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over on evaluation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o-over on evaluations



The government has passed a presidential act to establish evaluation and training guidelines for teachers.

Officials see this as a way to review the performance of teachers and foster the professional growth of those who shape the minds of our youth.

The new guidelines will apply to elementary as well as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when the new academic year starts in March.

This can be seen as a major step forward in the realm of education. It essentially establishes a common method for performance reviews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professionalism among teachers and raise the education standards in the country’s classrooms.

The previous evaluation guidelines, put into use last year, were based on regulations in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y were voluntary.

Crafting rules on school education in reality fell under the jurisdiction of municipal and provisional superintendents across the country, which could determine their own policies covering this issue.

As a result, performance reviews of teachers did not take place in some areas in the face of opposition from liberal-minded superintendents.

But a higher presidential decree will mak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guidelines compulsory regardless of individual opposition from municipal education offices. Regional education offices, therefore, will be punished if they go against the government requirements.

The act, however, also has its limits because there are no laws on how to penalize the teachers who refuse to comply with assessments and accept the review results.

In the case of private schools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force school authorities to conduct assessments of their teachers.

At the moment, though, about 40 percent of high schools are private, and 11.3 percent of their teachers resisted assessments last year.

Therefore, the act likely won’t be much more than a stopgap measure.

The government should instead come up with a better, broader law that establishes enforceable regulations so that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cross our nation.

Lawmakers should understand that this is likely the only way for u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our public education system.

교원평가제 정착 관건은 법제화다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 시행 근거를 명시한 대통령령인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개정령안이 어제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3월 새학기부터 전국 초·중·고교에 적용된다. 교원평가가 전국 공통기준에 따라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교원평가의 진일보(進一步)로 평가할 만하다.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려는 교원평가 시행이 탄력을 받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해 전면 시행된 교원평가는 시·도 교육청의 ‘교육규칙’에 근거를 두고 있다. 국회에서 교원평가의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초·중등교육법 개정이 계속 지연되는 데 따른 궁여지책(窮餘之策)이다. 교육규칙 제정은 교육감의 권한이다. 일부 진보교육감을 중심으로 교원평가 시행 자체를 중단하거나 동료교사 평가를 없애는 등 반발 움직임이 일어도 마땅히 제재할 수단이 없다는 얘기다. 상위법령인 대통령령에 교원평가의 근거를 마련한 것은 이런 문제를 해소하고 시·도교육청의 교원평가를 사실상 의무화한 것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부의 교원평가 기본방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는 교육청은 제재를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문제는 대통령령에 근거한 교원평가 시행도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교원평가 거부 교사에 대한 대처 방법이 궁(窮)하다. 교사 징계 규정은 법률로만 정할 수 있어서다. 특히 사립학교 교사의 경우 대통령령으로 평가를 강제하기가 여의치 않다. 평가 결과에 따른 사립학교 교사 연수 강제도 어렵다. 고교의 40% 가까이가 사립이고, 지난해 평가 거부 교사가 11.3%에 이른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대통령령에 의한 교원평가 역시 임시방편(臨時方便)일 뿐이다. 교원평가라는 막중(莫重)한 사안을 교원 연수 규정의 한 부분으로 넣은 것부터가 법령 체계상 어색한 모양새다. 확고한 법적 기반 위에서 평가가 실시되도록 법제화(法制化)를 서둘러야 한다. 그래야 교원평가를 체계적으로 시행하고 실효성을 높여 정착을 담보할 수 있다. 국회는 교원평가 법제화로 공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책무를 다해 주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