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so-special committe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t-so-special committees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greed to create five special committees during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session. The respective committees will work on crafting policies tied to everything from political reform, inter-Korean relations and pensions for citizen welfare to infrastructure projects involving airports and power stations. The Grand National Party will head three of the committees, while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will take control of the other two.

We welcome their bipartisan efforts to address state affai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move, as we already have standing committees that are capable of dealing with these issues. Measures to improve the lives of Koreans and bolster the pension system can be taken up by the standing committees that deal with economic and social affairs, and the committee on foreign and unification affairs can deal with inter-Korean relations.

The National Assembly has always had a penchant for creating special committees that run for a year or a year and a half. Currently, there are already five special committees with a range of focuses, from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s to job creation and the Dokdo islets.

The addition of five more would increase the number to 10. If they continue to add more, special committees could eventually outnumber standing committees.

Whether we even need the current special committees is also questionable. The committee on job creation, for instance, overlaps with the role of a standing committee and the planned committee to improve lives. Other special committees also more or less exist only in name.

Still, both parties are smitten with special committees, as they provide lawmakers with a wonderful way to give the impression that they are working hard. But they are clearly underestimating today’s voters. Members of special committees are paid at least 6 million won ($5,372) each month for their activities, and senior members can gain points in the political world by heading the entities.

The GNP creates a special committee every time an issue comes up. Some members even say they cannot remember how many committees they served on. Yet we can’t remember when the party came up with an inspiring and constructive policy idea. The push for special committees underscores the immature exhibitionist nature of Korean politics. The National Assembly session is finally open, but apparently nothing has changed.

상임위 놔두고 왜 자꾸 특위 만드나

여야가 오는 18일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특위 5개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민생대책·정치개혁·남북관계·연금개선과 공항·발전소·액화천연가스주변대책특위다. 한나라당이 3개, 민주당이 2개 특위의 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국회에는 상임위 16개가 있는데 상임위를 놔두고 꼭 특위를 만들어야 하는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 민생대책이나 연금개선은 경제·사회관련 상임위, 남북관계는 외무통일위에서 충분히 다룰 수 있는 것이다.

국회가 특위를 남발한다는 비판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위는 대개 1년~1년 반 정도의 활동기한으로 만들어진다. 국회에는 현재 국제경기대회개최 및 유치지원, 세계박람회지원, 일자리 만들기, 사법제도개혁, 독도영토수호대책 등 5개의 특위가 있다. 5개가 더 만들어지면 10개가 된다. 곧 특위가 상임위보다 많아지는 날이 올 것 같다. 현재 있는 5개의 특위에도 문제가 적잖다. 독도특위처럼 필요성이 끝났거나 일자리 만들기처럼 관련 상위나 신설특위(민생특위)와 중복되는 것이 있다. 다른 특위도 이름에 걸맞게 제대로 활동하고 있는지 의문이 많다.

필요성이 의심되는데도 여야 지도부가 특위를 남발하는 의도가 불순하다. 특위를 만들면 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기대하는 것 같은데 이는 유권자의 의식 수준을 무시하는 것이다. 특위는 한 달에 최소한 600만원씩 위원들에게 활동비를 지급한다. 그래서 여야 지도부는 중진의원들에게 위원장 자리를 나누어주는 정치적 이익을 얻고, 의원들은 금전적인 이익까지 취하게 된다.

여야의 ‘특위병’은 국회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다. 한나라당은 이슈만 터지면 특위부터 만들어 지금까지 수십 개가 명멸했다. 생산적인 대책을 내놓은 경우는 생각해내기가 힘들다. 위원들 본인이 기억하지 못하는 특위도 한 둘이 아니다.

‘특위’는 한국 정치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단면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의회에는 상임위를 제쳐두고 특위에서 쇼를 하는 정치행태는 없다. 우여곡절 끝에 국회를 연다는 여야가 또 다시 특위 증후군부터 보이니 실망스럽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