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its of reporting for citizens’ panel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erits of reporting for citizens’ panel



The classic film “12 Angry Men” is about the irrationality of the jury system. At a glance, it may look like just another black and white movie from the 50s, but it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movies ever made for good reason.

The plot tells the story of a boy charged with murdering his father and a juror who proves his innocence. The audience witnesses how irresponsible, biased and incurious jurors can be.

The shortcomings of the jury system are almost inherent. Ignorant jurors of Athens found a great philosopher guilty and sentenced him to death.

During the American Civil War, sheriffs and judges would pick jurors at their discretion. Relatives of the accused often sat as jurors, and when drunkards who had been chosen as jurors did not appear, anyone would be grabbed off the street to fill in.

American football legend O.J. Simpson was tried for murdering his ex-wife and Ron Goldman in 1995, and despite convincing evidence, he was found not guilty. Some blamed the acquittal on the emotions of jurors.

Nevertheless, the jury remains as an important element in any justice system. Two years ago, the jury system was adopted in Japan, where jury elitism prevails.

The jury system is the global trend. The unanimous opinion of citizens with common sense has more wisdom and justice than the judgment of a few elite judges.

It was a prosecution panel made up of civilian representatives that brought Ichiro Ozawa, one of Japan’s most influential politicians, to trial.

Reporting for jury duty can be annoying. You have to take a few days off from work, no matter how busy you are.

Some Korean-Americans say they hold on to permanent resident status, opting not to obtain U.S. citizenship, just to avoid being summoned as jurors.

Recently, U.S. Vice President Joe Biden was selected as a juror and summoned to a court 180 kilometers (112 miles) from Washington D.C. He could have declined, but he reported to the Delaware court and said, “This is important. It is an honor to be a part of the system.”

A “citizens’ panel” - Korean-style jury system - was introduced four years ago. However, less than 60 percent of Koreans chosen to serve have reported for duty.

But 75 percent of those that did report sai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ervice; 25 percent said the experience was average, while not one person was discontent.

It may be a great PR strategy to publicize that serving in court is not just a duty - but it’s also a great experience.

*The writer is a senior international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By Nam Jeong-ho

한국, 배심원 시대 열리다

불멸의 걸작『12명의 성난 사람들』은 배심제의 부조리를 파헤친 영화다. 촌스럽기 그지 없는 50년대 흑백영화 같지만 늘 역대 랭킹 10위권에서 맴돈다. 친부 살해범으로 몰린 소년의 누명을 배심원 한명의 슬기로 벗겨내는 탄탄한 플롯이 한시도 눈을 못 떼게 한다. 관객들은 편견과 무료함에 빠진 배심원들이 얼마나 무책임한지 목도하면서 진저리치게 된다.

배심제의 결함은 가히 태생적이라 할만하다. 소크라테스에게 독배를 내린 것도 우매한 아테네의 배심원들이었다. 미국에서도 남북전쟁 무렵엔 보안관이나 판사 멋대로 배심원들을 뽑았다. 범인의 친인척이 배심원이 되기 일쑤였고 때론 배심원으로 선정된 술주정뱅이들이 나타나지 않아 길거리 행인을 아무나 붙잡아 배심원석에 앉히기도 했다. 1995년 전처 살해 혐의로 법정에 섰던 미식축구의 전설 O.J. 심슨이 명백한 증거에도 불구, 무죄가 된 것도 감정에 쏠린 배심원들 탓이란 해석이 많다. 따지고 보면 공산주의식 인민재판도 선동에 휩쓸리는 배심제의 변형이다.

그럼에도 배심제는 장구한 세월을 뚫고 지금껏 살아남았다. 한국에 이어 법관 엘리트주의가 강한 일본도 2년전 배심제를 도입했다. 배심제가 세계의 트렌드인 셈이다. 우수한 법관 한두명의 판단력보다 상식적인 시민들의 '중지(衆智)'가 더 현명하고 정의롭다는 믿음 덕이다. 지난해 일본 정계의 최고실력자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를 법정에 끌어낸 것도 시민대표로 구성된 검찰심의회였다.

배심원을 맡는 건 성가신 일이다. 목구멍이 포도청인 판에 며칠씩 빼먹어야 한다. 오죽 귀찮았으면 배심원 의무를 져야 하는 미국 시민이 되지 않기 위해 영주권자로 남는 재미교포들까지 생겼을까.

이런 세태 속에서 최근 미국 조셉 바이든 부통령이 배심원 선발 대상이 되자 워싱턴에서 180km 떨어진 법원에 출두했단 소식이다. 일인지하 만인지상(一人之下 萬人之上)의 그로서는 대충 둘러대면 될 터다. 그럼에도 그는 "배심원제는 사법체계의 핵심"이라며 몸소 시골 법원에 달려갔다.

한국형 배심제인 국민참여재판이 시행 4년째다. 그러나 지난해 배심원으로 부름받은 이들의 참여율은 60%를 밑돈다. 다행한 건 배심원 경험자 중 75%가 자신이 한 일에 "만족한다"고 답했다는 거다. 25%는 "보통"이라고 했고, 불만을 표시한 이는 없었다. 배심 참여는 의무이기도 하지만 스스로에게도 썩 괜찮은 일이라는 걸 알리는 것도 좋은 홍보 전략일 듯 하다.

남정호 국제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