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bile revolut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mobile revolution

Gilles Deleuze, influential French philosopher of the 20th century, once said revolution begins from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ral part of a society. Tunisia’s Jasmine revolution, which ended the 23 year rule of President Zine el-Abidine Ben Ali and set off inflammatory revolutionary fervor across the Arab world, also started from a trifling event in a shanty town in Sidi Bouzid, 190 miles south of the capital Tunis.

Twenty-six-year-old Mohamed Bouaziz, who earned living selling fruit and vegetables from an unlicensed stand on the streets, was stopped by a policewoman one day and had his cart confiscated. He was slapped and spat on by the policewoman. When municipality officials also shunned him, the young man, out of humiliation and helplessness, set himself on fire in front of the provincial headquarters. The incident sparked public outrage, especially among youth struggling with unemployment, and the scenes of riots as well as the heavy-handed police response quickly spread around the world via instant messages, mobile phones, and Internet-based social networks like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In a virtual instant, Facebook subscribers rushed to the streets to join the protest. The Tunisian people hadn’t been so outspoken and enraged since their ancient ancestors, the Carthaginians, were conquered by Romans.

The Jasmine revolution, named for the country’s fragrant country flower, has now become a synonym for social-network and mobile-device fuelled uprisings. The appointment of a 33-year-old Tunisian blogger and activist - who was arrested amid the protests and later released - as the transition government’s secretary of state for sport and youth symbolizes the role of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in revolution. A sister of Bouaziz, whose suicide made him an iconic martyr of the democracy movement, told Roger Cohen, columnist for The New York Times and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that all Arab countries are waiting for their own Bouaziz.

Egypt did not have to wait long. On Jan. 25, 2011, Facebook subscribers received a plea to follow their courageous Tunisian brothers to unseat their ruler of three decades, President Hosni Mubarak. Persistent campaigning through social media like Facebook and Twitter mustered support from tens of thousands of youth, civilians, middle and upper class people and the intelligentsia. Around 5 million Egyptians own mobile phones and Jan. 25 - National Police Day - was declared by mobile revolutionaries a day of rage, bringing millions to Cairo streets chanting “Mubarak leave!”

The president in his palace, severely out of touch with the people he ruled for 30 years, failed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mobile networks. His police dealt with the angry protestors with traditional weapons -tear gas and batons - which only produced a boomerang effect when the spectacle was immediately spread around through mobile devices. Within weeks, the tenacious 82-year-old tyrant succumbed to public pressure and promised political reforms and free and fair elections in September, saying neither he nor his son would run.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ose promises will satisfy protesters.

-ellipsis-



프랑스 현대철학자 질 들뢰즈(1925-95)는 중심부와 주변부(Periphery)로 나뉜 사회에서 혁명은 주변부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23년간 장기집권한 독재자 벤 알리를 축출해 아랍세계에 혁명의 쓰나미를 일으킨 튀니지의 재스민혁명도 시디부지드라는, 수도 투니스에서 남쪽으로 28킬로 떨어진 이름없는 한촌(閑村)에서 아주 하찮게 보이는 사건으로 시작됐다.

여자경찰관이 고졸의 청과물 노점상 모하메드 부하지지의 청과물에 침을 뱉었다. 모욕을 참지못한 부하지지는 분신자살하고, 그의 가족들이 주 청사로 몰려가 격렬한 항의시위를 했다. 시위하는 모습이 휴대폰에서 패이스북으로 전파되고, 순식간에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시위에 가담했다. 로마에게 멸망한 카르타고 이래 그런 일에 깨어진 적이 없는 대중들의 침묵의 벽이 무너지자 독재자는 황망하게 국외로 탈출했다.

재스민이라는 향기로운 이름의 혁명은 이제 M(모바일)이라는 가치중립적이고 쿨한 이름으로 바뀌어불리기 시작했다. 블로그로 반체제활동을 하다 구속되었던 33세의 청년이 튀니지 과도정부의 청년체육부장관에 임명된 것은 모바일의 힘과 M혁명의 문명사적인 의미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분신자살로 민주주의의 순교자가 된 부아지지의 누이가 IHT 칼럼니스트 로저 코언에게 "모든 아랍국가가 부아지지의 등장을 고대한다"고 말한 것은 과장이 아니다.

이집트는 오래 기다릴 필요가 없었다. 2011년 1월25일 이집트의 페이스북 가입자들은 호스니 부바라크 대통령 축출 시위를 벌이자는 호소문을 받았다. 처음에는 반응이 냉랭했다. 그러나 계속된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호소에 전국적으로 수십만명의 젊은층이 호응하고, 일반 시민과 지식인들이 가세했다. 이집트의 휴대전화 소지자는 500만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아이러컬하게도 1월25일은 이집트의 '경찰의 날'이었다. 시위대는 이날을 '분노의 날'로 선포하고 카이로 시내 곳곳에서 수만명 단위로 무바라크 물러가라!를 외치는 데모를 했다.

30년 장기집권으로 심각한 정치적 자폐증에 걸린 무바라크는 모바일시대의 도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 그는 경찰을 동원해 시위대에 최루탄과 물대포를 쏘았다. 가장 포스트모던한 모바일로 무장한 반정부 시위대에 전통적인 최루탄과 물대포는 위협이 될 수 없다. 무바라크는 집권연장과 아들에의 권력세습 포기를 약속하고 자유선거를 포함한 정치개혁을 약속하여 9월까지의 남을 임기는 채우는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