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s mixed record as global dealer

Home > National > Politics

print dictionary print

Lee’s mixed record as global dealer

테스트

Left to right: Lee with Iraqi President Jalal Talabani at the Blue House in February 2009, with Indian Prime Minister Manmohan Singh in New Delhi in January 2010 and with Abu Dhabi Crown Prince Mohammed bin Zayed Al Nahyan in May 2010. [JoongAng Ilbo]


Having flown 448,180 kilometers (278,486 miles), equivalent to circling the earth 11 times, and having held 208 meetings with global leaders, President Lee Myung-bak has actively engaged in high-level diplomacy to boost the country’s exports, secure energy and other natural resources, expand a growing network of free trade agreements and host major international events.

That is all part and parcel of a leader who is described as “the CEO president,” but his record of achievements in gaining international business for Korea may have produced fewer results than advertised by his administration.

Friday marked the third anniversary of his inauguration and in three years, Lee has vigorously promoted diplomacy with resource-rich countries like Russia and those in Latin America to secure the supply of raw materials that Korea lacks. A review of his projects shows that some have already borne fruit, while others have made little progress.

Lee and his Russian counterpart Dmitry Medvedev agreed in September 2008, during a bilateral summit in Moscow, for Russia to supply natural gas to Korea as early as 2015. The project included an ambitious plan to build gas pipelines through North Korea.

Under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signed between the state-run Korea Gas Corporation (Kogas) and Russia’s Gazprom, a total of 7.5 million tons of natural gas would be supplied to Korea each year.

But the grand $100 billion project has been stalled since then by the deteriorat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The project itself is very sensitive because it involves North Korea,” said Kim Byung-sik, head of the Russia team at Kogas.

The government’s initial aim was to conduct joint research on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for two years from 2008 to 2010 and begin construction this year on the pipeline that would run from Vladivostok through North Korea to South Korea.

“The project hasn’t been cancelled; we’re just waiting for the right timing whe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improves,” Kim said.

테스트

From left to right, President Lee Myung-bak, EU President Herman Van Rompuy and European Commission President Jose Manuel Barroso shake hands before the EU-Korea FTA signing ceremony in Brussels last October. Lee and Bolivian President Evo Morales embrace after signing an agreement to jointly develop a lithium mine and other natural resources in the South American country after a summit in August last year. [JoongAng Ilbo]


In 2008, Russia and South Korea also agreed that Russian natural gas would be processed into liquefied petroleum gas and transported from Vladivostok via the East Sea if the pipeline construction project did not materialize. According to Kim, no discussions have yet taken place about implementing the shipping plan.

Korea has also aggressively participated in exploring oil fields in the Middle East to secure oil resources.

In 2009, after a summit with Iraqi President Jalal Talabani, the Blue House announced a $3.55 billion deal to develop an oil field in Basra, where most of Iraq’s crude reserves are located. According to the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Korea has not yet been assigned any oil-field exploration rights because of the war-torn country’s internal problems.

President Lee lent crucial support to Korea gaining participation in Bolivia’s lithium development project. In August of last year, the state-owned Korea Resources Corporation and Bolivia’s national mining company Comibol signed an MOU on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in the Uyuni Salt Flats, which is known to contain more than 5.4 million tons of lithium reserves, a crucial component in the manufacture of rechargeable batteries.

Korea beat out other rivals for the Bolivian project, including Japan, France, China, Iran and Brazil. Grand National Party lawmaker Lee Sang-deuk, who is the elder brother of President Lee, helped secure the deal as a special envoy to Bolivia for the negotiations.

Lee also has emphasized the export of nuclear-power-generation technology. In December 2009, Korea signed its first deal to export four nuclear reactors to the United Arab Emirates, with the groundbreaking for the plants scheduled for next month.

But Korea has also faced setbacks in becoming a nuclear power plant exporter. Korea had hoped to win an order from Turkey after it signed an MOU on nuclear cooperation in March last year.

But negotiations stalled in November over disagreements about the price of electricity that would be supplied by the reactors in order to recoup Korea’s investment costs. Turkey could conclude talks with Japan over the matter next month.

Another nuclear deal with Jordan collapsed last May and Korea also decided last December to abandon the possible sale of a reactor to Lithuania for safety reasons.

“There are currently no more countries seeking nuclear reactors that Korea can supply,” said Lee Young-ho, a secretary at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s nuclear export department. “Egypt was scheduled to place an order for a nuclear power plant in January, but this has been delayed until the country achieves political stability.”

Critics, particularly the opposition Democratic Party, said the results of Lee’s energy and resource diplomacy has been exaggerated to win political points at home.

“Although the Lee administration says it has secured energy and resources through diplomacy, many of these agreements have not been fully implemented,” said Representative Cho Jeong-sik of the Democratic Party. “It is a failed diplomacy that smacks of populism to deceive the people.”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Grand National Party, however, said energy and resources diplomacy should been seen in a long-term perspective and it takes time for the deals to produce concrete results.

Lee also has engaged in diplomatic efforts to sell Korea’s supersonic advanced T-50 Golden Eagle trainer jets to foreign buyers, including the U.A.E. and Singapore, but with little success.

Indonesia was seen as another possible buyer, but a recent scandal in which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llegedly broke into the hotel room of a visiting Indonesian delegation that was here to discuss the deal could derail the sale.

The most notable international economic achievement by the Lee administration has been the expansion of Korea’s free trade network.

In the past year, Korea has concluded FTA negotiations with the EU and the U.S., which would make it the first Asian country to have such trade pacts with two of the world’s largest economic players. Both FTAs still need to be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Kang Won-taek,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aid Lee’s political skills are needed now more than ever as opposition lawmakers fiercely resist the U.S. FTA, although the deal with the EU is seen as having a better chance for approval.

The Democratic Party accuses the Lee administration of accepting “humiliating” concessions on U.S. auto imports.

These deals followed last year’s signing of the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with India, which is expected to boost annual bilateral trade by as much as $3.3 billion according to estimates by th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India jumped 45 percent in the first 11 months of last year after the free trade accord took effect on Jan. 1 last year. Bilateral trade volume reached $15.6 billion in the January-November period last year against $10.8 billion in the same period in 2009.

Free trade talks with Peru were also concluded last year, while negotiations have been launched with the Persian Gulf states, Australia and Colombia.

Without doubt, Korea’s hosting of the G-20 Summit last year was hailed as the diplomatic highlight of the Lee administration. Many of the proposals made by Korea to improve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were approved by the world’s leading economic powers.

Th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claimed that the event would produc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benefits of up to 24.64 trillion won ($21.88 billion), including boosting Korea’s brand image.

Korea will host the Nuclear Security Summit next year and leaders from 50 countries are expected to participate.

Blue House officials said it will be the largest international event that the country will have hosted and an opportunity to solidify Korea’s position as a major play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Lee Eun-joo, Ser Myo-ja [myoja@joongang.co.kr]

Related Korean Article[연합]

[취임3년] 개헌.경제.대북.외교 현안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3년을 넘어서고 있다.

그동안 국내외적으로 영광된 순간, 어려운 순간이 교차됐지만 앞으로 남은 2년도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성공은 이제부터의 싸움이라는 게 대다수의 인식이다. 개헌, 대북관계, 경제 등 각 분야에서 이슈 관리는 물론 성과도 거둬야 한다는 주문이기도 하다.

◆개헌 = 개헌 단초는 이명박 대통령에서 시작됐다. 지난 2009년 8.15 경축사를 통해 `선거횟수 조정`과 행정구역 개편 필요성을 강조, 개헌의 운을 뗀 데 이어 연합뉴스.교도(共同)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을 정치개혁의 근원적 처방으로 제시했다.

한나라당도 개헌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며 호응에 나섰지만 세종시, 4대강 사업 등 당면 현안에 밀려 개헌론이 수면 밑으로 가라앉다 지난해 `왕의 남자`인 이재오 특임장관이 여의도 입성에 성공하는 등 7.28 재보선에서 승리하고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로 국정주도권을 잡은 여권은 다시 개헌론을 꺼내 들었다.

그 중심에는 이재오 특임장관과 안상수 대표를 비롯한 친이(친이명박) 주류, 김무성 원내대표가 섰으며, 지난 1월23일 대통령과의 `안가 회동` 이후 개헌론에 탄력이 붙었다.

나아가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신년좌담회를 통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면 개헌은 늦지 않다"며 정치권 논의를 촉구했다.

하지만 야당은 물론 여권 내 친박(친박근혜)계 등이 진정성에 의구심을 표시하며 논의 자체를 거부, 개헌 성사 여부는 미지수다.

여권 내 계파 갈등이 재연될 수 있는 데다 내년 대선을 향한 여야 잠룡(潛龍)들의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어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의 충돌` 소지도 적지않기 때문이다.

여권 내에선 구제역, 전셋값, 고물가 등의 현안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이 대통령의 개헌 드라이브와 함께 정치권 공감대 확산, 여론의 관심도 등에 따라 개헌 추진의 동력을 가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제 = 이 대통령의 재임 3년간 한국 경제는 위기와 극복, 나아가 재도약을 엿본 기간이었는 평가가 나온다.

세계 경제위기의 소용돌이에서 위기를 제일 빨리 이겨낸 국가라는 명성,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국제공조를 이끌어낸 나라로 꼽혔지만 곡물, 원자재 등 전방위 가격 급등과 집세 대란, 저축은행 부실 등의 위기가 기다리고 있고 재정 건전성 회복도 발등의 불이다.

첫해인 2008년은 경기가 힘을 잃은 가운데 유가가 배럴당 150달러를 향해 솟구쳤다. 정부는 금융안정을 위해 2008년 10월 초유의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 달러를 수혈했고 경기를 떠받치고자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맞섰다. 예산안을 증액해 다시 짠 데 이어 2009년에는 28조원 규모의 `슈퍼추경`으로 사회안전망을 두텁게 했다.

이 대통령은 2009년 1월부터 청와대 벙커와 현장에서 거의 매주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위기극복을 지휘했다. 그 결과 파이낸셜 타임스는 작년 4월 "한국은 위기 통제에 만점을 받았다"면서 "교과서적인 회복"이라고 평했다.

원ㆍ달러 환율은 2009년 3월초 1,570.30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안정세로 접어들었다. 취임 초 적자였던 경상수지는 2009년 이후에는 흑자기조를 다졌고 외환보유액은 지난달 사상 최대인 2천959억6천만달러로 불었다. 2008년 2월 1,700대였던 코스피지수는 2008년 10월 900대까지 곤두박질했다가 지금은 2,000을 넘나든다.

경제정책 기조는 `비즈니스 프렌들리` 성향에서 친서민 및 대ㆍ중소기업 상생 기조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2008년 대대적인 감세정책은 그 큰 틀이 고수되고 있지만 위기 때 `확장적`이었던 재정은 2014년 흑자전환을 위해 `긴축적`에 가깝게 됐다.

석유ㆍ원자재ㆍ곡물 가격 상승은 집권 4년차 벽두부터 물가를 밀어올려 `물가와의 전쟁`이 과제로 떠올랐다.

서민의 삶을 직접 위협하는 전세 대란도 시급한 숙제고, 구제역에 대한 재발 방지나 침출수 등 후유증 방지 대책도 급하다. 부실이 곪아 터진 저축은행 해법도 강구해야 한다. 8%를 웃도는 청년실업률도 근본 처방이 필요하다. 숙제가 많은 경제인 셈이다.

◆대북관계 = 이 대통령의 취임 3년에서 남북관계에 대한 평가는 보는 지점에 따라 엇갈린다.

과거 정부와 달리 북한에 휘둘리지 않고 대북 정책에서 원칙과 일관성을 유지했다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대북관계에서 유연성이 부족해 남북간 긴장을 고조시킨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통일재원 마련을 위한 정부안이 상반기 중으로 나오는 등 통일 준비에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도 있다.

현 정부는 출범과 함께 북한핵 폐기와 개혁개방을 전제로 북한 경제를 1인당 소득 3천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이른바 `비핵.개방.3000`을 내걸었다.

그러나 북한은 2009년 장거리 로켓 발사시험과 2차 핵실험에 이어 지난해에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을 일으켰다. 2008년 7월11일에는 고(故) 박왕자씨 피격사건으로 금강산 관광과 개성관광도 중단됐다.

정부는 대화 재개 조건으로 잇단 도발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 등 진정성 확인을 명확히하고 있어, 향후 남북관계는 가변성이 적지 않다는 관측이다.

현정부에 남은 향후 2년은 남북 모두에 관계 개선에 대한 수요가 있다.

북측으로서는 후계체제의 안정화, `2012년 강성대국`을 위해 외부 지원이 절실하고 6자회담으로 가기 위해선 남북대화를 거쳐야 한다.

우리 정부 입장에선 현 상태로 남북관계를 임기 말까지 끌고 가는 데 대한 부담이 만만치 않다. 이에따라 정상회담을 통한 큰 틀의 해법 모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남북관계를 실무적 차원에서 풀기는 갈등의 골이 너무 깊어졌다"며 "정상 차원에서 접근법이 필요한데 여전히 기회는 살아있다"고 말했다.

◆외교 = 지난 3년간 외교정책의 핵심 목표는 국격 제고였고 그 성과의 중심에는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린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있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정상 등 `슈퍼 파워`들이 한자리에서 머리를 맞댄 국제회의를 무난히 치러내면서 세계속의 위상이 상승했다.

특히 선진국이 아닌 국가에서 G20 정상회의를 처음 개최했고 우리 정부의 제안으로 개발 의제가 최초로 다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선진국과 개도국의 이해관계 조정 역할을 무난히 해낸 점이 돋보인다.

2012년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를 유치한 것도 큰 외교적 성과다.

지난해 4월 미국에서 열린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국이 차기 회의 개최국으로 확정됐고 이 회의에는 50여개국 정상들이 참여해 한국으로서는 역대 최다 정상이 참석하는 국제회의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한국은 지난해 12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가협상을 타결함으로써 한미동맹을 다각도로 심화시킬 있는 기회를 맞았다.

또 지난해 8월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가 한일 강제병합 100년을 맞아 담화를 통해 병합이 강제적으로 이뤄졌음을 간접 시인하는 등 전체적으로 한일관계가 더욱 긴밀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자원외교를 강화하고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공적개발원조(ODA) 등 기여외교에도 신경을 썼다.

그러나 중국을 상대로 한 외교는 여전히 난제다. 지난해 천안함 사태 등 북한의 도발로 긴장이 고조됐을 때도 국제무대에서 북한을 두둔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이에따라 정부가 한미동맹에 지나치게 치중하면서 대중 외교에는 소홀했다는 비판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