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duty to protect the songs of childre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ur duty to protect the songs of children



Mencius believed in the innate goodness of children. He believed that everyone is born a good person, and therefore, if a person can keep the mind of a child even after becoming an adult, the world will find peace.

Meanwhile, Jean-Jacques Rousseau, famous for his “Social Contract,” was a Western advocate of innate goodness. He also believed that we need to be careful not to let the good, innocent mind of a child become polluted by adults.

Bang Jeong-hwan, the educator and cultural advocate who founded Children’s Day in Korea, and Yun Seok-jung, the children’s book writer and poet, were notable Koreans who loved children.

Yun, in particular, thought that writing nursery rhymes was a good way to enlighten children. Starting with his 1924 book “Nursery Rhymes by Yun Seok-jung,” his first collection of children’s songs,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writing children’s poetry, producing lyrics to more than 800 songs such as “Plop, Plop” and “Half Moon in the Daylight.”

There are two kinds of children’s songs in Korea. Traditional folk songs, such as “Bird, Bird, Blue Bird” and “Toad,” a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hile children’s songs written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llow the Western musical style.

Following “Half Moon in the Daylight” in 1924, many children’s songs were written and sung through the 1930s. Hong Nan-pa and other pioneers wished to inspire nationalism and patriotism through children’s songs such as “Garden Balsam.” In the 1940s, many children’s songs with meaningful lyrics were banned by Japan. The songs were considered to have profound themes and high artistic quality because the visionaries tried to enlighten children in the colonial period.

But the tradition of children’s songs is struggling to survive today. MBC recently decided to discontinue the Children’s Creative Song Festival, which has produced many great children’s songs for 28 years since 1983. The festival is so prestigious that 14 songs from the festival have been included in many textbooks.

MBC’s Web site bulletin board is filled with appeals to keep the festival going. After all, many young kids are training to dance and sing to emulate their favorite K-pop groups.

And even when commercialism prevails, it is the duty of the grown-ups to protect the innocent minds of children and support their dreams.

*The writer is a senior international affair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Nam Jeong-ho

동요의 수난

성선설의 주창자 맹자는 '동심(童心)'을 핵심 덕목으로 쳤다. 태어날 때 인간은 본디 선하므로 커서도 흰눈같은 동심을 지킬 수만 있다면 세상이 화평해질 걸로 믿었다. "대인이란 자신의 어릴적 마음을 잃지 않는 자 (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也)"라고 설파한 것도 그래서다.

서양판 성선설 신봉자는 '사회계약설'로 유명한 장 자크 루소다. 저서 『에밀』에서 "조물주의 손을 떠날 때는 모든 것이 선하나 인간의 손에 들어오면 다 나빠진다"고 했다. 그러니 선한 동심이 어른들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는 게 그의 철학이었다.

한국에서 무엇보다 동심을 소중히 여긴 이로는 소파 방정환과 아동문학가 윤석중이 있었다. 올해가 탄생 100주년인 윤석중은 호를 '석동(石童), 즉 '돌아이'라고 지을 정도로 아이들 사랑이 지극했다. 그는 특히 동심을 가꾸는 방법으로 동요를 중시했다. 1924년 '윤석중동요집'을 발간한다. 한국의 첫 동요집이다. 그는 동요 작사에 평생을 바쳐 '퐁당퐁당', '낮에 나온 반달' 등 주옥 같은 동요 800여개의 노랫말이 그의 손에서 나왔다.

한국의 동요는 크게 두가지다. '새야새야 파랑새야', '두껍아, 두껍아' 등 작자 미상의 전래동요와 일제시대 이후 서양음악 형식에 따라 만들어진 창작동요가 그것이다.

1924년 '반달'을 시작으로 선보인 창작동요는 30년대말까지 부흥기를 맞는다. 홍난파 등 선각자들이 '봉선화' 같은 창작동요를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려 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40년 이후 주옥같은 동요들이 일제에 의해 금지곡으로 묶이기도 했다. 한국의 동요가 외국보다 훨씬 많고 예술성도 높다는 평을 듣는 데엔 이런 배경이 작용했다.

이처럼 빛나는 역사의 동요가 요즘 수난이다. 1983년 출범 이후 28년간 한국 동요의 산실이었던 MBC 창작동요제를 최근 방송국측이 없애기로 했다 한다. 이 행사는 14곡의 입상곡이 초·중·고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유서깊은 대회였다. 지난해엔 EBS 고운노래발표회도 사라졌다.

MBC 게시판엔 창작동요제를 살려달라는 애절한 호소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아이돌 그룹을 키운답시고 어린 초등생들을 데려다 엉덩이를 흔들고 괴성을 지르도록 맹훈련을 시키는 세상이긴 하다. 허나 아무리 상업주의가 판친다지만 순결한 동심을 지켜주고 아이들의 고운 꿈을 키워주는 게 어른들의 의무 아닌가.

남정호 국제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