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North, not a peep about revolution in Egypt

Home > National > Politics

print dictionary print

In North, not a peep about revolution in Egypt

테스트

Naguib Sawiris, head of Orascom, with Kim Jong-il during a trip to North Korea just two days before the Egyptian unrest began. At left, Jang Song-thaek, Kim’s brother-in-law. [YONHAP]

While the rest of the world was reporting on the protests in Egypt, not a peep came from North Korea. Not one word or sentence could be spotted from the Communist state’s news agency, broadcaster or newspapers on the uprising.

One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 said it was likely that North Korea gave consider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ged by former North Korean leader Kim Il Sung and 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

“It could be because of the mobile revolution within Egypt and the affect it could have [in North Korea],” said the source, citing the critical role mobile phones played during the Egyptian protests.

Ironically, the sole mobile services provider in North Korea is an Egyptian firm, Orascom Telecom of Orascom Group. The business group was also in charge of finishing the 105-story Ryugyong Hotel in Pyongyang, on which construction stopped from 1992 to 2008 due to a lack of building materials.

During this time, the hotel was dubbed “the ugliest building in the world” by many media people because of its many unsightly features, with glassless windows being one of the more obvious.

Orascom has invested heavily in mobile services in North Korea since it started business as a service provider in December 2008. Now, users in roughly 10 North Korean cities are able to use cell phones on a 3G network that was established last year.

Another high-ranking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 said that the number of cell phones being used in North Korea was 301,199 as of the third quarter of last year.

This indicates that cellular handsets, which were made available to members of the Workers’ Party or diplomatic officials, are now being used by regular citizens. Cell phone use was banned in 2004 after a deadly explosion in the northern Ryongchon train station shortly after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s train passed through. One theory was that the blast was an assassination attempt against Kim detonated by a cell phone.

However, four years later, cell phones entered the country with people using handsets manufactured by Samsung, Nokia or Sony. As of last year, all brand names have been erased from the handsets and they’re now labeled as “Pyongyang.”

“Almost everyone in Pyongyang has cell phones, and even those in their late teens carry them around,” said another high-ranking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

North Korean experts believe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North Koreans to revolt against Kim Jong-il using their cell phones, as they would easily be subject to tapping by the regime. Social networking services like Facebook and Twitter are out of the question as Internet use is heavily monitored, as are e-mails.

However, analysts said news of the Middle Eastern unrest could easily reach North Korean citizens through the China-North Korea border. North Korea has been doing what it can to prevent uprisings among citizens by publishing reports that denounce smartphones and claim that mobile technology can wreak havoc.

“Even if the regime does all it can to block outside noise and put up barriers to protect its power, viruses are continuing to enter the country and that’s what it’s afraid of,” said the official.


By Lee Young-jong, Christine Kim [christine.kim@joongang.co.kr]

Related Korean Article[중앙일보]

평양 긴장시킨 M혁명의 역설
북한 모바일 망 깐 건 이집트 통신사 오라스콤


이 만남 이틀 뒤 이집트 혁명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오른쪽)이 지난달 23일 방북한 이집트의 나기브 사위리스 오라스콤 회장(가운데)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집트 혁명은 이들이 만난 이틀 뒤 시작됐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이집트 시민 혁명에 침묵을 지키고 있다. 관영 통신·방송사와 노동신문은 지난달 25일 시작된 이집트 반정부 시위에 대해 14일까지 단 한 줄도 내보내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무바라크 대통령-김일성 주석 간의 개인적 친분을 넘은 두 나라 간 전통적 유대 관계가 고려된 듯하다”며 “그 이면에는 이집트의 ‘M(모바일) 혁명’이 미칠 파장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북한에 휴대전화를 개통한 통신사는 이집트의 오라스콤이다. 김정은 후계체제의 역사적 이벤트인 105층의 유경호텔 완공작업도 이 회사가 맡고 있다. 오라스콤은 2008년 12월 북한 휴대전화 통신망 사업을 독점으로 시작했으며, 지난해는 통신망을 모두 3G로 바꾸고 평양 외 10여 개 도시로 사용권역을 확대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해 3분기 말 북한에 개설된 휴대전화는 30만1199대”라고 전했다. 당초 노동당 간부와 대외부문(무역·외교) 종사자에 국한됐던 휴대전화 사용이 일반 주민들에게까지 확산됐고 북한 당국이 통제 가능한 범위를 넘어설 상황까지 보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2004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발생한 열차폭발 사고가 휴대전화 기폭장치로 방중 귀국길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노린 것이란 판단에 따라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하지만 오라스콤을 통해 2008년 말 보급을 전면 재개했다. 개통 당시엔 삼성·노키아·소니의 휴대전화를 사용했으나 지난해부턴 상표를 지우고 ‘평양’으로 통일했다. 다른 정부 고위 당국자는 “평양의 웬만한 사람들은 휴대전화를 거의 다 갖고 있고, 10대 후반이 소유한 경우도 많다” 고 말했다.


 북한 전문가들은 휴대전화를 통해 반김정일 움직임을 모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철저한 감시체제 속에 살아온 당 간부와 주민들이 도청될 게 뻔한 통화를 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다.

북한에서는 인터넷 사용이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e-메일은 검열이 심하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아직 상상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북·중 국경지역에 밀반입된 중국 휴대전화 등을 통해 중동의 시민 혁명 소식이 전해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미국의 골칫거리 스마트폰’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국의 수감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마약과 무기를 감옥에 밀반입하는 등 바깥세상에서와 같이 활개치고 있다”고 한 것은 ‘휴대전화의 힘’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겉으로는 미국에서의 스마트폰 폐해를 전하면서 중동의 M 혁명 바람이 주민들에게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 정권이 아무리 바깥 소식을 차단하고 벽을 폐쇄하면서 정권을 유지하려고 해도 이를 흔드는 바이러스는 계속 들어가고 있으며, 북한에 두려운 것은 바로 이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news.joins.com/article/784/5054784.html?ctg=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