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it public will if there’s low turnou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s it public will if there’s low turnout?



Not only poet Kim Ji-ha but also Emperor Yao of China knew that satisfying the public appetite is the key to politics. If the people are well fed, it’s good governance. But even the legendary Chinese ruler agonized o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nar year and the calendar year.

Finally, the problem was solved by inserting a leap month in the lunar calendar, which had 354 days, so that the calendar followed the calculation that a year had 366 days. It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Emperor Yao. Later, an error was found in that calendar, and Emperor Wu of Han adjusted the lunar calendar by adding seven leap months in 19 years.

The solar calendar is not free from error, either. The Julian calendar, which adds a leap year every four years, and the Gregorian calendar, which made the adjustment of canceling three leap years over 400 years by making them into regular years of 365 days, are not perfect. The length of a year is 365.2422 days in the solar year, while it is 365.2564 days in the sidereal y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djustments in the calendar.

Galileo Galilei, who said that the earth revolves around the sun, discovered the margin of error. He realized that the true value is symmetrically distributed on both sides of an approximate value. And so he invented a pendulum watch, which was more precise than a spiral spring watch, and discovered the margin of error while studying astronomy.

Nowadays, the margin of error is the topic of conversation in politics. People talk about polling with a plus or minus 3.4-percent margin of error. As the survey is conducted by taking samples, errors can occur. The approval rating announced by a pollster is an approximate value, and the true value exists somewhere within the margin of error. Therefore, the expression “a neck-and-neck race within a margin of error” means that the approval rating is almost meaningless. Nevertheless, the candidates become agitated over the results.

There is also an error between the minds of the voters who cast their ballots and public sentiment. If turnout is low, the “margin of error” - so to speak - grows bigger. Although the winner is decided by the election,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sult reflects the will of the people if turnout is low. The margin of error should be minimized. To do that, the sample size should be increased - and that means more active participation by voters.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오차(誤差)

시인 김지하가 "밥이 하늘이다"고 외쳤지만, 중국의 요(堯)임금도 밥이 정치의 요체임을 일찌감치 알았다. 백성들이 잘 먹고 배를 두드리는 모습으로 선정(善政)을 확인했던 것이다. 그런 요(堯)임금도 오차(誤差) 때문에 고심했다. 1년의 길이와 월력(月曆)이 맞지 않았던 것이다. 마침내 1년을 366일로 계산해 354일인 음력에 윤달을 넣어 해결했다. 요(堯)임금 최대의 치적으로 꼽힌다. 물론 여기에도 오차가 있어 한(漢) 무제(武帝)가 19년에 7번 윤달을 두는 태음력을 완성하게 된다.

태양력도 오차를 피할 수 없다. 4년에 한번 윤년을 둔 율리우스력(曆)도, 여기에 400년 동안 세 번의 윤년을 평년으로 한 그레고리력도 완전하지 않다. 1년 길이가 회귀년(回歸年)으론 365.2422일, 항성년(恒星年)으론 365.2564일이다. 이 또한 중력의 영향으로 조금씩 느려진다. 보정이 필요한 이유다. 본디 '스스로 그러한' 자연(自然)에는 오차가 없지만, 이를 재는 인간의 한계가 오차를 만드는 것인가. 마치 디지털이 '0'과 '1'로 아무리 미분(微分)해도 아날로그에 접할 수 없듯이.

오차의 법칙을 발견한 이는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한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이다. '근사값'에 대해 '참값'이 좌우대칭으로 분포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그가 태엽보다 정밀한 진자시계를 발명한 것도 역법(曆法)에 밝았기 때문인데, 하늘을 살피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오차'를 발견한 셈이랄까.

이런 오차가 선거 판에 뛰어들었다. 여론조사에서 '95% 신뢰도에 오차범위 +-3.4%'식이다. 전수(全數)가 아니라 일정한 표본을 추출하다 보니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발표된 지지율은 '근사값'으로, '참값'은 오차범위 안 어딘가에 있다. 따라서 '오차범위 내 혼전'이란 말은 '지지율 수치가 의미없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후보들은 일희일비(一喜一悲)한다.

투표를 마친 표심(票心)도 진정한 민심(民心)과는 오차가 있다. 유권자 모두가 투표하지 않는 한 말이다. 투표율이 낮으면 그만큼 오차범위도 커진다. 투표로 승부는 났지만, 진정 민심을 대변하느냐는 알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민심이 진정 '하늘의 뜻'이 되려면 오차범위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표본을 늘려야 하고, 바로 투표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다. 오늘 전국 38곳에서 재·보선이 치러진다.

박종권 선임기자·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