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utobiography as self-defens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autobiography as self-defense



“The Apology of Socrates” is Plato’s version of a Socrates speech, which he made in court in his own defense. In this case, “apology” has the original meaning of defending one’s actions or beliefs. Although it is the basis for the English word “apology,” an “apologia” is more like self-defense. When it is closer to self-criticism, however, it becomes more like the “Confesssions” of Aurelius Augustinus or Jean-Jacques Rousseau, the latter of which is considered the origin of the present-day autobiography.

A memoir is a subclass of autobiography. Both are written in first-person perspective and describe events and people from the writer’s point of view. The primary purpose of both is self-flattery, settling scores or self-defense. But a problem arises when the author goes too far to represent him or herself. A revealing autobiography that makes irresponsible or false statements often becomes the talk of the town.

Though rare, there are people who reveal their own weaknesses in an autobiography. That is what novelist Georges Simenon, who created the character inspector Jules Maigret, did in “Intimate Memoires,” which he wrote in 1981 at the age of 78. He revealed stories that could have been taken from his novels - his affairs with countless women, most notably Josephine Baker, his ill-fated daughter who committed suicide at the age of 25, and his wife, who feigned ignorance of his affairs.

Anthony Quinn’s 1995 autobiography, “One Man Tango,” is written in no less a frank manner. He had affairs with a mother and daughter at the same time on two occasions - they were legendary actress Ingrid Bergman and her daughter.

Through his autobiography, Simenon reflected on his failure as a father and a husband, despite his success as a writer. Quinn’s autobiography was a reflection on his life as a whole.

A recently published memoir by Shin Jeong-ah, who was convicted of forging her Yale degree and embezzling from a museum, has caused quite a stir in Korea. Of course, some of the events are randomly restructured based on her memory. But the book cannot be considered a confession because she insists “It was a mistake to get help from a broker, but I did not forge my academic records myself.” The book has become a best seller, which is odd for a book so lacking in self-reflection. It seems that the only similarity between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and this woman is that they were both out to defend themselves.

*The writer is a culture and sport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 Sun-min

자서전 윤리학

플라톤이 쓴『소크라테스의 변명』은 소크라테스의 법정 변론이다. 그는 “내 목숨이 붙어있는 한 결코 지(知)를 사랑하고 추구하는 일을 그만두지 않을 것”이라고 외쳤다.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쓴 작품을 고대 그리스·로마시대엔 ‘아폴로기아(apologia)’라고 했다. 영어 ‘apology(사과)’의 어원이다. 변명보다는 변론, 변호가 더 맞는 번역이다. 자아비판적 성격이 더해지면 아우구스티누스의『고백록』이나 루소의『참회록』같은 기록이 된다. 오늘날 자서전(自敍傳)의 연원인 셈이다.

자서전의 아류(亞流)는 회고록(memoir)이다. 자서전과 회고록은 자신의 시각에서 특정 사건·인물을 서술한 1인칭 스토리텔링이다. 으뜸 기능은 자기정화다. 글 쓰는 과정에서 마음의 응어리를 푸는 것이다. 자기방어 기능도 있다. 안데르센이 세 번이나 자서전을 냈던 이유도 평론가들의 혹평에 맞서기 위해서였다. 문제는 자기정화·자기방어가 도를 넘어설 때다. ‘아님 말고’식 폭로성 자서전에 윤리의 문제가 빈번히 거론되는 건 그래서다.

미화 대신 치부(恥部)를 드러내는 쪽을 택하는 이들도 드물게 있다. ‘메그레 경감’의 창시자로 유명한 소설가 조르주 심농도 그랬다. 78세 되던 81년 출간된 『내밀한 회고록』이다. 그는 셀 수 없이 많은 여성과의 불륜, 아버지인 자신을 사랑해 스물다섯살에 자살한 비운의 딸, 남편의 외도를 모르는 체 하며 가짜 오르가즘을 연기했던 아내 등 통속소설 같은 사연을 털어놓는다. 적나라함이라면 대배우 앤서니 퀸의『원 맨 탱고』(95년)도 못지 않다. 모녀(母女)와 동시에 연애를 한 것만 두 번(그 중 한 번은 전설의 스타 잉그리드 버그먼 모녀였다), 그 중 두 번째 연애를 할 당시 그는 기혼자였다. 심농이나 퀸은 카사노바적 행각을 떠벌리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심농의 글은 성공한 작가지만 실패한 아버지·남편이었던 그의 반성문이다. 퀸에게 자서전은 “스스로에 대한 평가작업”이었다.

학력위조 파문을 일으켰던 한 여성이 최근 낸 자서전으로 한국사회가 떠들썩하다. 자의적으로 재구성된 기억이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남(브로커)의 도움을 받은 건 잘못이지만 학력위조를 직접 하진 않았다”는 주장은 참회에서 나왔다고 보긴 힘들다. 성찰이 빠진 비윤리적 자서전이 초판 매진되는 열기도 수상쩍다. 진리를 변론하다 죽은 고대 철학자와 이 여성이 닮은 건 ‘확신범’이라는 점 외엔 없는 것일까.

기선민 문화스포츠 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