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rs spilled over spoiled milk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ears spilled over spoiled milk



Hippocrates, the Greek philosopher-doctor who wrote the Hippocratic oath, considered milk a “complete food.” He preached that food was a drug for curing disease, saying that “diseases that cannot be cured by food cannot be cured by medicine,” so for him, milk was one of the best remedies for health. For that reason, perhaps in Western civilization, milk is considered essential to survival. It was no coincidence, then, that Winston Churchill, once a prime minister of Great Britain, said that the greatest investment that society could make in its future was providing milk to children.

The history of milk dates back to around 4,000 B.C., based on wall paintings found along the Nile River in Egypt that show people milking cows.

In Korea, too, there is historical record of milk consumptio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word “rak,” which means milk products, appears and there are also records that milk was used to cure patients of ailments. It is said that a state dairy farm called the “milk cow farm”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Wu of the Goryeo Dynasty. And according to the records of Dongbang Sesigi,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edical office of the royal court prepared gruel and other food using milk, to serve to the king, courtiers and patients.

It was only after national liberation that milk became available to ordinary people. Powdered skim milk was imported in large quantities as a part of U.S. food aid.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relief goods provided by the United States and milk products from the U.S. Army PX became major sales items for peddlers. At the time, a milk product called “Carnation” represented all milk products. And when people were suffering from food shortages, milk products were given out to help combat malnutrition. When domestic dairy production businesses began to produce milk in full in the 1960s, milk became a health food for the general public.

Now, milk is suffering from the aftermath of foot-and-mouth disease. It is reported that the amount of milk thrown away by dairy farms located near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s amounts to more than 200 tons per day. That amounts to one million 200 milliliter packs. It is even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ways to dispose of the milk because it is being thrown away in such large quantities. It is a pity that milk has been so degraded. When will it resume its place as the “perfect food”?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우유 비상(非常)

고대 그리스 의성(醫聖) 히포크라테스는 우유를 ‘완전식품’이라고 했다. “음식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약으로도 못 고친다”며 식품이 곧 약이라고 설파한 그의 말이고 보면 우유는 최상의 보약인 셈이다. 그래서인가. 서양문명사에서 우유는 인류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필수 식품으로 치부돼 왔다. 소를 ‘인류의 유모(乳母)’라고 할 정도다. “장래를 위한 가장 훌륭한 투자는 어린이에게 우유를 마시게 하는 일”이라는 영국 수상 처칠의 말이 그냥 나온 게 아니다.

우유의 역사는 기원전 4000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젖을 짜는 모습이 그려진 이집트 나일강 변 벽화에서의 추산이다. 기원전 3500년 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프라테스 계곡 벽화에도 외양간에 매어 있는 소와 우유를 짜는 사람 모습이 새겨져 있다. 현재의 이집트·중동 지역에서 우유를 이용하기 시작해 유럽 지역으로 전파됐다는 추정이 나오는 근거다.

우리나라에도 우유 역사가 없지는 않다. 『삼국유사』에 유제품을 의미하는 락(酪)이라는 말이 나오고, 병약자 치료를 위해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인도 불경 『반야경』의 “소에서 젖을 얻고 젖에서 락(酪)이 생기며 이게 만병통치약이 된다”는 대목과 상통한다. 고려 우왕 땐 국가기관으로 ‘유우소(乳牛所)’라는 목장을 만들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엔 내의원에서 우유를 낙죽(우유죽) 같은 식품으로 만들어 임금과 신하에게 주고 환자에게도 복용시켰다는 기록이『동국세시기』에 전한다.

우유를 본격적으로 접한 건 아무래도 해방 이후다. 미국의 식량 원조 물자의 하나로 탈지분유가 대량 도입되면서다. 6·25전쟁이 끝난 후엔 미국 구호물자와 미군PX에서 흘러나온 우유가 보따리 장사의 주요 품목이 됐다. 당시 ‘카네이션’이란 우유는 한동안 우유의 대명사였다. 식량난에 허덕이던 시절 우유는 국민 영양 결핍 해소의 공로자였던 거다.1960년대 들어 국내 유가공업체의 우유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우유는 이제 대표적 국민 건강식품 반열에 올랐다.

이런 우유가 요즘 구제역 탓에 수난을 겪고 있다. 구제역 발생지 인근의 낙농가가 오염 가능성 때문에 짜서 버리는 우유가 하루 200t이 넘는다고 한다. 200mL짜리 우유팩 100만 개 분량이다. 버리는 양이 많다 보니 버릴 장소도 마땅찮단다. 천덕꾸러기로 전락한 우유 신세가 딱할 따름이다. 언제쯤 ‘완전식품’ 영예를 회복하려나.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