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murai and the Fukushima Fift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samurai and the Fukushima Fifty



The volcanic island of Iwo Jima in southern Japan was the place where fierce battles took place during the Pacific War in 1945. Waiting to face U.S. forces, the Imperial Japanese Army was in a dilemma. It desperately needed underground bunkers, but underground construction seemed nearly impossible due to sulfur fumes and a ground heat of 60 degrees Celsius. So the soldiers formed teams and alternated. The first team would go in and begin digging, and when they felt dizzy after 10 minutes or so, another team would go in and take over. They remind us of the Fukushima Fifty, the team of nuclear power plant workers who have taken the job of cooling the reactors, risking radiation exposure.

The network of underground bunkers and tunnels became instrumental in the Japanese Army’s resistance against the U.S. forces. The number Japanese casualties was 20,700, while 28,000 American soldiers were killed or injured. The casualties may seem smaller on the Japanese side, but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deaths alone, it becomes a different story. While 6,800 American soldiers were killed, nearly all 20,700 Japanese died. Since surrender is considered a humiliation in Bushido, or “the way of the warrior,” also known as the samurai code of conduct, the Japanese soldiers chose to give their lives in battl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udal lords and vassals became stronger, the samurai code became a virtue. The 17th century book “Hagakure” - a bible for the Samurai - claims that Bushido is a constant reminder of what an honorable death is. It teaches that a samurai must begin a day by meditating about death. Yukio Mishima, a nationalist writer who committed a ritual suicide by disembowelment, was inspired by “Hagakure.”

The samurai’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is deeply rooted inside the minds of the Japanese. A meaningful death is just as important as how you live your life. The mindset is often exploited by the authorities. Young kamikaze fighters were encouraged to send dive bombers into U.S. warships as a sacrifice for the country.

But if a sacrifice is made to save the lives of others, the death is noble and honorable. Those going into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lant reportedly have a chance of dying within two weeks, but the number of volunteers has grown from 50 to 580. It is truly inspiring and moving that they are not reluctant to sacrifice their own lives to save the lives of others.

*The writer is a senior international affair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Nam Jeong-ho

원전 결사대

1945년 태평양전쟁 당시 처절한 전투가 벌어졌던 일본 남단의 화산섬 이오지마(硫黃島). 이곳에서 미군과의 결전을 기다리던 일본군은 심각한 고민에 빠진다. 지하진지가 절실했지만 작업화 바닥을 녹이는 60도 지열과 치명적인 유황가스로 굴착 작업이 불가능해 보였던 것이다. 결국 조를 짜서 교대하는 궁여지책이 채택됐다. 병사 몇 명이 10분쯤 땅을 파다 혼미해지면 뛰어나오고 그러면 다음 조가 투입됐다. 요즘 쏟아지는 방사선 속에서 냉각수를 퍼붓는 후쿠시마 원전 결사대의 모습 그대로다.

눈물겹게 구축한 지하요새 덕에 일본군은 미군에게 심각한 타격을 줬다. 2만700여 명의 일본군 사상자가 나왔지만 미군은 2만8000여 명이 죽거나 다쳤다. 언뜻 일본 측 피해가 적어 보이지만 전사자만 따지면 사정이 달랐다. 미군은 6800여 명만이 숨진 반면 일본군은 2만700여 명 거의가 전사자였다. 항복을 수치로 여기는 무사도에 입각해 전장에서 산화하는 ‘옥쇄(玉碎)’가 감행됐던 탓이었다.

일본 무사들이 원래 목숨을 초개처럼 여겼던 건 아니다. 12세기 중엽 전국적인 전투가 벌어졌던 ‘보원(保元)의 난’ ‘평치(平治)의 난’ 때 전장에서 죽은 사무라이는 10명 남짓이었다. 싸움에서 지면 당장 도망치거나 항복했기 때문이다.

이랬던 일본 무사들은 세월이 가면서 변한다. 봉건적인 주군-가신 관계가 강화되면서 보스를 위해 서슴없이 죽는 게 미덕이 된 거다. ‘사무라이의 바이블’로 통하는 17세기 『하가쿠레(葉隱)』는 아예 명예로운 죽음을 늘 생각하는 게 무사도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죽음에 대한 묵상으로 하루를 시작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일본 군국주의의 재부활을 외치며 할복 자살한 유명작가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에게 영감을 준 것도 이 책이었다.

이런 사무라이식 사생관은 현 일본인들의 뇌리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어떻게 잘 살 것인가 못지않게 의미있는 죽음이 중요한 것이다. 이 같은 사고방식은 때론 악용되기도 했다. 젊디젊은 ‘가미카제’ 대원들로 하여금 폭탄 비행기를 몰고 미군 군함에 돌진하도록 한 것도 사무라이식 사생관이었다.

그러나 이런 관념이 남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발휘되면 더없이 숭고해진다. 2주 내 사망 가능성이 적잖다는 후쿠시마 원전 결사대에 자원자들이 속속 모여들어 50명에서 580명으로 늘었다는 소식이다. 의미있는 죽음을 마다 않는 이들의 결단에 옷깃이 여며진다.

남정호 국제 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