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survive in a single term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How to survive in a single term

A single-term presidency is full of contradictions. As soon as power is grasped, it quickly starts to slip through the fingers. A president becomes experienced and confident in office by the third year. By the fourth year, new ambitions and aspirations arise, fanning the desire to hold onto power. But in a single-term system, the unmistakable signs of lame duck status arrive. That is the inevitable paradox of a single five-year presidency.

The first symptom of a lame duck is a presidents loss of control of the ruling party. This often shows itself at times of presidential appointments. An ambition politician can make his name by challenging the appointment, saying he’s standing for reform, and makes impression on voters. After all, power struggles within the ruling party makes news. Any bid to challenge the president and his orders intrigues the public. A name is guaranteed to be made if the ambitious politician succeeds in whittling down the president’s authority. Ambitious members of the Grand National Party will be tempted to give it a try.

Past liberal governments under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ll experienced such challenges in their fourth years. President Lee Myung-bak is facing the same trial this year. His first appointment — of Chung Tong-gi as chairman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 failed due to opposition led by GNP head Ahn Sang-soo. But Ahn’s motives were far from reform-minded, and were largely aimed at making up for a series of much-publicized blunders he recently made.

The Blue House abhors the term lame duck. Past presidents hung tightly to power until their final days valiantly resisting that image. They tried to avoid the curse of the single-term presidency, but each one of them failed. To avoid being a lame duck requires delicate and sophisticated maneuvering. It starts with a visionary agenda and the way a president sells his vision. Then the president must expedite the policies with care and concentration.

In the middle of this ruling party power struggle,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is busy packaging and marketing a platform of free-for-all welfare goodies next year’s campaigns. Welfare has been a signature issue for former GNP head Park Geun-hye. In order to make its own, the DP came up with more radical and populist ideas. They are correspondingly more risky and unreliable.

The president already is equipped with policy weapons to counter the welfare attack. He has been aggressively pursuing pragmatic policies for the working class. The welfare programs touted by the opposition also focus on common people. But too much talk and exaggerated attention to public needs come across as theatrical and make people skeptical. This is not the first time politicians have tried fooling voters.

Most people are uncomfortable with the idea of free lunches for all students. It means children from wealthy families will be fed by taxes paid by the working class. We have to decide what policies are needed for the public welfare. What people need and can benefit from is job security. Agenda-selling is part of the political game. If the president ducks the issue entirely, he will inevitably find himself as a lame duck.

-ellipsis-



단임제 권력은 역설이다. 권력에 익숙할 때 권력은 멀어진다. 임기 3년차를 마치면 대통령은 특별히 단련돼있다. 국정을 숙달한다. 권력 관리의 묘미도 터득한다. 4년차가 되면 대통령의 국정 의욕은 새롭게 넘쳐난다. 권력 의지도 강렬해진다. 하지만 그 무렵 레임덕(권력 누수)징후가 나타난다. 대통령 5년 단임제의 모순적 숙명이다.

레임덕은 여권 내부에서 비롯된다. 대통령 인사는 공략 대상이다. 도전자는 정풍(整風), 쇄신, 거사(擧事)의 이미지를 넣으려 한다. 그러면 결행은 비장미를 풍긴다. 집권 세력 내부의 다툼은 최고의 흥행거리다. 쉽게 국민적 관심사가 된다. 대통령이 짜놓은 위계 질서를 흔드는 시도는 매력 있는 정치 상품이다. 성공한 거사는 정치적 미래를 보장한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그런 유혹에 계속 빠질 것이다.

집권 4년차 때 김대중·노무현 정권도 권력 갈등을 겪었다. 올해는 이명박 대통령(MB) 집권 4년차다.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의 낙마는 반복되는 장면이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사퇴를 주도했다. 그는 절박했다. 보온병, 자연산 실언 파문을 지우려 했다. 후보자 적격 논란은 불쾌한 기억 퇴출의 기회였다. 때문에 그의 시도는 거사의 신선미를 떨어뜨렸다.

레임덕은 청와대의 기피 용어다. 역대 대통령들은 레임덕을 거부했다. 임기 마지막 날까지 국정 장악을 다짐한다. 단임제의 두터운 역설을 깨려 한다. 하지만 그런 의지는 제대로 실천 되지 못했다. 레임덕의 극복은 국정 관리의 정교한 전략을 요구한다. 권력 운영 방식의 세련미를 필요로 한다. 그 전략은 대통령의 어젠다(국정 의제)와 언어에서 출발한다. 거기에 선택과 집중이 따라야 한다.

민주당의 무상 복지 시리즈는 계속된다. 복지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선점 이슈다. 민주당은 후발 주자다. 때문에 야당 정책의 파격과 선동성은 강해진다. 후발의 불리함을 벗기 위해서다. 그 만큼 무책임 논란도 커진다.

복지 논쟁을 압박할 어젠다 무기를 MB는 갖고 있다. 서민·중도 실용이다. 무상 시리즈도 서민을 강조한다. 하지만 과도하다. 서민을 과중하게 위한다는 정책은 서민을 먼저 힘들게 한다. 대다수 서민들도 오랜 경험으로 알고 있다.

서민들은 전면적 무상급식의 상황을 불편해 한다. 서민 세금으로 재벌·부잣집 아이들도 공짜 점심을 먹게 돼서다. 진짜 서민 대 가짜 서민으로 복지 논쟁을 펼칠만하다. 서민 어젠다의 생명력은 길고 유효하다. 서민을 진정으로 위하는 것은 일자리 복지다. 어젠다의 주도권 경쟁은 정치게임으로 전개된다. MB는 그런 정치 게임에 친숙해야 한다. 정치와 멀리하면 레임덕은 찾아온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