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fare is indeed about money
Democratic Party Chairman Sohn Hak-kyu said Monday that welfare “is about philosophy and will” rather than money.
Former Grand National Party Chairwoman Park Geun-hye made a similar remark, saying it’s a “shame” that everything is about money. “It’s more important for society to be compassionate toward the underprivileged and pay attention to this segment of the population,” she said.
They are right about the underlying issues in the debate over how to best structure an effective welfare system. The problem, however, is that politicians are only talking about these ideas because they will generate votes.
And it is, in fact, all about the money.
The key to the current debate is not whether a universal or more selective welfare system is most appropriate, as politicians have framed it.
Rather, it’s about taxes and - more accurately - how much should be assessed to support the less-fortunate members of society. In essence, the debate involves having higher taxes for broader welfare programs or lower taxes for more limited programs.
Some liberals believe that the only way to finance the Democratic Party’s free welfare benefits is to increase the tax rate. Chung Dong-young, a member of the DP’s Supreme Council, said that “a welfare policy without a financing plan is a sham.”
In the Scandinavian model, citizens funnel a relatively large portion of their incomes into welfare programs via taxes. Koreans currently pay a tax rate of about 26.5 percent, a large portion of which goes to welfare. Under the DP’s plan, at least 100 trillion won ($89.5 billion) in annual funding will be needed to pay for various welfare programs. Some liberal lawmakers say that the government would need to double the income tax rate as a result.
Of course, there is another way to provide broader welfare programs without increasing taxes: boost sovereign debt. But that amounts to pushing the burden of paying for these programs onto the next generation. DP Chairman Sohn has argued that fiscal reform and higher taxes for the rich will give the government enough money to finance its welfare plan. This, however, is nothing more than sugarcoated rhetoric.
Park is also misleading the people. Without a concrete plan to fund the pledges, her statements are nothing but empty promises. They must stop engaging is opportunistic behavior by glossing over the discussion about a tax increase while touting universal welfare.
복지는 결국 돈 문제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어제 “재원 마련보다 철학이 중요하다”며 “복지는 철학이며 의지”라고 말했다. 그는 17일에도 “중요한 건 시대정신이요, 철학이며 의지”라고 말한 바 있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도 엊그제 비슷한 얘기를 했다. “왜 모든 것을 돈으로만 보고 생각하는지 안타깝다”며 “중요한 건 사회적 관심과 봉사 의식”이라고 언급했다.
틀린 얘기는 아니다. 복지는 분명히 철학이다.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의 논쟁은 나라의 복지정책을 어느 방향으로 끌고 갈 것이냐라는 국가경영철학에 관한 논쟁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치인들이 표 계산에만 함몰돼 국민이 듣기 좋은 얘기만 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 진행중인 논쟁의 핵심은 ‘세금이냐 복지냐’다. 겉으론 보편적-선별적 복지 논쟁으로 포장돼 있지만 실은 ‘고세금-고복지’와 ‘저세금-저복지’의 논쟁이다. 민주당의 주장대로 무상복지를 하려면 세금을 대폭 늘리는 방법 밖에 없다는 건 진보진영도 동의한다. 예컨대 정동영 최고위원은 “재원 대책이 없는 복지정책은 거짓”이라고 공박하고 있다.
진보진영이 무상복지의 전범으로 삼고 있는 이른바 노르딕(북유럽식) 모델에선 세금 등 국민부담률이 소득의 50%나 된다. 부담률이 26.5%인 우리가 따라가려면 최소한 지금 내는 세금만큼 더 내야 한다. 무상복지를 하려면 연간 최소 100조원 이상이 추가로 필요하고, 이 때문에 소득세를 두 배 이상 더 거둬야 한다는 진보진영 주장도 있다.
물론 세금 덜 내고 무상복지하는 다른 방법도 있긴 하다. 바로 국가채무를 확 늘리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는 우리 세대가 잘 살자고 다음 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꼴이다. 그렇다면 무상복지를 얘기하면서 “재정구조 개혁과 부자 감세 등으로 충분히 재원마련이 가능하다”는 손 대표의 말은 국민을 현혹하는 수사(修辭)에 불과하다. 국민을 호도하는 건 박 전대표의 관심론도 마찬가지다. 재원 마련 대책 없이 관심과 봉사만 주창하는 건 공허한 얘기일 뿐이다.
그 동안 우리는 줄곧 경제적 능력에 걸맞은 복지를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래야만 지속가능한 복지가 되고, 성장 잠재력을 해치지 않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주창하는 ‘70% 복지론’에도 우리가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온 건 이 때문이었다.
나라를 대표하는 정치인들이 국민을 호도해선 안 된다. 복지를 더하자면서, 보편적 복지를 철학으로 삼겠다면서 증세를 언급하지 않는 건 기회주의적 처신이다. 당당하게 증세를 주장하고 국민 심판을 받는 게 옳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