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culls, now comes the draining

Home > National > Social Affairs

print dictionary print

After culls, now comes the draining

Daegu and the North Gyeongsang governments should take immediate action to handle waste leaking from sites where animals culled due to foot-and-mouth disease were buried, said Cho Won-jin, Daegu-based lawmaker for the Grand National Party, yesterday. He said the total amount of waste in the region is estimated to be 12.32 million liters (3.25 million gallons), the capacity of 1,540 8-ton box trucks.

Daegu and North Gyeongsang are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a major source of drinking water for residents in the area. Roughly 382,000 animals are buried in the area, accord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About one-third of the site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are located within a 3-kilometer [1.8 miles] radius of the river,” Cho said. “Rising temperatures will cause the underground waste to smell awful.”

“The worst-case scenario is the waste polluting underground water sources or the Nakdong River,” Cho added.

According to the disposal manual issued by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local quarantine officials were supposed to dig a hole 4 meters (13 feet) deep, lay plastic on the bottom and spread sawdust or lime to prevent liquid waste from soaking into the soil and underground water sources.

A pipe to vent gases from the decomposing carcasses should have been installed, and a wastewater tank was supposed to be buried beneath the disposal site to collect blood and other liquids. Disposal sites are supposed to be at least 30 meters away from rivers, streams or groundwater sources.

But some local officials said that in some disposal sites, animals were so hastily buried and quarantine officials didn’t follow the manual, failing to install wastewater tanks or gas pipes properly. Improperly built vent pipes or wastewater tanks cause wastewater to flow out from the disposal site because of gas pressure from the decomposing carcasses.

The Yeongju government in North Gyeongsang decided to dig up a disposal site near a farm in Anjeong-myeon yesterday and extract all waste after residents complained that 20 tons of wastewater was rising and flooding the area because of shoddy disposal work.

Local officials said quarantine workers knew there was groundwater near the site, but they just scattered some lime.

Yeongju officials added that some pigs in their death throes tore the plastic lining of the site, leading liquid waste to soak into the soil beneath.

Based on statistics from the Agriculture Ministry, Cho said that a dead cow releases about 160 liters of liquid waste and a dead pig about 12 liters.

According to Cho’s calculation, more than 6,900 tons of liquid waste would be in disposal sites in Andong, North Gyeongsang, where the first outbreak of FMD was confirmed on Nov. 29 and 144,855 animals were culled. Yeongju would have 1,700 tons and Yeongcheon 800 tons.

“Measures to prevent water pollution are urgently needed, such as installing blocking walls inside the disposal sites or using pumps to remove the waste,” Cho said. Cho also urged local governments to build incinerators to burn animal remains instead of burying them.

As of today, approximately 3.3 million animals have been disposed of, accord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3.23 million of them are pigs. About 150,000 cows were culled as well as some deer and poultry.

The government estimates the total amount of liquid waste from decomposing animals at sites nationwide at 60.9 million liters, enough to fill 7,615 8-ton box trucks.


By Kim Hee-jin [heejin@joonang.co.kr]


Related Korean Article[중앙일보]

구제역 ‘날림 매몰’ 후폭풍…침출수 홍수 터지나


[농식품부 “전국 다 합치면 8t 탱크로리 7615대 분량”]
[“김포 수도꼭지서 돼지 핏물 나와” 흉흉한 구제역 괴담]

22일 오후 2시 경북 안동시 와룡면 가야리 구제역 한우 매몰지 현장. 지난해 11월 29일 구제역이 첫 발생한 서현리 양돈단지에서 1㎞쯤 떨어진 곳이다. 가야리 권모씨 농가의 한우 56마리가 지난해 12월 초 이곳에 묻혔다. 산을 넘어 2㎞쯤 가면 낙동강 상류인 안동댐으로 이어진다. 밭 가운데 자리한 매몰지에서는 썩는 냄새가 코를 찔렀다.

경상북도는 이날 가야리 매몰 현장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권영세 안동시장, 김주영 영주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구제역 침출수를 뽑아 처리했다. 봄 해빙기를 앞두고 침출수 문제가 심각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매몰지는 가로 20m, 세로 5m에 깊이 5m 정도. 침출수 관을 통해 측정한 이곳 침출수의 깊이는 2.8m나 됐다. 경북도 환경특별관리단 박기완 주무관이 침출수를 퍼올렸다. 산도를 측정한 결과 6.727 중성이었다. 박 주무관은 곧바로 침출수 관을 통해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를 매몰지 안으로 부었다. 강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침출수에 있을지 모를 구제역 바이러스를 잡기 위해서다. 10여 분 뒤 침출수의 산도는 13.5 강알칼리성으로 변했다. 이날 소 56마리가 묻힌 곳에서 나온 침출수는 100L나 됐다.

경북지역에 침출수 2차 오염 비상이 걸렸다. 살처분한 가축을 매몰한 지 석 달 만에 침출수가 많이 생겨 식수원을 오염시킬 염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 침출수가 하천이나 우물로 흘러가면 주민들은 물을 먹을 수 없다. 경북도는 이에 따라 이날부터 매몰지역 침출수를 뽑아 올려 폐수처리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

한나라당 조원진 의원이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매몰지역 침출수 양은 6093만L(8t 탱크로리 7615대 분량)로 추정됐다. 구제역으로 살처분한 가축을 묻으면 생기는 침출수(마리당)는 소 160L, 돼지 12L, 염소·양 6L다. 영국 통계청과 미국 농무부가 사용하는 기준이다. 조원진 의원은 “ 이제 곧 기온 상승으로 악취와 침출수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지하수·낙동강 등의 2차 오염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이날 “최근 구제역 매몰지에서 나오는 것은 사체의 기름 덩어리와 체액”이라며 “부패에 따른 침출수는 한두 달 뒤에나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매몰 두수가 워낙 많다 보니 사체가 압착되면서 기름 덩어리와 체액이 나온다”며 “부식 과정에서 나오는 침출수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다만 “매몰 과정에서 (바닥에 깐) 비닐이 찢어졌을 경우, 생석회와 닿은 부분이 먼저 부식되며 일부 침출수가 나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흉흉한 구제역 괴담=정부가 구제역 매몰지 주변의 수질 오염과 관련한 괴담(怪談) 차단에 나섰다. 지난 21일엔 트위터를 통해 “김포의 한 회사에서 수도꼭지를 틀었더니 돼지 핏물이 나왔다”는 글이 퍼져나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사실 여부를 파악하기 시작했다. 발단은 한 네티즌이 네이버 카페 게시판에 사진과 함께 올린 글이었다.

21일 오후 3시에 박성권 김포시 부시장이 김포수도사업소 직원들과 함께 현장을 직접 찾았다. 수도사업소 직원들은 문제가 된 붉은색 물은 침출수가 아니라 얼었던 수도꼭지를 뜨거운 물로 녹이는 과정에서 나온 녹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이 지역은 구제역 매몰지와는 1.4㎞나 떨어져 있어 침출수에 의한 오염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수도사업소 측은 정확한 결과를 파악하기 위해 샘플을 채취했다. 일주일 뒤 검사 결과가 나온다. 22일 문화체육관광부 김재환 온라인홍보협력과장은 “현재 이곳에선 맑은 물이 나오고 있고 해당 네티즌은 글을 지우고 사과의 글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구제역과 관련한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산하에 6개 부처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매몰지 관리지원팀을 신설했다. 지원팀은 하루 두 차례 설명회를 열어 구제역과 관련한 소문을 해명하고, 대책도 알리기로 했다. 대책본부는 6월 말까지 매몰지 주변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종합지도도 만들기로 했다. 현재 여러 부처가 관리하는 지질도·토양도·산림입지도·수질정보를 통합한 지도를 만들어 매몰지 주변 지하수의 분포와 마을과의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대응하기 위해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