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gedy of the starving artis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tragedy of the starving artist



The conventional image of an artist is close to a bad-tempered eccentric. The passage in Park Nam-cheol’s “Practice to Be a Poet” explains it well: “Artists go around without washing their face, with the collar of their coats turned up and without minding dandruff from their shaggy hair on their suit.” From a poet who mistook a perfume bottle on a friend’s dressing table for liquor to a painter who got so depressed that he cut off his ear, there is a long queue of weird anecdotes about outstanding artists.

The idea that artistic accomplishment and eccentricity are correlated originates from ancient times of the West. The theory derives from Plato’s “Ion,” which says that an artist has no real skill but is like a soothsayer or prophet who is divinely possessed. That’s why they admire the works of Renaissance masters as “the work of God.” Verna Krieger, a German art historian, said in her 2007 book “What Is an Artist?” that an artist repeats the pattern of working like mad and being idle and that there were countless episodes related to unethical behavior, social deviation, intemperance, unmarried life, homosexuality, etc.

Even poverty and loneliness make them seem mysterious. “Poor hungry genius” has been the most attractive image of artists since the Romantic Era. In the history of Korea’s fine arts, there are also quite a number of “poor geniuses” and, coincidentally, the prices of their works are very high. Lee Jung-seop, a famous painter and the author of “1916-1956 Letters and Paintings,” wrote: “I led a life of eating two bowls of noodle with soy source on a lucky day. Otherwise, I had only one. It got even colder at night in my heatless nine-by-nine foot room, in which I had to sleep alone.”

In reality, however, poverty is nothing but pain that obstructs artists’ creativity. Recently, a screenwriter in her 30s was found dead in her rented room. And at the end of last year, a member of an independent rock band died of brain hemorrhage in his rented basement room. The economic hardships of artists derive from a social contradiction that gives them unfair treatment: Singers get only a few scores of won for their songs, and screenwriters aren’t paid for their script if it doesn’t get made into a film. As long as such contradictions persist, it is difficult to expect artists to demonstrate their real talent. The era in which artists could become geniuses with only passion and obsession may now be over.

*The writer is a culture and sport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 Sun-min

배고픈 예술

예술가의 전통적 이미지는 괴팍한 기인(奇人)에 가깝다. “굉장히 열심히 세수도 않고 다니고/때묻은 바바리 코우트의 깃을 세워 올리면서/봉두난발한 머리카락의 비듬을 자랑했거니”(박남철, ‘시인연습’)라는 구절은 괜히 나온 게 아닐 것이다. 술인 줄 알고 남의 집 화장대에서 몰래 향수를 들이켰다는 시인(천상병)부터 아예 자신의 귀 일부를 잘라버린 화가(고흐)까지, 뛰어난 예술가들에겐 온갖 기기묘묘한 일화가 따라다닌다.

예술적 성취와 삐딱함이 상관 관계에 있다는 생각은 고대 서양에서 온 것이다. 플라톤 대화편 ‘이온’에 나오는 열광 이론이 근거라고 한다. 신들린 듯한 광기가 창조 행위의 동력이 된다는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 미켈란젤로의 조각에 ‘신이 만든 작품’, 티치아노의 그림에 ‘신들린 듯한 붓 놀림’이라는 찬사가 붙은 건 그래서란다. “미친 듯이 일하다가 무위도식하는 일이 번갈아 반복되는 것, 도덕을 어기는 일과 같이 눈에 띄는 행동과 사회적인 일탈·무절제·독신·동성애와 같이 성적으로 눈에 띄는 행동들, 불안·강박관념·침울함과 같은 신경증적인 특징이 (예술가와 관련된) 수많은 일화에 묘사돼 있다”(베레나 크리거, 『예술가란 무엇인가』).

가난과 고독도 예술가를 신비스럽게 만든다. ‘춥고 배고픈 천재’는 낭만주의 시대 이래 예술가를 이루는 가장 강력한 이미지다. 한국 현대미술사에서도 ‘가난한 천재’가 적지 않으며, 공교롭게도 그들의 그림 값은 매우 비싸다. “우동과 간장으로 하루에 한끼 먹는 날과 요행 두 끼 먹는 날도 있는, 그런 생활이었소. (…) 불을 필 수 없는 사방 아홉자 냉방은 혼자 자는 사람에겐 더 차가워질 뿐 조금도 따뜻한 밤은 없었소”(『이중섭 1916-1956 편지와 그림들』).

하지만 현실에서 가난은 예술가의 창작을 방해하는 고통일 뿐이다. 최근 지병과 굶주림에 시달리던 30대 시나리오 작가가 월세방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지난해 말엔 인디뮤지션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이 지하전셋방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 이들의 배고픔 뒤엔 가수가 곡당 몇십 원밖에 음원 수익을 나눠받지 못하고, 시나리오를 써도 영화 제작이 안되면 원고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등 창작자를 홀대하는 모순이 있다. 모순이 있는 한 예술가는 춥고 배고프기만 할 뿐 재능을 펼치기란 요원하다. 신들린 듯한 열정만으로 천재가 되는 건 그 옛날 르네상스 시대에서나 가능했던 일일 테니까.

기선민 문화스포츠 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