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of positive attitud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ower of positive attitudes



Kim Kyung-min, who studied education in college as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has made her dream come true. She passed the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yesterday and will teach at a normal school, not at a school for the handicapped. Her guide dog Midami has now become her companion not only in learning but in teaching, too.

Jeon Woo-young, afflicted from birth with cerebral palsy, is now working as a copywriter for a big advertising agency after beating 99 other applicants. (See story on Page 3.) He received high recommendations, particularly for his ability to choose just the right words, and also for his social skills with other colleagues.

Both of them have something in common: a positive attitude that regards their disabilities as inconveniences, not causes for misery. Kim graduated from a renowned university at the top of her class - and earlier than students without handicaps. She said, “Even with a physical handicap, I can build up my creativity. If a physical disability is unavoidable, I would rather enjoy it.” There are many youths who quickly give up when faced with a small hurdle. We have the utmost respect for these two young people’s attitudes toward life.

However, our society is still full of obstacles for the handicapped. The number of people registered with a physical disability has reached 2.4 million. One out of 20 citizens is handicapped, physically or mentally.

Yet the employment rate for them was 1.87 percent as of 2009, lower than the 2 percent mandated by the government. It’s even worse in the education field. Last year the placement rates of handicapped teachers stopped short of 1 percent. Support for children who need special education is lacking as only 2,155 students among the 7,111 three- to five-year-olds registered as handicapped received benefits. It reflects a dark reality when politicians say they want to provide universal free education without paying attention to desperate funding needs. Last year, a father of a handicapped child committed suicide to allow his kid to “receive more benefits when I die.” That illustrates the hardships of the handicapped in this country.

Stories of overcoming disabilities always conjure up emotions. The entire society should weave such emotional stories together through mutual story-building by doing something to help the handicapped. Only when our society removes unfair hurdles can handicapped people’s dreams be given wings and not become a burden.

장애 극복한 ‘긍정의 힘’에 날개 달아줘야

시각장애인 김경민씨는 교사의 꿈을 이루게 됐다. 엊그제 임용고사에 최종 합격한 것이다. 그것도 특수학교가 일반학교 교단에 서게 된다. 김씨의 동반자 ‘미담이’는 이제 배움이 아니라 가르침의 동반자가 됐다. 뇌성마비로 지체장애 3급인 전우영씨는 카피라이터다. 지난해 말 100대 1의 경쟁을 뚫고 대형 광고회사에 취직했다. 어휘를 선택하는 탁월한 능력, 무엇보다 동료와의 친화력에서 점수를 땄다고 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긍정의 힘’이다. 말 그대로 ‘장애는 불편할 뿐, 불행한 것은 아니다’는 자세다. 김씨는 특유의 성실성으로 대학을 조기에 수석 졸업했다. 전씨는 “몸이 불편한 대신 풍부한 감성을 얻었다. 장애가 운명이라면 그 자체를 즐기면 된다”고 했다. 우리 사회에는 작은 장애물에도 쉽사리 포기하는 멀쩡한 청소년들이 부지기수(不知其數)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장애에 대한 성찰, 인생을 살아가는 자세에 깊은 존경과 갈채를 보낸다.

그럼에도 사회는 여전히 장애물투성이다. 전국의 등록 장애인은 240만 명으로 20명 중 1명 꼴이다. 하지만 2009년 기준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1.87%다. 법이 정한 2%에 못 미친다. 교육기관이 더욱 심해 지난해 서울·경기교육청의 장애인 고용률은 1%도 안 됐다. 특수교육 대상 아동에 대한 지원도 부실해 지난해 전국의 3~5세 등록 장애아 7111명 중 30%인 2155명만 혜택을 받았다. 무상교육에만 열을 올릴 뿐, 장애아동 특수교육에는 신경조차 쓰지 않는 셈이다. 작년 말 지체장애 아이의 아버지가 “내가 없어야 정부 혜택을 더 받는다”며 세상을 등진 것은 어쩌면 이 같은 사회의 씁쓸한 단면이다.

장애를 극복한 이야기는 늘 감동적이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사회가 함께 ‘감동 스토리’를 엮어가야 한다. 그들만의 ‘스토리 텔링(story-telling)’을 넘어 함께 쌍방향으로 만드는 ‘스토리 빌딩(story-building)’이다. 이들이 꿈을 펼치도록 사회적 장애물을 치웠을 때, 장애는 ‘짐’이 아니라 ‘날개’가 된다. 그것이 진정한 국격(國格)이고, 선진국의 요건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