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vy temptation to fix the odd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eavy temptation to fix the odds



In his 2005 book “Freakonomics,” American economist Steven D. Levitt provided evidence of the probability of match-fixing in Japanese sumo wrestling. By studying data on 32,000 matches fought among 281 sumo wrestlers from January 1989 through January 2000, he concluded that the probability of bout-rigging among sumo players was high.

The world of sumo is divided into two leagues. The upper league is led by the highest makuuchi division of yokozuna (grand champions). That is followed by the juryo division and the lower league. If a wrestler gets to the juryo division, he can lead a decent life with a good salary.

Players who compete in anything lower than the second division are considered to be trainees and receive only a fairly small allowance instead of a salary. A player gets promoted only if he wins 8 matches out of 15.

Levitt studied the last match fought by wrestlers who scored seven wins and seven losses as they were competing for their eighth win. When they competed against wrestlers who scored eight wins and six losses, or nine wins and five losses, they recorded winning rates of 80 percent and 73.4 percent, respectively. Levitt inferred that match-fixing was the reason for the rapid rise of the winning rate, which was around 50 percent ordinarily. He concluded that whether it was money or the promise of shaving points in the next match, some type of reward was offered, calling it the “temptation of incentives.”

When Levitt’s theory was confirmed and it was revealed that sumo wrestlers fixed matches for money, Japan was thrown into confusion. Bout-rigging is a betrayal and a crime, but these days it is commonplace, and even Korea is not free from suspicion.

Last year, it was revealed that the competition that would select the members of the national short track team was rigged. The world of cyber sports is tainted with match-fixing scandals by professional gamers. In the world of football and baseball, rumors of scandal persist as well.

Unfortunately, the temptation to fix one’s odds is not limited to sports. It also happens in social life, business and almost every aspect of life with uncertain odds.

The sumo bout-rigging scandal clearly shows that if one fails to refuse the fatal temptation to fix the odds, it is not only the person himself, but also the whole operation that will be ruined.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o Dae-hoon

승부 조작

스포츠에서 승부 조작의 가능성을 통계학적으로 접근한 사람이 미국의 행동경제학자 스티븐 레빗이다. 그는『괴짜경제학(Freakonomics)』에서 일본 스모를 분석했다. 1989년 1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스모 선수 281명이 벌인 3만2000 건의 시합에 관한 데이터를 추려냈다. 스모 선수의 경기에 부정한 거래가 오갔을 개연성이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

스모는 우리의 씨름 천하장사에 해당하는 요코즈나가 속한 마쿠우치(幕內)를 정점으로 주료(十兩)를 포함한 상위 리그와 그 밑의 하위 리그로 나뉜다. 주료(十兩) 안에 들어야 월급도 받고 '인간답게' 산다. 그 이하 품계의 선수는 월급 한푼 없이 허드렛일로 보낸다. 한 대회에서 15경기 중 8승 이상을 거둬야 승격된다. 레빗은 7승7패 전적의 선수들이 8승을 위해 벌인 마지막 경기를 주목했다. 이들은 8승6패 선수와 9승5패 선수와 겨뤘을 때 각각 80%와 73.4%의 승률을 기록했다. 평소 50%에 불과한 승률이 80%대로 치솟은 배경에는 일부러 져줬기 때문이라고 추론했다. 돈이든,다음 번에 져주기로 했든 보상의 약속이 작동했다는 것이다. 이를 '인센티브의 유혹'이라고 했다.

레빗의 주장이 스모계에서 실제로 확인돼 일본 열도가 발칵 뒤집혔다. 선수들이 돈을 주고받으며 승패를 조작했다는 사실이 최근 드러났다. 일본의 국기(國技)인 스모가 '짜고 치는 고스톱'이었다는데 일본 국민은 충격에 빠졌다. 간 나오토 총리는 "일본인들에 대한 배신"이라고 했다. 스모계가 존폐의 기로에 섰다고 한다.

스포츠는 '각본 없는 드라마'를 연출한다. 경기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란 전제조건이 충족될 때 그렇다. 조작된 승부(勝負)는 거짓 환희와 감동에 빠뜨리는 배신이자 죄악이다. 하지만 일부러 져주거나, 심판 또는 상대 선수를 매수하는 승부 조작은 약방의 감초처럼 현실 속에선 종종 벌어진다. 우리나라도 승부 조작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지난해 쇼트트랙에서 국가대표 선발을 둘러싸고 '짬짜미 승부'가 드러났고, ‘e스포츠’는 프로게이머들의 승부 조작 추문으로 얼룩졌다. 축구와 야구에서도 잡음이 심심치 않게 이어진다.

작의 유혹이 운동선수에게만 있겠는가. 사회생활에서도 순위는 중요하다. 추락이냐 상승이냐의 갈림길에서 부정한 유혹은 달콤하게 다가온다. 순간의 치명적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면 본인도 조직도 다 망할 수 있다는 걸 스모 파문은 보여준다.

고대훈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