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lience to external risk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silience to external risks



Dark clouds loom over the global economy, according to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Yoon Jeung-hyun, who warned government officials to gear up for a tumultuous storm with limited policy options.

The external economic environment is that perilous. International grain prices are on an upward spiral and oil prices are reaching crisis levels.

An export-driven economy such as Korea’s, which depends entirely on imported oil to run its industrial base and has a food self-sufficiency rate at just 27 percent, is vulnerable.

Housewives and drivers are dumbfounded by skyrocketing consumer and gasoline prices. Yet the government has little ammunition to fight the external cost-triggered inflation.

Still, the government cannot avoid criticism for its slow response - despite the ominous signs that a storm was brewing. The shock and damage would have been less if the government had prepared better.

The spike in prices has long been forecaste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arned in June last year that countries with low self-sufficiency ratios could face a food crisi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lso earlier in the year predicted a sharp surge in commodity prices.

Many had warned of inflationary risks when prices hovered above the potential economic growth rate, but the government still sat on its hands.

Instead, the government shrugged off the warnings, repeating its confidence of attaining targets of 5 percent growth and inflation under 3 percent. Overconfidence lead to ineptitude.

But it is no time for a blame game. As the finance minister pointed out, we are left with few policy options.

The best the government can do for now is to flexibly employ whatever financial and monetary ammunition it has.

It must first of all give up the vain ambition of attaining both growth and inflation targets. The government must also hold tight and steer the ship in the direction that the wind and new risks take us.

In the long run, it must actively shape the economy to be more resilient to external risks from a surge in grain, commodity and oil import prices.

It is time the economy outgrow external shocks.

“정부 정책 공간이 좁아지고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어제 세계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웠다면서 “정부의 정책 공간이 점점 좁아지고 있다”고 했다. “역풍에 돛을 펴야 하는 상황이니 긴장의 끈을 놓지 마라”는 당부도 했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그만큼 지금 상황은 녹록치 않다. 국제 곡물가는 급등하고 있고, 제3차 석유위기가 도래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데다, 식량 자급률도 27%가 채 안 되니 그 충격은 고스란히 우리에게 전해진다.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고 있고, 휘발유 가격도 연일 상승세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세계경제환경의 변화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이런 상황을 예견하고 대비하지 못한 정부 책임은 적지 않다. 진작 정부가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면 충격의 파장은 덜 했을 것이다. 사실 물가 급등은 이미 예측됐다. 지난 해 6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식량농업기구(FAO)는 “자급도가 낮은 국가의 식량안보에 비상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그보다 한참 앞서 유가와 구리 등 원자재 값이 급등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지난 해 잠재성장률을 훨씬 웃도는 성장을 했을 때도 물가 우려는 터져 나왔지만 정부는 별다른 대비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5% 성장과 3% 물가상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며 의욕을 부렸다. 우리는 당시 절대로 과욕은 금물이라고 지적했지만 정부는 귀 기울이지 않았다.

이제 와서 누구 잘못이 더 큰가를 따지자는 건 아니다. 그러기엔 지금의 현실이 매우 심각하다. 윤 장관 말처럼 우리가 쓸 수 있는 정책 수단도 별로 없다. 해법은 정부가 경제정책을 대단히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것뿐이다.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도그마는 철회해야 한다. 대신 긴장의 끈을 늦추지 말고, 우선순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운용의 묘(妙)를 살려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국제 곡물가와 유가에 취약한 구조를 혁신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 외부 환경에 가장 취약한 나라라는 오명(汚名)을 벗을 때도 됐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