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ountability in bureaucrac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ccountability in bureaucracy



A job for life, regular salary and pension have long been the hallmarks of the civil service profession in Korea.

But it may not be the job it used to be because of a stricter ethics code and anticorruption surveillance.

Nevertheless, many still feel they are over-privileged. Monthly pay is delivered regardless of merit and effort. To hone competitiveness and streamline bureaucratic bungling, some metropolitan governments have started performance reviews, sacking officials that are given poor ratings.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recently rejected a suit by a civil servant against the city of Seoul for removing him from his position for incompetence.

The court said the country ensures the political neutrality and status of civil servant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tate.

But such privileges should not be abused to ensure “jobs for life” and undermine administrative operations.

“The people pay for state management and civil servants should serve the people. Their status cannot be deemed extraordinary,” the court said, upholding the city authorities’ decision to fire the official, who failed to improve even after retraining.

The Civil Service Law also stipulates that a civil servant can be discharged if performance is deemed to be excessively lacking.

Seoul and Ulsan since 2007 have carried out merit-based reviews on city employees, but the program generated lukewarm a respons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other local governments.

Employees of the public sector enjoy job security regardless of their performance, even as their corporate peers painstakingly struggle to survive in cutthroat competition.

Prime Minister Kim Hwang-sik in a workshop with public-sector officials emphasized that public offices should no longer be envied as “a job of the gods,” free of pressure and competition.

Public officials should be evaluated on their merits to weed out incompetency and raise competitiveness. Only then will the government return to its origin of serving the people.

“공무원, 평생 직업 보장 장치 돼선 안 된다”

‘철밥통’ ‘복지부동’ ‘신(神)마저 탐내는 직장’ ‘영원한 갑(甲)’…. 공무원을 빗댄 조어(造語)들이다. 과거에 비해 개선됐다지만 아직도 무능하고 태만한 ‘평생 공무원’이 많다고 국민은 느낀다. 정치적 중립과 공공 사무의 안정성을 위해 신분보장을 해야 한다는 명분을 한편으론 이해하면서도 경쟁 없는 공직사회는 ‘공정하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민간 기업처럼 퇴출제(退出制)를 운영해 무사안일에 빠져있는 공무원을 걸러낼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한다.

서울행정법원이 서울시 현장시정지원단에 배치됐다 직권면직된 전(前) 서울시 공무원이 낸 소송에서 의미 있는 판결을 내렸다. 무능한 공무원을 직권면직한 서울시의 조치는 합당하다는 내용이다. 재판부는 “직업공무원 제도는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신분보장을 통해 국가 기능의 효율성을 증대하려는 것인데 그 취지와 달리 개인에게 평생 직업을 보장하는 장치로 변질돼 행정의 무능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 경영의 경비부담 주체가 국민이고, 공무원이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라는 점을 감안할 때 공무원 신분의 특수성만을 강조할 수 없다”고 했다. 현장시정지원단에서 재교육 받은 뒤에도 업무수행 능력이 향상되지 않아 퇴출한 것은 적법하다는 취지다. 국가공무원법상 ‘직무 수행 능력이 현저히 부족할 때’ 직권면직할 수 있다는 사문화(死文化)되다시피한 조항을 상기시키는 판결이다.

2007년 서울시와 울산시에서 시작된 ‘무능 공무원 퇴출 바람’은 한때 공직사회 전체로 확산되는 듯하다 ‘반짝’으로 그쳤다.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일부 중앙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동참했지만 공무원 반발이 거세 대부분 흐지부지된 상태다. 그러다 보니 민간부문에선 생존을 위해 몸부림 치는 상황에서도 공공부문은 안일한 타성에 젖어 있는 게 사실이다. 김황식 국무총리가 어제 ‘공공기관 선진화 워크숍’에 참석해 “더 이상 공공기관이 경쟁도 없고 퇴출도 없는 이른바 ‘신의 직장’이라는 말을 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공직사회에도 경쟁과 퇴출의 논리를 주입해야 국가 경쟁력도 강해진다. 그래야 ‘을(乙)’이 되고 ‘공복(公僕)’이란 소리를 들을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