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od crisis in the North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food crisis in the North



The United Nations is again drawing attention to the food crisis in North Korea, urg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ume food aid to the reclusive, poverty-stricken country.

Two UN agencies - the World Food Programme and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 visited 40 counties in nine provinces in North Korea from February to early March and concluded that more than 6 million people, or about a quarter of the country’s population, are in urgent need of food assistance.

They concluded that hundreds of thousands of tons of food aid are needed to prevent starvation and malnutrition among North Koreans.

These latest findings are likely to put pressure on the United States to resume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suspended since 2009, as President Barack Obama has been suggesting that Washington will keep humanitarian and political issues separate.

Mark Toner, U.S. State Department spokesman, said in a press briefing that food assistance to North Korea would be kept separate from politics.

U.S.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Chairman John Kerry said the UN study is “dire” and urged resumption of food aid if there are assurances that the supplies would reach civilians in need.

The Obama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the study the timing and scope of aid through consultations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maintained that it will resume food aid once North Korea offers a sincere apology for its attack on the Cheonan and Yeonpyeong Island. Although it is not in a position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aid effort immediately, it is still considering its participation for the sake of children and elderly.

Given the North’s severe food situa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not deny offering indirect assistance through international donors, especially if Washington resumes aid.

Bu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enhance monitoring to assure that aid supplies reach civilians and not the military or the elite.

Donors must secure a guarantee from Pyongyang officials on transparency in distribution of the supplies. If humanitarian aid fails to reach the residents, the North Korean regime would simultaneously be betray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s people.



유엔이 북한에 대한 대규모 식량 지원을 국제사회에 권고했다. 유엔은 지난달부터 이달 초까지 북한에 실사단을 보내 식량 부족 실태를 조사해 왔다.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유니세프(UNICEF) 등 3개 기구는 북한의 9개 도, 40개 군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600만 명 이상의 북한 주민에게 43만t의 식량을 긴급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국제사회의 대북 식량 지원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미국의 행보가 우선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인도주의적 문제와 정치적 문제는 분리하겠다며 그 동안 대북 식량 지원을 강하게 시사해 왔다. 마크 토너 국부무 부대변인은 그제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식량 지원의 기준은 정치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도 엄격한 분배 모니터링을 전제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식량 지원 재개를 촉구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유엔 기구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 작업을 시작으로 지원 규모와 시기 등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와의 물밑 협의가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부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를 대북 식량 지원과 연계하고 있다. 따라서 당장 지원에 나서긴 곤란할 것이다. 다만 영유아를 비롯한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재개하겠다는 입장이다. 현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대북 직접 지원은 어렵더라도 국제기구를 통한 간접 지원 가능성까지 배제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미국이 대규모 지원에 나설 경우 우리가 난처해질 수 있다.

물론 전제는 있다. 북한에 지원된 식량이 필요한 주민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 감시할 수 있는 철저한 모니터링 체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대북 지원에 앞서 국제사회는 북한 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분배의 투명성부터 확보해야 한다. 북한에 들어간 식량이 굶주린 주민들에게 가지 않고, 군용미로 전용되거나 기득권층을 배 불리는 데 쓰인다면 이는 인도주의에 대한 우롱이고, 모독이다. 식량지원에 앞서 분배의 투명성 확보가 우선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