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ting military incentiv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visiting military incentive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ill push ahead with a plan to give men who have completed their mandatory military service a boost when they apply for government jobs. The proposed policy is based on the idea that those who complete their military service should receive some compensation. Such a policy existed before, but it was repealed in a 1999 Constitutional Court ruling that said it went against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2008, the National Assembly’s National Defense Committee passed a bill that would give soldiers a bonus of 2.5 percent when they take examinations for government jobs, down from the 3 to 5 percent in the earlier plan. However, the bill is still pending amid fierce opposition from civic groups, including women’s rights organizations.

A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modernization of the military recommended passing the bill last year and the Defense Ministry wanted to push it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in six months.

But the bill is likely to become a political hot potato because of resistance from civic groups that are vehemently opposed to the idea because they say it discriminates against women and the disabled. But things seem to have changed a lot since 1999. Lee Seog-yeon, former Minister of Government Legislation, said at a debate two years ago that the policy would not violate the Constitution if the bonus is about 1 percent, rather than 2.5 percent, adding that the number of women passing state examinations had risen sharply compared to men. Lee was the one who won the 1999 legal battle over the constitutionality of giving advantages to those who served in the military.

But the need to encourage young men to serve in the military has become more urgent than ever. Children of the privileged class often find ways to dodge the draft, but regular people are now following suit.

Furthermore, rapid changes in the nation’s demographics are making it very difficult to maintain the Army’s current size through 2020, even if the current service period is extended from 22 to 24 months.

Undoubtedly, our national security will be weakened. Although advocacy groups conte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find other ways to compensate soldiers for their service, instead of giving them bonus points on civil service exams, it will be difficult to find realistic alternatives. The government to must revisit this issue and settle the controversy for good.

‘군가산점제’ 부활, 공감대부터 넓혀야

국방부가 군 복무를 마친 사람들에게 공무원 채용시험 등에서 가산점(加算點)을 주는 제도 부활을 본격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도는 1999년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해 폐지된 것이다. 그러나 사회 진출을 앞둔 시기에 군복무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당하는 것을 어떤 방식으로든 보상해줘야 한다는 주장은 여전히 강하게 대두돼 왔다.
이에 따라 국회는 2008년 가산점을 2.5% 이내로 규정하는 등 예전에 비해 혜택의 폭을 크게 줄이는 내용의 병역법 개정안을 국방위원회에서 통과시킨 바 있다. 그러나 여성계 등의 반대로 최종적으로 법안이 확정되지 못한 상태다. 국방부는 지난 연말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와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에서 재도입을 강력히 추천한 것을 계기로 올 상반기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여성계 등은 ‘군가산점제’가 여성이나 장애인 등에 대한 역차별 효과가 크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그러나 1999년과 지금은 여건이 많이 달라졌다. 이와 관련 이석연 법제처장은 2년전 한 토론회에서 공직시험에서 여성 합격자 비율이 크게 늘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가산점이 2.5%가 아니라 1% 범위라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1%든 2.5%든 적절한 선에 국민 다수가 합의할 수 있다면 위헌 논란을 피할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이 법제처장은 1999년 위헌 판결을 끌어낸 담당 변호사다.
군복무를 장려해야 할 필요성은 갈수록 절실해지고 있다. 사회지도층 자녀들의 군복무 기피 현상이 자주 사회문제가 됨에 따라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도 온갖 편법으로 군복무를 기피하려는 경향이 짙어져 왔다. 이에 더해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육군 사병 기준 24개월의 군복무기간을 적용하더라도 2020년대엔 우리 군의 병력 규모를 지탱하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국가안보의 기반이 취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여성계 등은 가산점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군복무를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인 대안을 찾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논란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군가산점제’ 부활을 적극 검토할 때가 됐다고 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