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y, and pain, of being singl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joy, and pain, of being single


People have long enjoyed the single life, even in the era of Augustus, the first emperor of the Roman Empire. Worried that the number of Roman citizens, on whose shoulders the future of Rome depended, would decrease, the emperor took action. There were two laws enacted in 18 B.C. - one that regulated matters related to adultery and extramarital affairs, and another that protected marriage. According to “Stories of the Romans” by Nanami Shiono, the point of the laws was to disadvantage single people.

The laws stipulated that if they were not married, men between the age of 25 and 60 and women between 20 and 50 would suffer disadvantages with regard to property. A widow without children had to remarry within a year after divorce. If not, she was considered to be a single person. Single women over the age of 50 were deprived of the right to inherit any property. If they inherited property that exceeded 50,000 sesterces in value they had to hand it over to someone else. In addition, single women younger than 50 had to pay 1 percent of their income as tax until they got married.

In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single people has long been on the rise. Even if Augustus came back to life, he would find it hard to put a stop to it.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New York City, a paradise for singles, was 48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as of last year. And European countries such as Norway, Germany, France and Great Britain are called “bachelor states” because about 40 percent of their populations consist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Japan, the ratio tops 42 percent.

Korea is no exception. According to a survey by Statistics Korea on population and housing in 2010, there are 4.03 million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or 23.3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t’s a dramatic increase given that the rate was only 4 percent in 1975, when the first official survey on single-person households was conducted. The structure of families is changing rapidly because people are marrying at a later age (or not marrying at all), divorce rates are increasing, and we are fast becoming an aging society.

It is especially problematic because two-thirds of one-person households belong to the lower clas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has already surpassed 1 million, and about half of them are unemployed. Although we may not be like family, these people desperately need the warm attention of our society.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분수대] 나 홀로 가구


로마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도 독신(獨身) 풍조가 만만찮았던 모양이다. 로마를 짊어질 시민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아우구스투스는 대책을 내놓는다. 기원전18년 제정된 두 개의 법률, ‘간통과 혼외정사에 관한 율리우스법’과 ‘정식 혼인에 관한 율리우스법’이 그것이다. 시오노 나나미가 『로마인 이야기』에서 묘사한 법률의 핵심 내용은 ‘독신의 불이익’이다.

25세부터 60세까지의 남자와 20세부터 50세까지의 여자는 결혼하지 않으면 재산상의 불이익을 당하도록 했다. 과부도 자녀가 없으면 1년 안에 재혼해야 하고 그렇게 못할 경우 독신으로 간주됐다. 독신 여성은 50세가 넘으면 어떤 상속권도 인정받지 못했다. 오히려 일정 규모(5만 세스테르티우스) 이상의 재산은 몰수돼 다른 사람에게 양도됐다. 50세 이전이라도 결혼할 때까진 해마다 수입의 1%를 국가에 내도록 했다. 독신세를 물렸던 셈이다. 원로원 의석을 얻거나 선거를 통해 공직에 진출할 때도 독신자는 기혼자에게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음은 물론이다.

현대 사회에서 독신 인구 증가는 시대적 트렌드가 된지 오래다. 아우구스투스가 환생한다고 한들 손써 볼 방도를 찾기 어려울 게다. ‘독신자들의 천국’으로 불리는 미국 뉴욕 맨해튼의 ‘1인 가구’ 혹은 ‘나 홀로 가구’는 지난해 기준 48%에 이를 정도다. 노르웨이·독일·프랑스·영국 등 유럽 국가들도 40% 정도로 가위 ‘독신자들의 나라’라고 할 만하다. 이웃 일본만 해도 동경의 경우 나 홀로 가구가 42%를 넘는다. 혼자 사는 것이 더 이상 특별하지 않은 세상이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통계청이 그제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 잠정집계’ 에 따르면 나 홀로 가구가 403만여 곳이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3.3%로, 네 가구 중 한 곳은 나 홀로 가구란 얘기다. 1인 가구 수 통계를 처음 시작한 1975년의 나 홀로 가구 비율이 불과 4%였던 점을 감안하면 비약적 증가다. 만혼(晩婚)·비혼(非婚) 확산과 이혼율 증가, 고령화로 인해 가족형태가 급변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나 홀로 가구 세 곳 중 두 곳이 사회적 약자인 빈곤층이란 점이다. 독거노인이 100만명을 넘고, 마땅한 직업이 없는 나 홀로 가구도 절반에 달한다고 한다. 경제적 어려움에 외로움까지 그들이 겪을 고충이 여간 아닐 터다. 가족 품만은 못해도 사회의 따뜻한 관심이 절실하다.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