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 have all the good runners gon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ere have all the good runners gone?



Korea, China and Japan all use Chinese characters, but the same word is often used with a slightly different connotation depending on the country in which it is used.

Take the word chulma, or candidacy. The word literally means “going out on horseback.” The Chinese say that someone “goes out on horseback to run in a race.” In Japan, however, chulma means “going out on horseback to fight in a war.” In other words, the Japanese look at an election as a life-and-death battle.

In Korea, the concept of candidacy is more complex. It is a mixture of winning and losing a “race” and a “tournament” of life and death. Politicians come together and break up, a runner falls out of the race but then comes back. That makes elections difficult to predict.

In the past, officials were selected through nomination, appointment and examination. Today, they are selected through elections. Still, the essence of politics and government remain the same. Jeong Yak-yong, a Joseon Dynasty scholar, asked: “Do people exist for the officials, or do the officials exist for the people?”

The three basic traits a politician should have are: control over his own mind, respect for the government and love of the people. Politics is the art of understanding the rich and the poor, the powerful and the weak, the good and the evil, and the wise and the dull.

Moral goodness is the most valuable quality expected of a politician. Zhu Xi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discussed nine virtues in his book. A politician needs to be generous yet dignified, soft yet firm, sincere yet courteous, dominant yet servile, familiar yet resolute, upright yet mild, simple yet delicate, rough yet loyal and strong yet righteous.

Of course, no one in the world possesses all of these virtues. Goryeo scholar Lee In-ro wrote: “If an animal has a horn, it does not have teeth. A beautiful flower does not yield fruit.” Yet if you want to serve the people, you should have some traits to be proud of.

I’m not sure if the candidates running in the April 27 by-elections have given any serious thought to the meaning of politics and government. And I don’t know if any of them can say that they are in possession of any of the nine virtues. There are so many controversies these days, and many candidates are trying to take advantage of them. But voters are sick of seeking the lesser among evils, and a muddy race is the last thing they want.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출마(出馬)

같은 한자(漢字)라도 한·중·일간 뉘앙스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 한자어 출마(出馬)를 보자. 중국은 '경선(競選)에 출마'한다고 한다. 선거를 일종의 '레이스(race)'로 보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에선 출마가 '말에 올라 전장(戰場)에 나서는 것'을 의미한다. 선거도 생사(生死)가 갈리는 전투로 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중세 유럽의 마상시합인 '토너먼트(Tournament)'와 유사하다. 여기선 죽었다가 살아나는 '패자부활'이 없다.

그런데 한국은 좀더 복합적이다. 이기고 지는 '레이스'와 죽고 사는 '토너먼트'가 섞였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이합집산(離合集散)이 더해지고, 낙마(落馬)했다가도 물구나무 서서 달려 입성하기도 한다. 그래서 '출주표'가 나와도 결과를 가늠하기 어지럽다.

천거(薦擧)와 과거(科擧)를 지나 선거(選擧)로 뽑는 시대가 왔지만, 정치와 목민(牧民)의 본질은 그대로일 것이다. 조선의 정치학자 정약용은 "관리를 위해 백성이 있느냐, 백성을 위해 관리가 있느냐"고 반문하며 목민의 자세로 자신을 다스리고, 공을 받들며, 백성을 사랑하는 세 가지를 정치인의 기본자질로 들었다. 그러면서 "정치란 백성을 고르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백성의 빈부(貧富)·강약(强弱)·선악(善惡)·현우(賢愚)을 가늠해 바르게 하는 것이 정치란 얘기다. 그런데 4·27 재·보선에 출마하겠다는 이들이 목(牧)과 정(政)의 본 뜻을 제대로 생각이나 해봤을까.

그보다는 덕(德)이 먼저일 것이다. 송(宋)의 주희(朱熹)는 자신의 책에서 '구덕(九德)'을 논한다. 다시 말해, '너그러우면서 위엄, 부드러우면서 확고, 성실하면서 공손, 다스리면서 공경, 익숙하면서 의연, 곧으면서 온화, 간결하면서 세심, 억세면서도 충실, 강하면서 의로움'이다. 그렇지 않으면 '천하대사(天下大事)'가 어지러워진다고 했다. 출마자로서 과연 "나는 그렇다"고 할 항목이 몇 가지나 있을까.

물론 세상에 잘나고 좋은 것을 다 갖춘 사람는 없다. 고려의 학자 이인로는 『파한집(破閑集)』에서 "뿔이 있으면 이빨이 없고, 이름난 꽃은 열매가 없다"고 했다. 그렇다손 쳐도, 기왕 선량(選良)으로 출마하는데 뭔가 내세울 점이 있으려나. 벌써부터 이러쿵 저러쿵 말도 많은데, 말꼬리에 붙어 천리를 가려는 선거꾼들이 왱왱거린다. '차악(次惡)'을 가리기에도 지친 국민들에게 진흙탕 레이스나 아니면 좋겠다.

박종권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