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ck of explanations fuels panic buyi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ack of explanations fuels panic buying



In the 17th century in the Netherlands, people began stockpiling tulips. The flowers, which first appeared in the country as imports from Turkey in the mid-16th century, were considered a symbol of wealth at the time. As demand for the expensive flowers grew, rare species brought high profits.

At that time, the price of just one rare Semper Augustus bulb was once equivalent to more than 10 times the annual salary of a carpenter. One unlucky sailor who accidentally ate a bulb, mistaking it for an onion, even had to serve several months in jail.

The madness of tulip hoarding ended suddenly. Tulip speculators tried to sell the flowers at once, and naturally the prices plummeted. This is the story of Tulip mania, often referenced whenever a speculative bubble appears.

Similarly, panic buying takes place whenever a shortage of goods is expected due to a sudden event such as a natural disaster.

Remember Y2K? Many predicted that computers would fail to recognize the date when the world entered the 21st century, causing all digital machines to malfunction. When the rumors of the problem spread, people rushed to buy emergency foodstuffs, gasoline, water and even flashlights.

Panic buying often ends up being a comical tragedy. British journalist Charles Mackay wrote in his book,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 that people make judgments in groups and make mistakes within a second. But it takes them a long time to realize their mistakes and they only do so slowly.

Of course, panic buying is sometimes unavoidable. When the Songhua River was contaminated by toxic benzene from a factory in China’s Jilin Province in 2005, authorities stopped the supply of tap water to the city of Harbin without explanation, causing people to buy up bottled water. After the incident, the Chinese media sharply criticized the authorities. The media said the lack of proper explanation had fanned people’s fears and encouraged their panic buying of water.

As fears grow over the nuclear crisis at Japan’s troubled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panic buying of salt, seaweed and kelp has reached a new peak.

But as we can see from the case in Harbin, authorities must remember that the lack of proper explanation only feeds skepticism and doubt and fuels panic buying.

*The writer is senior international affair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Nam Jeong-ho

사재기

17세기 네덜란드에선 튤립 사재기 광풍이 몰아친 적이 있다. 16세기 중반 터키에서 들어온 튤립이 부의 상징으로 통했던 때였다. 값비싼 튤립 수요가 늘기 시작했고 희귀 품종일수록 무조건 돈이 된다는 인식이 퍼졌다. 결국 너도나도 튤립 사재기에 뛰어들어 줄무늬가 있는 ‘셈퍼르 아우구스투스’란 품종은 목수의 20년치 수입이자 집 한 채 값이었다. 심지어 천문학적 가격의 튤립 구근(球根)을 양파로 착각, 먹어치운 한 선원은 격분한 집주인에 의해 고소돼 몇 달간 형을 살기도 했다 한다. 어쨌거나 천정부지로 값이 뛰던 튤립은 어느 날 갑자기 매기가 뚝 끊긴다. 이에 놀란 투기꾼들은 한꺼번에 튤립을 팔려 했고 당연히 가격은 폭락했다. 투기 때마다 인용되는 ‘튤리포마니아(Tulipomania)’의 전말이다.

사재기는 천재지변 같은 돌발상황으로 물건이 달릴 걸로 예상될 때도 일어난다. 지진·홍수 때는 말할 것 없고, 21세기로 접어드는 순간 컴퓨터의 날짜 인식 오류로 모든 기계가 고장을 일으킬 거라는 Y2K 종말론이 극성을 부릴 때도 물과 비상식량·휘발유에 손전등까지 동이 났었다. 2008년 미국에서 버락 오바마가 대선에서 이기자 총 사재기 바람이 불기도 했다. 그가 총기 소유를 금할 거란 섣부른 예측 때문이었다. 이 같은 사재기는 대개 잘못된 판단에다 부화뇌동(附和雷同)까지 겹쳐 희비극이 되기 마련이다. 이를 두고 찰스 매케이란 영국 언론인은 저서 『대중의 미망과 광기』에서 이렇게 설파했다. “사람들은 떼거리로 판단하고 순식간에 오류를 범한다. 반면 잘못에서 깨어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한 명씩 뭐가 틀렸는지 깨닫는다.”

물론 합리적인 사재기도 있을 수 있다. 2005년 중국 지린성의 한 공장에서 불이 나 독극물인 벤젠이 쑹화강을 오염시켰던 때가 그랬다. 당국은 자세한 설명 없이 하얼빈시 수돗물을 끊었다. 난리가 난 시민들은 가게로 달려가 생수를 싹쓸이했고 학교 교실엔 십여 개 양동이에 물을 담아두고 학생들에게 먹일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 이후 중국 언론은 매섭고도 타당한 비판을 쏟아냈다. 당국이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시민들의 공포가 커졌고 이게 사재기를 부추겼다는 거다.

일본발 방사능 피해 우려가 계속되면서 소금과 미역·다시마 사재기가 극성이란 소식이다. 하얼빈 독극물 사건에서 보듯, 정성스러운 해명 없이는 의혹과 불신만 자라게 되고 이는 쉽게 사재기로 이어진다는 걸 당국자들은 명심해야 할 듯하다.

남정호 국제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