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ecute the criminal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osecute the criminals



The number of people who commit crimes in Korea and then flee to other countries is in the hundreds each year.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Justice, the total number of criminals fleeing Korea was 2,415 for five and a half years from 2005 to June 2010. Most of them were identified as swindlers, followed by criminals caught for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and robbery.

Among them, however, only 2 percent, 52 offenders, were extradited to Korea. The low extradition rate resulted primarily from a misguided belief among criminals that they can avoid punishment if only they escape the country.

The recent hacking incident at Hyundai Capital, too, may remain an unsolved mystery for quite a long time. The prime suspect, a man named Shin, 37, is reportedly staying in the Philippines after coming under suspicion for hacking another financial company in May 2007. He went on to commit four more cybercrimes, including hacking the Korean portal site Daum from the Philippines. Although his name was put on Interpol’s most wanted list after he escaped Korea, he leisurely committed crime after crime without being arrested. That means we can hardly expect him to be extradited if our law enforcement authorities only seek to catch him through cooperation by the local police.

Starting with Australia in 1990, our government has signed criminal extradition treaties with several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China, Japan and the Philippines. Most of the crimes the pact covers are the those resulting in imprisonment for more than a year or more severe forms of punishment.

The problem, however, is that such formal treaties are actually ineffective and impractical. It takes several years for a criminal to be extradited because of a complicated process that involves the ministries of foreign affairs and justice, the courts and the prosecution in the country in which the criminal is living.

With the latest case, we need to thoroughly examine whether our government has established efficient systems for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on this front. Aside from international extradition treaties, the administration should also devise ways to work with Interpol in addition to making a strong request for extradition of the criminals while placing administrative restrictions on their passports.

This time the government must set an example that clearly demonstrates that domestic criminals are destined to be extradited no matter where or who they are.

해외 도피 범죄자 실효적 송환 방안 강구해야

국내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해외로 달아나는 사례가 해마다 수백 건에 달한다. 법무부에 따르면 해외도피사범은 2005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5년 반 동안 모두 2415명이었다. 사기범이 가장 많았고, 횡령·배임·강도 등의 범죄자도 다수 포함됐다. 하지만 이들 중 국내에 송환된 경우 2%인 52명에 그쳤다. 죄를 짓고도 해외로 도망치면 처벌을 피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결과다.

최근 발생한 현대캐피탈 고객정보 해킹사건의 전모(全貌)가 자칫 미궁에 빠질 공산이 있다. 유력한 용의자 신모(37)씨는 현재 필리핀에 머물고 있다고 한다. 그는 2007년 5월 해킹 혐의를 받다 필리핀으로 도주했다. 이후 현지에서 포털사이트 다음을 해킹해 돈을 받아내는 등 4건의 범죄를 더 저질렀다. 도피 이후 인터폴 적색수배 명단에 올라 있었지만 검거는커녕 추가 범죄를 유유히 벌여왔던 것이다. 인터폴과 필리핀 경찰만 쳐다보고 있어서는 신씨의 국내 강제송환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우리나라는 1990년 호주를 시작으로 미국·캐나다·중국·일본·필리핀 등 주요 국가들과 범죄인 인도(引渡)조약을 맺고 있다. 대개 ‘1년 이상의 자유형 또는 그 이상의 중형으로 처벌할 수 있는 범죄’를 저지른 경우가 청구 대상이다. 문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상대국 외교부·법무부·법원·검찰을 거치는 복잡한 절차 때문에 범인을 넘겨받기까지 보통 몇 년씩 걸린다. 이른바 ‘BBK사건’의 주역이던 김경준씨가 2001년 미국으로 도피하자 정부는 곧바로 범죄인 인도를 요청했다. 하지만 그가 한국에 송환된 시기는 2007년 11월이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부담을 느낀 정부가 외교력을 가동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상대국의 선처를 마냥 기다리지 않고 우리가 먼저 나서면 범죄인 인도를 앞당길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사례로 남아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외국과 형사 공조(共助)를 위한 협력 체제가 제대로 갖춰졌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범죄인 인도조약 외에 인터폴 활용, 추방 요구, 여권에 대한 행정제재 등의 수단도 적극 강구해야 한다. 해외에 숨어있는 범죄자는 반드시 끌려들어온다는 전범(典範)을 세워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