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lodic chorus for Pyeongcha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melodic chorus for Pyeongchang



In the 18th century, Europeans believed that the human voice was the finest musical instrument for worshipping God, especially when accompanied by musical instruments. So vocal music had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 genres of music.

The first work to combine vocal music with instrumental music was Beethoven’s Symphony No. 9. Because Beethoven wanted to include the words from Friedrich Schiller’s poem “Ode to Joy” in his symphony, it was a masterpiece that took him 30 years to complete.

Handel’s Messiah also has several prominent choral passages. Among them, Halleluiah is the most well known. When it premiered in Dublin in 1742, King George II of England unwittingly stood up upon hearing the music. Since then, it has become a tradition for the entire audience to stand up during the Halleluiah chorus.

The word “chorus” originated from the Greek word “choro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vocal group, they are divided into a children’s choir, a male chorus, a female chorus and a mixed chorus. The most typical form is a mixed quartet of soprano, alto, tenor and bass vocalists. In general, a chorus is accompanied by a piano or other instruments, but an unaccompanied chorus sings a cappella.

In Korea, the addition of the chorus to pieces of music was spread by foreign missionaries.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choirs were created at schools, churches and offices for leisure and unity.

The chorus gives a feeling of unity and is a wellspring of emotion. It is also an artistic tool used in the theater to convey the wishes of the people.

The Grand National Chorus of 100,000 People, which will convey Korea’s wish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to be held in Pyeongchang, is scheduled for May 14. The performance, conducted by Maestro Chung Myung-hun, will be held simultaneously at Seoul Plaza, Alpensia Resort in Yongpyeong and New York at 7 p.m. KST. It is also expected to be recognized by the Guinness World Records as the world’s largest chorus. Many people will participate in the event, including K-pop stars like Girls’ Generation. World Harmony, the organizer, plans to dispatch a choir of selected singers to Durban, South Africa, where the host city of the 2018 Winter Olympics will be chosen on July 6. I hope that the grand chorus will bring good news for Pyeongchang.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Shim Shang-bok

합창

‘하느님의 창조물인 인간의 목소리는 하느님을 찬양하기에 가장 좋은 악기다’. 18세기 유럽엔 이런 인식이 있었고, 그 덕에 성악곡은 다른 장르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래된 악기’이기도 한 인간의 목소리는 진짜 악기와 어울리면서 더 큰 감동을 자아낸다.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은 순수 기악에 성악을 접합한 사실상 최초의 작품이다. 4악장에 독일 시인 실러가 쓴 ‘환희의 송가(Ode to Joy)’를 합창곡으로 넣은 까닭에 이런 부제를 얻었다. 그는 마지막 교향곡인 이 작품을 53세였던 1824년 완성했다. 실러의 시를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구상했던 것으로 치면 30년 이상 걸린 일생의 역작이었다.

헨델의 ‘메시아’에도 뛰어난 합창곡이 많은데, 그중 2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할렐루야’가 압권이다. 1742년 더블린 초연 때 영국 국왕 조지 2세가 이 노래를 듣고 본인도 모르게 벌떡 일어났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 뒤 할렐루야를 합창할 땐 모든 청중이 기립하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고 한다.

합창(chorus)의 어원은 그리스어 코로스(choros)인데 무도회장이나 거기서 부르는 노래를 뜻했다. 구성원에 따라 어린이·남성·여성·혼성으로 나뉜다. 가장 표준적인 형태는 소프라노·알토·테너·베이스의 혼성 4부 합창이다. 반주는 피아노가 일반적인데, 악기 없는 무반주 합창은 아카펠라라고 한다. 몇 사람이 각자 자기 성부(聲部)를 부르는 것이 중창(重唱)이고, 애국가같이 모두가 한 성부를 부르는 걸 제창(齊唱)이라 한다.

국내에는 20세기 들어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전파됐다. 광복 이후엔 각급 학교와 교회·직장을 중심으로 여가 선용과 단합을 앞세워 보급되었다. 모두가 하나 되는 합창은 감동의 샘이다. 어떤 염원을 담아 전달하는 예술적 도구이기도 하다.

2018 평창 겨울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10만 국민 대합창’이 오는 14일 열린다. 이날 오후 7시 정명훈씨 지휘 아래 서울시청 앞 광장과 용평 알펜시아, 미국 뉴욕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가장 많은 사람이 합창을 하는 기네스북 진기록에도 도전한다. 소녀시대 등 인기가수도 함께하는 이 행사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행사를 주관하는 사단법인 월드하모니는 7월 6일 개최지가 결정되는 남아공 더반에 정예 합창단도 파견할 계획이다. 10만 대합창이 평창의 승리를 가져오는 복음의 소리가 되길 기원한다.

심상복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