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brother, where art thou?

Home > National > Social Affairs

print dictionary print

O brother, where art thou?

테스트

Col. Park Sin-han, left, head of the remains recovery team, delivers to Lee Myeong-deok, right, the only surviving family member, a letter of condolence issued by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Kim Kwan-jin to inform him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younger uncle, along with some recovered belongings, including bullets and the uncle’s dog tag. By Song Bong-geun


Two brothers killed in the Korean War will be posthumously reunited after the military recently recovered the younger sibling’s remains. They will be buried together at the Seoul National Cemetery soon.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 special team searching for soldiers killed in the war recovered the remains of a soldier last October near Mount Baekseok in Yanggu, Gangwon. After DNA analysis, the body was identified as Sgt. Lee Cheon-wu, who joined the Army in September 1950, following his older brother Man-wu.

“Sergeant Lee was 19 years old when he joined the military, one month after his elder brother,” said Col. Park Sin-han, head of the remains recovery project. “To protect this country, the two soldiers walked 3,400 kilometers [2,113 miles], fighting in battles to enter Pyongyang and to recover Seoul. They served in different units, and sadly never encountered each other during the war.”

Park said the elder brother, who was a 20-year-old staff sergeant, was killed in action in Gyeonggi in May 1951. Only four months later, his brother was killed in Gangwon.

Based on military records, Sergeant Lee was believed to be a brave soldier, the Defense Ministry said in a press release, noting that he was awarded two posthumous honors in 1954, though his remains were unrecovered.

In contrast, the elder brother’s body was recovered and laid to rest in the Seoul National Cemetery in 1960, but his family was never informed. The brothers’ parents and remaining siblings have since died. The only surviving family member is a nephew, Lee Myeong-deok, 60, who lives in Busan.

After the ministry informed the nephew it had located the grave of the elder brother and recovered the remains of the younger, he expressed the desire that his two uncles be laid to rest together after 60 years apart.

“I still remember the grief of my grandmother having lost two sons in battle and not knowing where their bodies ended up,” Lee Myeong-deok said. “I am so happy to finally know what happened to my two uncles.”

Colonel Park and senior military officials yesterday delivered to Lee a letter of condolence issued by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Kim Kwan-jin to inform him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younger uncle, along with some recovered belongings, including bullets, a button and Lee’s dog tag. “Although it may be belated, the delivery of the letter to his home was a way of paying the nation’s utmost respect to its citizens for having sent their sons into the military,” said Park.

“All remains recovered and identified through our recovery efforts will be handled in the same way, and the same respect will be paid to families,” he said. “This is an expression of the government’s will to appreciate the sacrifices of the fallen soldiers and their families, and a promise that no remains will be left in this soil without proper treatment.”

According to Kim Il-saeng, deputy minister for personnel and welfare, the government began recovering remains of soldiers killed in the Korean War in 2000. In 11 years, 4,700 remains were recovered, along with the remains of 800 enemy soldiers.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140,000 South Korean soldiers were killed, while 82,000 are listed as missing in action.


By Ser Myo-ja [myoja@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전사 60년만에 현충원 형 곁에 묻히는 동생

“이천우 이등 중사 전사” 유족 찾아 전달
“형 만날 거야” 19세 막내는 6·25 전쟁터로
60년 만에 찾아낸 유해 형 옆에 묻히다


“국가는 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5일 오후 4시30분. 부산시 수영구 망미2동 e-편한세상 아파트 201동.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한 용사의 유해를 유족에게 전달하면서 군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재수 육군 53사단장과 박신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대령)은 ‘호국의 얼-고 이등중사 이천우’라고 적힌 상자를 들고 있었다. 아파트에 사는 이명덕(61)씨가 이들을 맞았다. 이 사단장이 상자 뚜껑을 열고 김관진 국방부 장관 명의의 위로패를 읽었다.

“6·25전쟁 때 양구 백석산 전투에서 장렬히 산화한 호국용사의 유해를 뒤늦게 가족의 품에 돌려드리면서 유가족들께 감사와 위로를 드립니다. 국가를 위기에서 구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상자 안에는 위로패와 ‘0154595 LEE CHUN WOO’라고 적힌 인식표, M1 탄환 3발이 들어 있었다. 이 군번의 주인공은 1951년 9월 25일 강원도 양구군 백석산(해발 1142m) 부근 전투에서 사망한 국군 7사단 3연대 3대대 소속 고 이천우 이등중사(현 병장·당시 20세)다. 이명덕씨는 고인의 장조카다. 이씨는 “이제 할머니의 한을 조금이라도 풀 수 있게 됐다. 이렇게 삼촌의 유품을 받는 모습을 할머니가 보셨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눈시울을 붉혔다.

새롭게 바뀐 전사자 통보 절차에 따라 국방부는 처음으로 예우를 갖춰 고 이천우 이등중사의 유족에게 유품을 전달했다. 박 단장은 쇠줄 대신에 군화 끈이 달려 있는 인식표를 가리키며 “ 군번 줄은 쇠줄이었지만 이게 끊어지자 고인은 군화 끈으로 묶은 것으로 보인다. 고인은 규정에 철저했던 군인이었다”고 설명했다. 고인의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돼 있는 형인 고(故) 이만우 하사(현 상병·사망 당시 23세) 옆에 안장된다. 형은 6·25전쟁 때 동생보다 한 달 먼저 입대하고, 4개월 먼저 전사했다. 국방부는 원래 발굴한 전사자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했다. 그러나 애틋한 형제애와 고귀한 희생정신을 알리자는 취지에서 형의 묘 옆에 안장하기로 했다.

고인은 경북 청도의 가난한 농촌 집안에서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낙동강전투의 막바지인 50년 9월 초 형이 입대한 지 한 달 만에 홀어머니의 만류를 뿌리치고 19세의 나이에 자원 입대했다. 전사하기까지 1년여 동안 서울 수복에 이어 평양 탈환작전, 개천·덕천전투 등에 투입됐다. 51년 1월에 벌어진 영월 지역 전투에서는 부상을 입고 후송됐다가 두 달 만에 다시 전선으로 돌아갔다. 고인은 화랑무공훈장을 2번이나 받았다. 그러나 51년 9월 25일 백석산 탈환을 눈앞에 두고 인근 ‘무명901 고지’ 부근 능선에서 전사했다. 고인은 ‘마을 입구까지 따라오시면서 눈물 흘리시던 어머니는 잘 계신지, 1사단에 배치된 형은 무사한지 궁금하다. 평양 탈환전투 때 먼저 1사단이 입성했다는 소식에 행여 형을 만날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했었는데…’라고 안타까워했다고 전우들은 증언했다. 그의 형인 이 하사는 50년 8월 1사단에 입대해 낙동강전투와 평양 탈환전투를 거쳐 51년 5월 봉일천전투에서 전사해 형제의 만남은 이뤄지지 않았다.

형 이 하사는 54년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뒤 60년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그러나 이명덕씨 등 가족들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국방부는 두 형제가 1년간 전투하면서 이동한 거리는 3400여㎞에 이른다고 밝혔다.

◆개선된 전사자 통보 절차=사전에 유가족들과 방문 일정을 협의한 뒤 국군 정복을 입은 통보관이 자택을 방문해 알려 준다. 통보관은 나무상자에 들어 있는 국방부 장관 명의의 전사자(신원확인)통지서를 읽은 뒤 유가족에게 전달한다. 상자에는 위로패와 개인 유품, 유해 봉송 시 관을 덮었던 태극기 등이 들어 있다. 과거에는 전화나 우편으로 통보해 유가족들의 불만을 샀었다. 국방부가 천안함 피격사건 뒤 전사자에 대한 예우를 갖추기 위해 바꾸었다. 미국에서는 이런 격식을 갖춘 전사자 통보 절차가 일반화돼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