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s and friends we may have forgotten
A mung bean pancake, or bindaetteok, is the most popular food choice for Koreans short on cash. A popular s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itled “Bindaetteok Gentleman” goes: “If you don’t have money, just go home and fix yourself a mung bean pancake instead of visiting fancy restaurants and bars.”
Poet Seo Cheon-wu’s poem “Bindaetteok” has a similar sentiment: “If you have money and look good, have fun at a night club/ If you don’t have money and aren’t confident about your looks, don’t ruin the mood at trendy clubs/ Just go home and fix yourself a mung bean pancake.”
Bindaetteok originated from rice cakes, as recorded in Joseon Dynasty documents. The pancake appears in the “Joseon Cuisine Cookbook” from 1924. But bindaetteok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s “binjatteok,” or “the rice cake of the poor.” That’s why some claim that bindaetteok is traditionally considered a humble, inexpensive food.
Whenever a famine hi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ung bean rice cake was a means of charity. Refugees from the eight provinces around the country would move to the capital and homeless refugees living outside of the East and South gates were given a binjatteok ration. Rich families would deliver mung bean rice cakes in a cart and distribute the food to help the poor. Even today, the mung bean pancake is still a favorite of the common folk. President Roh Tae-woo, who promoted himself as an ordinary man, offered mung bean pancakes at a reception celebrating his election victory.
Recently, mung bean pancakes received a rave review from a foreign journalist. Tyler Brule, publisher and editor-in-chief of the global culture and style magazine Monocle, wrote in his latest column for the Financial Times that bindaetteok is one of the 10 cultural products Korea should consider exporting. He claimed that the savory pancakes “have all the elements needed to become a global fast-food favorite.” Brule is a global trendsetter, so his praise is reliable.
However, we may need to give bindaetteok a fresh glance because it has become so common. After all, the mung bean pancake is not the only thing we may have overlooked just because we are used to it. Maybe we should all take a moment to think about the truly valuable people in our lives that we have neglected just because they are so close.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빈대떡
‘돈 없을 땐 빈대떡’이란 인식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가 보다. 일제 강점기에 나온 가요 ‘빈대떡 신사’에선 요릿집·기생집 기웃거리다 매 맞느니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다. 근래엔 요릿집·기생집 대목이 호텔나이트와 강남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가진 거 있고/ 생긴 거 괜찮으면/ 호텔나이트 가서 놀고/
<中略>
/ 가진 거 없고/ 생긴 것도 안 되면/ 괜히 락카페 가서/ 물 흐리지 말고/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어’(서천우, ‘빈대떡’).
빈대떡의 조상은 조선시대의 병자(餠煮)·녹두병(綠豆餠)(『영접도감의궤』)이나 빙자떡(『규합총서』)쯤 된다. 1924년 나온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와서야 빈대떡이란 말이 보인다. 그런데 병기(竝記)된 한자어가 ‘빈자병(貧者餠)’이다. 한자어 빈자병이 빈대떡으로 발음된 셈이다. 빈대떡이란 말이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음식이었던 ‘빈자(貧者)떡’에서 유래했다는 설(說)이 있는 이유다.
조선시대 흉년이 들면 팔도의 유민(流民)이 한양 도성으로 몰려들었다. 동대문과 남대문 밖에서 노숙하는 이들 유민을 굶주리지 않게 한 게 ‘빈자떡 급식’이다. 부잣집에서 달구지에 빈자떡을 싣고 와 “아무개 댁의 적선이오”라며 나눠준 것이다. 빈자떡, 즉 빈대떡이 빈자공덕(貧者功德)의 수단이었던 셈이다. 이 정도까진 아니더라도 여전히 빈대떡은 ‘서민과 친숙한 음식’ ‘보통사람 음식’인 것만은 분명하다. 오죽하면 ‘보통사람’을 표방한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의 축하 리셉션에서 내놓은 음식이 빈대떡이었을까.
이런 빈대떡이 외국인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글로벌 문화·스타일 매거진 ‘모노클(Monocle)’의 발행인 겸 편집장인 타일러브륄레가 최근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에 쓴 칼럼에서다. 해외에 수출해야 할 한국의 문화상품 열 가지 중 하나로 빈대떡을 꼽은 것이다. 빈대떡이 세계 패스트푸드계에서 최고 상품으로 떠오를 수 있단다. 세계적 ‘트렌드 세터(Trend setter·유행 선도자)’의 말이니 허튼 말만은 아닐 터다. 너무나 익숙해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빈대떡, 이제 눈 씻고 다시 봐야 하려나.
하기야 어디 빈대떡뿐이랴. 가까이 있는 사람을 익숙하다는 이유로 소홀히 대하곤 하는 게 사람살이의 한 모습이다. 소중히 여겨야 할 터인데 ‘빈대떡’ 대하듯 하는 사람 없는지 주위를 돌아볼 일이다. 빈대떡도 바다 건너가 ‘녹두·김치 팬케이크’로 화려한 변신을 할 수 있다는데….
김남중 논설위원
中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