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ty matters with seals and signatur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dentity matters with seals and signatures



The use of a seal as a form of identification and a symbol of status and authority goes back to ancient times. In 4,000 B.C., the Sumerians in Mesopotamia used a stamp engraved on a clay cylinder. In 3,000 B.C., Egyptians created signet rings that had seals on them.

The oldest seal in China was discovered in Yinxu, the ancient capital of the Yin Dynasty (1600 to 1046 B.C.). The system of the official seal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Emperor Qin Shihuang. An official titled “Fujie Ling” was in charge of overseeing various official seals of the court. The seal used by the emperor was called Xi, or the great seal. Before Emperor Qin, emperors used seals made of clay or ceramic, but Emperor Qin was the first to use stamps made of jade. During the Han Dynasty, officials kept government seals on a string around their waists. Today, the Chinese still say, “He will be wearing a stamp around his waist” when someone enters government service.

The heyday of seals was in medieval Europe. Seals were no longer used exclusively by kings and aristocrats. Universities, guilds and individuals began to use them as well.

Signatures began to replace seal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use of signatures was seen as a more sophisticated form of identification among intellectuals who knew how to read and write. The benefit of the signature was that it could not easily be forged by people who couldn’t write, while seals and stamps could be stolen and fabricated by anyone.

The Joseon Dynasty, too, had a history with signatures. Aristocratic yangban families wrote their name and title on contracts and signed letters instead of using a seal. Those who couldn’t write used what was called a “hand signature.” A person would draw an outline of one finger - the middle finger on the left hand for men and the middle finger on the right hand for women.

The system of using registered seals, or ingam, was introduced in Korea in 1914 and is to be abolished next year. The only official means of authenticating a document will be an original signature. This measure was taken to prevent ingam forgery and fabrication and to follow the trend of using signatures. But is a signature really safe from forgery or fabrication? Perhaps we have to think like Joseon Dynasty politician Yi Hang-bok - who punctured small holes with a needle at both ends of his signature to prevent against forgery - and come up with more clever ways of ensuring that signatures are authentic.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인감(印鑑) 퇴출

도장(圖章) 혹은 인장(印章)의 역사는 유구하다. 고대 사회에서부터 본인 확인의 징표, 신분과 권위의 상징물이었다. 기원전 4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수메르인들은 원통형 점토에 조각한 인장을 사용했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선 인장과 반지를 결합시킨 ‘인장 반지’가 만들어졌고, 이는 로마제국으로 이어졌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장은 기원전 14~11세기 은나라 도읍지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은새(殷璽)다. 나무토막 서간(書簡)을 봉하는 진흙에 인장을 눌렀다고 한다. 봉니(封泥)라고 불린다. 인장 제도가 정비된 건 진시황 때다. ‘부절령(符節令)’이란 관직을 두고 각종 인장 관리를 맡겼다. 황제가 쓰던 인장이 새(璽)다. 진시황 이전엔 재질이 흙이나 도기다. 진시황이 옥(玉)으로 만들면서 비로소 옥새(玉璽)로 불렸단다. 한(漢)나라 때 관리에게 준 관인(官印)엔 수(綏)라고 하는 끈이 달려서 관인을 허리에 찼다. 관직에 나가는 걸 ‘인수(印綏)를 띤다’고 했던 까닭이다.

인장의 전성기는 유럽 중세 때다. 왕·귀족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대학과 길드, 개인들도 사용했다. 그러나 15~16세기경부터 사인(sign), 즉 서명의 시대가 시작된다. 글을 아는 지식인들에게 사인은 인장보다 세련된 증명 표시였다. 물론 도난이나 위조로 인장이 악용되는 것을 막으려는 목적이 더 결정적 계기였다. 글씨를 모르면 사인을 모방하기 쉽지 않았을 테니까.

조선시대에도 사인 관습이 있었다. 양반가에서는 거래·계약 문서에 직함과 이름을 적고, 인장 대신 글자 모양을 그려 서명했다. 이름을 초서로 흘려 쓰거나 글자체를 뒤바꾸는 식이다. 글자를 모르는 상민이나 천민은 ‘수촌(手寸)’이란 서명법을 썼다. 문서에 손가락을 대고 윤곽을 그려 넣은 것이다. 남자는 왼손 가운데 손가락을, 여자는 오른데 가운데 손가락을 사용했다.

1914년에 도입된 인감 제도가 내년부터 사라진다는 소식이다. 도장 대신 서명이 쓰이는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인감 위·변조 사고를 막고, 서명 보편화 추세에 부합하려는 조치라고 한다. 그런데 서명은 위·변조로부터 안전할까. 병조판서 백사 이항복이 자신의 ‘수결’ 양끝에 몰래 바늘구멍을 내 진위를 가린 것처럼 묘안을 짜내야 할 지도 모를 일이다.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