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Korea ‘stay hung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Can Korea ‘stay hungry’?

The world continues to heap praise on Korea’s economy. U.S. President Barack Obama and the global media have continuously sent letters of praise. Korea has captured the world’s attention for its economy for the first time. But we can’t be entirely comfortable with such praise, because we know our capabilities and fragilities perfectly well. Household debt has reached 800 trillion won ($714 billion), while public debt is nearing 600 trillion won. The worsening polarization in the political sphere obstructs some paths to progress, not to mention the astronomical projection of the possible cost of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n the future.

While there are so many things to spend money on, there are only a few sources of revenue. The domestic market has weakened, while the export market, responsible for over 40 percent of our GDP, is in a long-term recession and faces the threat of a global war over currency values. It truly feels like walking on thin ice. What’s even more worrisome is the disaster dubbed “age-quake,” or our rapidly aging society. Korea’s demographics are aging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and that presents fundamental problems to the country and its economy. One of our main economic engines, a young workforce, will disappear and the conflicts and friction between generations will grow rapidly.

As every company has a life cycle, a country’s economy does, too. An economy begins from a seed, which germinates, grows, matures and eventually withers. The 1960s was the period of germination and growth for the Korean economy. During that period, an economy is defiant and flexible, and that’s what we were at the time. We all rose to the spirit of challenges, and that allowed us to create the so-called miracle on the Han. Flexibility was also another capability. Numerous challenges, such as oil shocks, foreign exchange crises and financial crises, came before us — but we always used them as opportunities to grow. Dynamic flexibility is our most precious and proud asset. Korean companies were able to surpass their Japanese rivals because they had the ability to transform — like chameleons — which the Japanese had a hard time comprehending.

Our aging society will see that ability disappear. What’s most lethal to the economy is not the aging population, but the aging of Koreans’ spirits. We will lose the spirit of daring and challenge and only try to protect what we currently have.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should be imbued with the spirit of challenge, is losing its dreams. Although the time has inevitably come in which people’s interests are more diversified than in the past, and career advancement isn’t guaranteed by hard work, youngsters must have dreams. When they lose their dreams, they will have no future. And ultimately, the nation will have no future. The older generation is responsible for the situation. Parents have taken the safe path, rather than taking risks. Schools have drained youngsters’ imaginations by forcing them to learn through rote memorization. And society has shown youngsters an uncertain future, forcing them to avoid having children of their own. It is time to give dreams back to the youth. Education reform should be focused on helping students dream again. Programs to allow them to work for their dreams must be reinforced. Pride for Korea’s history and culture should be emphasized so that the youth can dream about a better country and society. Our civilization may be old, but our energy can stay young in that way.

-ellipsis-



한국 경제에 대한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그렇고, 세계 언론도 그렇다. 아마 우리 역사에서 이만큼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때도 없었을 것 같다. 그러나 그 찬사에 그렇게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은 우리 스스로 자신의 역량을 알기 때문이다. 800조원에 달한 가계부채, 600조원에 달한다는 공적부채, 깊어만 가는 양극화가 우리의 앞길을 막고 있다. 거기다 천문학적 숫자일 것이라는 통일비용까지.

이렇게 돈 쓸 곳은 넘쳐나는데, 정작 돈을 벌 곳은 마땅치 않다. 내수시장은 점점 약화되고, GDP의 40%이상을 만들어내는 수출시장 또한 장기침체와 환율전쟁의 위협 속에 있다. 실로 얇은 얼음 위를 걷는 여리박빙(如履薄氷)의 상황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무서운 것은 인구지진(agequake), 즉 고령화 현상이다. 고령화는 경제의 구조적 노후화를 의미한다. 우리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빠르다는 의미는 그만큼 성장의 이익보다 분배의 비용이 빨리 커지고, 경제동력이 빨리 사라지고, 세대간 마찰과 갈등이 빨리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에 수명 주기가 있듯이 한 나라의 경제에도 수명주기(life cycle)가 있다. 발아기를 거쳐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는 것이다. 우리 경제의 지난 60년은 발아기와 성장기였다. 이 시기의 특징은 도전적이고 유연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바로 그랬다. 모두에 나름대로 도전정신이 있었고 그것이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내었다. 유연성 또한 우리가 보여준 하나의 차별 역량이었다. 오일쇼크,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고비고비 부딪혀야 했던 숫한 도전들을 항상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은 역동적 유연성이야말로 우리가 자랑할 수 있는 자산이다. 후발주자인 한국기업이 선발주자인 일본기업을 넘볼 수 있게 된 것도 일본인으로선 이해할 수 없는 이 카멜레온 같은 변신능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고령화는 바로 이런 우리의 역량이 급속히 사라짐을 의미한다. 그러나 연령적 고령화보다 경제에 더 치명적인 것은 정신적 조로(早老)화다. 도전정신이 사라지고, 가진 것을 지키려고만 하는 것이 작금의 우리 모습은 아닌가? 특히 도전정신이 넘쳐흘러야 할 젊은 세대들이 꿈을 잃고 있다. 아무리 개천에서 용 나기 어렵고 관심이 파편화되는 개성시대라 하지만, 젊은이들에게는 꿈이 있어야 한다. 꿈을 잃으면 자신의 미래, 나라의 미래도 없는 것이다. 그들을 그렇게 몰아간 것은 바로 우리 기성세대들이다. 도전의 위험보다 안전한 편승의 길을 권유한 것은 부모요, 암기식 교육으로 신밧드의 모험세계에 대한 상상력을 빼앗아 간 것은 학교요, 출산을 기피하도록 불안한 미래를 보여준 것은 사회이다. 이제 그들이 다시 꿈을 갖도록 만들어야 한다. 교육개혁도 그들이 꿈을 갖게 하는데 맞춰져야 한다. 꿈을 도전하고 시험하는 프로그램들이 강화되어야 한다. 역사와 문화에 대한 긍지도 높여 국가와 사회에 대한 꿈을 다시 꾸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사회는 늙어도 그 에너지는 젊을 수 있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