans read the least number of books per year, and many books are met with lukewarm reaction. Kim Yong-ok, a famous philosopher and prolific writer, confessed the struggle in his book, “Conversation.”


“This year [1990], I published seven books. Guess what the professors tell me when they see me. Knowing nothing about the publishing world, they say, ‘Hey, you must be making good money after you quit the university job. Every book will bring in a lot of cash! However, if a humanities book sells 10,000 copies, it’s a best-seller. It is quite a disappointing figure. If you sell 10,000 copies of a book priced at $4 and get a royalty of 10 percent, the total income from the book is $4,000. If I write five best-selling books a year, my income would be $20,000. It is not even close to what a lazy professor receives as a salary. My shoulders are aching from too much writing.”


You might have sold, say, 10,000 copies in 1990, but the market is even grimmer today. Until the late 90s, you might get 2,000 to 3,000 copies printed of the first edition for a humanities book. Lately, it’s been more like just 500 to 1,000 copies. When you print 1,000 copies of a book priced at $20, your royalty would be $2,000. The reading population is shrinking constantly. So you are better off, financially, using the time to write a paper rather than a book. If you are lucky, a paper could lead to a research fund of $20,000. The time and effort needed to write a book can produce the equivalence of five to six papers, so it is understandable that many professors dedicate themselves to academic publications.


Scholars of liberal arts make the extra effort to write books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true mission of the humanities is communication. These scholars say a paper would be read by only a handful of other academics in the review committee. The public is not likely to read the papers, which are often challenging even to the experts. So the only point of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s a book. However, most professors are confined to the ivory tower and do not make the effort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side from a few professors with awareness, many do not even feel the need for communication with readers.


So, countless professors finish their tenures without publishing a single book after spending their whole lives in liberal arts. Can you really call them scholars of humanities? They are better named “technicians” since they neglect the “road not taken” and only do what the system allows them. To these professors, the crisis of liberal arts only means a threat to their job security. To the scholars of humanities, academic papers are a necessary condition, not a sufficient condition. The format of a paper itself is influenced by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natural sciences; we need to examine the prospect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llipsis-



올 여름은 출판사와 계약만 해놓고 다른 일 때문에 미뤘던 번역 작업을 하는 중이다. 연일 푹푹 찌는 날씨가 원망스럽지만, 뭉텅이 시간이 필요한 저술·번역 작업은 방학밖에는 시간이 없다. 저서든 번역이든 책 만들기의 어려움은 출판 쪽을 경험해본 사람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장시간 원고에 매달리다 보면 몸에 무리가 오기 일쑤다. 노동 강도가 거짓말 안 보태고 ‘노가다’ 수준이다.

힘들여 책을 써도 보상은 신통치 않다. 많은 대학들은 여전히 저서나 번역서를 논문이 아니라는 이유로 업적 평가에서 제외한다. 독자들이 책을 찾아주면 좋겠지만 그도 여의치 않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독서율 꼴찌 수준인 우리 국민의 반응은 시들하다. 도올 김용옥 선생이 『대화』에서 털어놓은 글쟁이의 신세타령이 뼈에 사무친다.

“저는 올해(1990년) 일곱 권의 책을 출간했습니다. 그런데 제 주변의 아무 것도 모르는 교수들이 절 만나면 뭐라 하는지 아십니까? ‘야, 넌 교수 때려치우더니 돈 벌었더구나. 책 내기만 하면 얼마나 돈이 쏟아지겠니?’ 그러나 인문서적의 베스트셀러라는 것은 히트 쳐야 1만 권이면 주저앉습니다. 참 실망스럽지요. 사천 원짜리 책 1만 권이면 그 10% 인세가 4백만 원입니다. 이렇게 따지면 1년에 5권의 베스트셀러를 내도 제 수익은 2천만 원, 팽팽 놀아 처먹는 교수들 1년 월급도 되질 않습니다. 제 어깨는 떨어져 나갑니다.”

그나마 1990년이니 1만권이지 요즘 사정은 더욱 나쁘다. 90년대 후반만 해도 인문서 초판을 2, 3000권도 찍었는데 요즘은 500권, 1000권이 고작이다. 정가 2만 원짜리 책을 1000권 찍어봤자 인세수입은 2백만 원이다. 독서 인구는 끝없이 줄어들고 있다. 그러니 책 쓸 시간에 논문을 쓰는 게 훨씬 유리하다. 잘만 하면 논문 한 편에 연구비를 2000만 원도 받을 수 있고, 책 한 권 쓸 시간과 노력이면 논문 5, 6편은 쓸 수 있으니 교수들이 논문에만 매달리는 것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인문학자가 굳이 힘들여 책을 쓰는 이유는 인문학의 본령이 ‘소통’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논문 한편 써봐야 독자는 학술지 심사위원 두어 명뿐이라고 자조적으로 말하곤 한다. 전문가에게도 어려운 글이 대중에게 읽힐 리 없다. 결국 인문학자가 대중과 만날 수 있는 소통의 지점은 ‘책’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다수 교수들은 상아탑 안에 숨어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 아니, 일부 뜻 있는 교수들을 제외하면 소통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문제의식조차 없다. 제도가 그러니 어쩔 수 없다는 식이다.

그러니 평생 인문학 교수 했다면서 대중과 소통 가능한 저서 한 권 없이 정년을 맞이하는 사람이 부지기수다. 이들을 인문학자라고 할 수 있을까. 일생 ‘가지 않은 길’을 외면하고 틀 속에 갇혀 제도가 시키는 일만 한다는 점에서 ‘인문 기능인’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이들에게 인문학 위기는 인문학 교수의 밥그릇 위기일 뿐이다. 인문학 위기 담론이 무성해지면 위기 극복을 위한 논문 쓰겠다며 연구비를 신청하는 난센스가 연출된다. 인문학자에게 논문은 필요조건이지만 그렇다고 충분조건은 아니다. 논문이란 형식 자체가 자연과학 방법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문학의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는 점도 성찰해야 한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