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ping suicidal tendenci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opping suicidal tendencies



Cornell University, the elite Ivy League school in Ithaca, New York, is gaining a reputation for something other than the quality of its academic programs: suicide. The school records an above-average suicide rate every year, with an alarming number of stressed-out students jumping from the bridge across the gorge that runs through campus. As a result, the school has been reinforcing counseling and mental therapy services to help reverse the trend, yet the suicides continue.

After three successive suicides last spring, the university’s president, David Skorton, directly addressed the situation in an official statement to students. “Your well-being is the foundation on which your success is built ... If you learn anything at Cornell, please learn to ask for help,” Skorton said in the message.

Student suicides are not just a problem at Cornell. Most other Ivy League institutions also grapple with the same problem. School admissions officers now look at strength of character as well as academic records when accepting students.

The rash of suicides has spread to Korean university campuses as well. Students attending elite schools are under great stress tied to high expectations from their family and society and heated competition. But they often have nowhere to turn to talk about their problems.

The freshman at the elite science and technology academy Kaist who recently committed suicide excelled in robot technology. He even attended an engineering high school to focus his studies in the robot arena and was admitted to the prestigious university in part because of his impressive track record in robot competitions.

But unlike his peers, who received a more formal education as well as language tutoring, he fared poorly in courses taught in English as well as advanced math classes such as calculus. The student struggled to keep up with his peers and felt that should he fail, it would reflect poorly on other students at vocational schools such as the one he attended.

He could have been saved if the school and his peers had been more understanding and supportive. Universities, it’s clear, must put more resources into providing guidance so that promising students don’t give up on life if they stumble. Professors and experts should also help vulnerable students adapt better to school life.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off to a good start, offering around-the-clock phone counseling. Other schools should follow in its footsteps to put an end to this disturbing and heartbreaking trend.


[사설] ‘로봇 영재’를 죽음으로 내몬 교육환경

미국 명문 코넬대는 ‘자살 학교’라는 달갑지 않은 별칭을 갖고 있다. 해마다 적잖은 학생들이 학업 스트레스를 못 이겨 캠퍼스 내 다리 위에서 계곡으로 몸을 던지기 때문이다. 학교 측이 상담센터를 확대 운영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역부족이다. 지난해 3월 한 달새 세 명이 잇따라 자살하자 데이빗 스코튼 총장이 학교 신문을 통해 “여러분의 건강이야말로 성공의 초석이다. 코넬에서 도움을 청하는 법을 꼭 배우길 바란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대학생들의 자살은 이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다. 여타 아이비리그 학생들 중에도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빈번하다. 그래서 이들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은 우수한 성적뿐 아니라 성숙한 인격,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의지를 갖춘 학생을 골라 뽑으려 애쓴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학업과 취업 스트레스가 갈수록 심해지며 우울증이나 자살 충동에 시달리는 대학생들이 늘고 있다. 특히 명문대 학생들일수록 주변의 높은 기대와 치열한 경쟁으로 큰 스트레스를 받지만 주변에 맘 편히 털어놓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로봇 영재’로 주목 받다 KAIST에 입학한 지 1년 만에 자살한 조모 군도 그런 경우다. 어릴 때부터 로봇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 전문계고 출신임에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발탁됐던 그다. 하지만 과학고 출신 학생들과 달리 영어로 실시되는 수업을 힘겨워했고, “내가 적응에 실패하면 전문계고 후배들의 KAIST 입학이 힘들어질 것”이라며 부담감을 느꼈다고 한다.
주변에 어려움을 알리고 적절한 도움을 받았다면 결코 벌어지지 않았을 비극이다. 전도유망한 젊은 인재들이 한 때의 난관으로 아까운 목숨을 버리는 일이 없도록 대학들은 학생 지도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교수와 전문가들이 합력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위기 학생들에게 미리미리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온•오프라인 상담은 물론 2008년부터 24시간 상담전화 ‘스누콜’을 운영하는 서울대의 경우를 참고하자. 이와 함께 애초에 무리한 선발이 비극을 불렀다는 지적도 있는 만큼 KAIST는 입시 제도상의 문제점은 없는지 면밀히 검토하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