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bon cap conundru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arbon cap conundrum



In a recent radio address, President Lee Myung-bak said that the government will incorporate the opinions of local businesses as it crafts a plan to cap carbon emissions and develops a system that will allow companies to trade the rights to emit certain pollutants.

Lee vowed to examine international trends and the competitiveness level of Korea’s industries to craft a flexible system, a bid to allay some concerns about the economic impact of limiting carbon emissions.

In November,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proposed a bill to establish such a system in 2013 and enact limits on 468 companies that emit more than 25,000 tons of carbon dioxide annually. Under the plan, companies could buy and sell the rights to release certain amounts of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into the atmosphere. The government plans to hold a meeting with the ruling party and submit a bill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European Union adopted an emissions trading system in 2005, capping emissions levels and allowing companies that don’t hit the limit to sell the rights to whatever they don’t us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owever, are dragging their feet on the issue as their economies slowly recover, despite being aggressive in this area in the past. In a cabinet meeting on Dec. 28, the Japanese government decided to postpone an emissions trading plan - which was initially scheduled to go into effect this year - for an indefinite period. Democrats in the United States also seem to have put the issue on the back burner after losing to corporate-friendly Republicans in the mid-term elections in November.

The business community in Korea doesn’t dispute the necessity of green growth and efforts to curb emissions. Rather, it simply wants to delay any plans to reflect the changed sentiments in Japan and United States, its key export rivals.

Limiting emissions now could have dire consequences for the economy and our largest companies. The manufacturing sector as a whole would have to spend anywhere from 6 trillion won ($5.4 billion) to 14 trillion won on such permits, which could put it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 versus other nations.

The system is not without financial merits. A company that emits less than the cap can sell the permits and make a profit, and it would force firms to save energy.

Nevertheless, we should approach this plan with international trends in mind.

CO2 배출권 거래제, 일본은 왜 연기했나

이명박 대통령이 7일 정례 라디오 연설에서 “산업계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적절한 시점에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국제 동향과 산업 경쟁력을 감안해 유연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우리는 이 방향이 맞다고 본다.

지난해 11월 녹색성장위원회는 ‘2013년 배출권 거래제 시행’을 골자로 하는 관련 법률 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대상 기업은 이산화탄소(CO2)를 한 해 2만5000t 이상 배출하는 468개 업체다. 정부는 조만간 당정회의를 열고 법안을 최종 확정, 이달 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그 동안 녹색성장의 기치를 높이 들었다. 어차피 가야 할 길이라면 꾸물거리지 말자는 입장이었다. 배출권 거래제는 유럽연합(EU)이 이미 2005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도 시행을 목전에 두고 있고, 미국도 적극적인 편이었다. 하지만 작년 말 이런 분위기가 반전(反轉)됐다. 일본 정부는 12월28일 각료회의에서 올해 시행하려던 계획을 무기 연기했다. 미국은 11월 중간선거에서 친(親)기업적인 공화당이 압승하면서 도입을 주장했던 민주당 목소리는 사그라들었다.

이에 국내 산업계는 녹색성장의 필요성이나 대의명분은 충분히 공감하나 경쟁국의 동향도 무시할 수 없다며 연기를 요청했다. 무엇보다 전자·자동차·철강·선박 등 주요 제조업에서 치열하게 맞붙고 있는 일본이 연기한 제도를 우리가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본다.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면 현재 연간 6300만t의 CO2를 뿜는 포스코는 배출권 구입에 한 해 2조원 이상을 써야 한다. 제조업체 전체로는 연간 6조~14조원의 부담이 새로 생길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 기업에겐 없는 이런 비용을 우리 기업이 지출해야 한다면 싸움은 더욱 힘들어진다.

물론 이 제도의 장점은 있다. CO2를 할당량보다 적게 배출하는 기업은 그 차이만큼을 시장에 팔아 돈을 벌 수 있다. 이럴 경우 관련 기술 경쟁을 유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본이 자국 기업의 국제경쟁력 약화를 우려해 유보한 정책을 우리 기업에게 밀어붙이기는 곤란하다. 명분도 좋지만 국가간 이익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들의 동향도 살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