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ing forward on stem cells
Korea became the second country after the United States to endorse the testing of embryonic stem-cell therapy on people. The National Committee on Bioethics gave the green light for a clinical trial using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s.
The experiment had been devised by a team from the Stem Cell Institute of CHA University’s College of Medicine to treat 12 patients losing their vision from Stargardt’s Macular Dystrophy.
The Korean institute’s U.S. partner, Advanced Cell Technology, had earlier received permission from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o start clinical tests using embryonic stem cells to make retinal cells.
It will be the first case that goes beyond local bioethics law, which limits the use of embryonic stem cells to exterior parts of the human body.
Embryonic stem cells - immature cells found in embryos - have the ability to grow into almost any kind of cell.
They pose the most plausible solution to the human race’s eternal desire to lengthen life. But they remain controversial and provoke religious, moral and political arguments.
The stem cells that gained clearance are special types that already completed the cellular differentiation process and therefore are not considered “embryonic” under the current law.
Stem cells are sometimes called “panacea cells” because they can regenerate and repair the heart, liver and other organ tissues, as well as bones and skin. But the transplant process is complex and can cause severe damage. That is why the law is so strict about human trials.
The same committee turned down a request for a research project using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stead of frozen cells in fear of sparking a religious and moral uproar.
We nevertheless must push ahead with stem cell research and development. Our reputation in the field received a blow following the scandal over Hwang Woo-suk’s fraudulent stem cell research.
The U.S. approved clinical trials of embryonic stem cells in 2009 and last year allowed their use on human patients. Stem cell technology is vital to biotechnology and is expected to generate revenues of hundreds of trillions of dollars.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secure patents and property rights on key technologies. We hope the government’s green light will boost bio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생명과학기술 연구 촉진 계기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엊그제 망막 질환과 관련해 인간의 배아(胚芽)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을 허용했다. 배아줄기세포 임상시험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차병원 그룹의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이 신청한 것으로, 줄기세포에서 분화한 망막색소상피세포를 ‘스타가르트’라는 희귀난치성 실명환자 12명의 망막에 직접 투여하게 된다.
현행 생명윤리법은 인간 줄기세포 실험은 인체 외부에서만 시행하도록 규정돼 있었는데, 그 빗장을 푼 것이다. 부디 시험이 성공해 수많은 실명환자에게 ‘빛’을 주기를 기원한다.
인간의 배아·세포·유전자를 대상으로 한 생명과학기술은 첨단에서도 첨단분야다. 병들지 않고 오래 살고 싶은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과 직결돼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인간 존엄성과 생명윤리라는 금역(禁域)을 넘나드는 것이어서 항상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됐다. 이번에 허용한 것도 임상에 쓰일 줄기세포가 이미 분화를 마친 상태여서 암(癌)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줄기세포는 간·심장·신장이나 뼈·피부로 분화할 무한한 가능성이 있어 ‘만능 세포’로 불린다. 잘못 이식하면 예상하지 못한 기괴한 형상과 치명적인 상황을 빚을 수 있는 것이다. 생명윤리법으로 강하게 규제하는 배경이다. 이번에 냉동배아가 아닌 신선배아에서 줄기세포를 만들려는 연구는 허용하지 않은 것도 ‘생명 파괴’란 반발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우리는 인간 체세포 연구를 비롯해 생명과학 분야에 좀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때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던 우리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불미스런 사건으로 움츠린 사이 외국에 따라 잡힌 상황이다. 미국은 재작년 배아줄기세포 임상시험을 허용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척수질환 환자에 치료용 줄기세포를 주입했다.
줄기세포 분야는 21세기 생명공학(BT)의 핵심이자 관련 시장도 향후 수백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각국이 핵심 기술과 독점적인 지적재산권 확보에 몰두하는 배경이다. 이번 줄기세포 임상시험 허용이 생명윤리와 함께 관련 분야 연구를 한층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하길 바란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