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hole new world
다음 문단을 의미단위별로 전향식으로 끊어 읽고 문단 전체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하여 읽어보기Following the Jasmine Revolution in Tunisia,/ 투니지아에서 일어난 자스민혁명에 뒤이어(자스민은 투니지아의 국화로서 투니지아의 민주화 혁명을 상징적으로 뜻함)/ Egypt has also turned the corner in a huge wave of democratization./ 이집트에서도 민주화 혁명의 중요한 분수령을 넘어섰다./ We hope that the remarkably achievements in both countries/ 우리가 바라는 바는 두 나라에서 성취한 값진 혁명이/ will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s “of the people,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가 수립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through free and fair elections./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통하여/
The democratic movement is on the verge of spreading to their neighbors/ 민주화 바람이 이웃나라에까지 확산될 조짐이다./ like Algeria and Yemen./ 알제리아와 예멘 등/ President Ali Abdulah Saleh, who has reigned over Yemen for 33 years,/ 33년간 권좌에 군림했던 예멘의 알리 압둘라 사례 대통령과/ President Abdelaziz Bouteflika, who has been ruling Algeria under a state of emergency since 1992,/ 1992년 이후 비상사태 하에서 알제리를 통치해 온 압델아지즈 부테프리카 대통령은/ are all under pressure to step down./ 사태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Protests for democracy are even spreading to nearby monarchy states/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인접 왕정국가 요르단과 바레인에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reminiscent of the gargantuan democracy wave in Eastern Europe in the 1980’s./ 이는 1980년대 동구에서 일어났던 민주화의 거대한 물결을 연상케 한다./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oresee how fast it will proceed,/ 중동의 민주화 바람이 얼마나 빨리 진행될 것인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the move seems almost unstoppable now./ 현재로서는 아랍권의 민주화 운동은 계속될 것 같다./
Such dramatic changes/ 중동의 극적인 정치적 변화는/ will bring about corresponding changes/ 상대적인 변화를 몰고 올 것이다./ in international politics, diplomacy and economics./ 국제정치, 외교 및 경제에/ Major powers including the U.S., pursued policies to keep political stability rather than promote democratization in the area./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은 중동의 민주화보다 정치적 안정을 추구해 왔지만/ But this political upheaval/ 이번 정치적 격변은/ will not allow them to follow that same track./ 강대국들이 그와 같은 대 중동정책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The change also call for adjustment in our Middle East policy./ 우리나라의 대 중동정책도 변화에 적절히 적응 해야 할 것이다./
So far our Middle East policy has been mostly focused on how to expand bilateral economic relationship/ 지금까지 우리의 중동정책은 주로 경제관계의 확대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For example,/ 예를 들어,/ Thanks to the huge amount of hard currency we earned off the Middle East construction boom in the 1970’s/ 1970년대 중동 건설 붐에 힘입어 많은 외화를 벌어들여/ we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our economic growth/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고/ - and the trend still continues./ 이와 같은 기조는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However, our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 with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하지만 우리의 중동국가들과 정치적 및 외교적 관계는/ have been much weaker than economic ones./ 경제관계에 비해 미약했다./ The colossal change in the Arab world/ 아랍권의 대대적인 변화는/ presents us with a daunting challenge - and opportunities as well/ 우리에게 만만치 않은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것이다. - in the political, diplomatic and economic fields./ 정치, 외교 및 경제 분야에서
Our economic relations with Middle East countries/ 중동국가들과 우리와의 경제관계는/ have been centered on consolidating our relationship with regimes in power./ 집권세력과 관계를 강화시키는데 역점을 두었다./ Last year our companies had $40 billion dollars in trade with those countries./ 작년 한 해 동안 우리 기업들이 이들 국가들과 교역실적은 금액으로 400억불에 달했다./ But the portion they made on a civilian basis is almost zero/ 그러나 민간차원의 교역은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because of Arab governments’ omnipotent control of industrial policies./ 그 이유는 중동 국가들의 산업정책이 정부 주도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As the democratic movements will inevitably lead to the privatization of economic power,/ 민주화 바람으로 중동의 경제 권력도 필히 민간화로 이어질 것이다./ our government should widen its focus to cover political, economic, diplomatic and cultural fields as well./ 따라서 우리 정부의 대 중동정책도 정치, 경제, 외교 및 문화를 포함한 모든 분야로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휘
* turned the corner: 고비를 넘기다
* wave of democratization: 민주화의 물결
* establishment of government: 정부수립
* democratic movement: 민주화운동
* on the verge of ∼: ∼할 선상에 있다(∼할 조짐이다)
* reign over: ∼의 고삐를 잡다(통치하다)
* a state of emergency: 비상사태
* pressure to step down: 사임압력
* monarchy states: 왕정국가
* reminiscent: remind(회상)
* unstoppable: 막을 수 없는(계속되는)
* corresponding change: 혁명에 따른 상대적 변화
* upheaval: 격변
* same track: 같은 괘도(발자취)
* call for adjustment: 조절(적응)이 필요하다(요구되다)
* bilateral economic relationships: 쌍무간의(국가간의)경제관계
* hard currency: 주요외화
* lay the foundation: 기틀(기반)을 마련하다
* trend: 추세(기조, 흐름)
* colossal: 거대한, 대대적인
* daunting challenge: 만만치 않은 도전(어려운)
* consolidating: 강화하다
* the regime in power: 집권세력
* omnipotent: 전권을 장악(정부주도)
* privatization: 민간화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