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lomats act up, again
We use the words “civilian diplomatic corps” to refer to nongovernmental workers who greatly enhance the dignity of Korea overseas. The express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diplomat’s primary goal is raising our national prestige in foreign countries. But the expression can no longer be applied to our diplomats overseas because they are too often engaged in shameful behavior.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n Monday, a former ambassador to the Ivory Coast returned to Seoul after finishing his service with a multitude of elephant tusks hidden in his luggage that he hadn’t reported to customs authorities. The ambassador explained that the ivory was included in the package by mistake.
Yet it’s hard to accept his explanation because he had not reported to his headquarters in Seoul his receipt of ivory from local officials. That constitutes a clear violation of the government’s ethics code, not to mention the Foreign Ministry’s internal rules. In addition, his receipt of the tusks is illegal, because their trade is strictly banned by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He should have immediately refused to accept them as presents.
In fact, many of our diplomats have become symbols of corruption. There are plenty of examples of diplomats who have acted in defiance of the administration’s slogan for a fair society.
Former Foreign Minister Yu Myung-hwan resigned last year due to an embarrassing scandal over his daughter’s special employment at the ministry. Several consulate officers in Shanghai had affairs with the same Chinese woman in return for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and help with visas. And officials at our embassy in Washington, D.C., surprised us with their frequent trips to decadent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You name it, they’ve done it.
Kim Sung-hwan, who took the helm of the Foreign Ministry after Yu resigned, has repeated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self-restraint and high moral standards for diplomats since his inauguration in October 2010. But the dazzling spate of corruption incidents makes his efforts to revamp the dirty atmosphere in the ministry an empty promise, all thanks to preposterously low ethics standards among our diplomats overseas. As head of the career diplomats, Kim cannot be immune from responsibility for all the blunders. Does this uniquely unprofessional group of diplomats need some kind of special education in ethics and morality?
대한민국 국격
<國格>
망가뜨리는 외교관들
國格>
‘민간 외교사절’이라는 표현이 있다. 외교관이 아니면서도 대한민국의 국위(國威)를 해외에 널리 떨친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말 뜻은 정식 외교관들의 주요 활동 목표가 대한민국의 국위 선양(宣揚)에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성립한다. 그러나 이 말을 더 이상 쓸 수 없을 지경이다. 정작 우리 외교관들이 대한민국의 얼굴에 먹칠을 하는 일들이 너무 잦기 때문이다.
이틀 전 관세청과 외교부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 P 전 대사가 임기를 마치고 귀국하면서 수출입금지 물품인 상아를 이삿짐에 대량 감춰 들여왔다고 한다. 관세청에 신고를 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P 전 대사는 실수였다고 주장하지만 도무지 납득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지 고위 당국자로부터 선물 받은 상아가 실수로 이삿짐에 섞였다지만 그 이전에 선물 받은 사실조차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직자윤리법과 외교부 규약을 위반한 것이다. 멸종위기에 처한 코끼리 보호를 위해 국제적으로 엄격히 거래가 금지된 상아를 선물 받는 것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절이라면 마땅히 삼가야 할 일이다.
최근 외교관들이 일으킨 스캔들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정부는 ‘공정사회’를 외치는데 자신의 딸을 외교부에 특혜 채용해 장관직을 사임해야 했던 유명환 전 외교장관, 상하이 전 총영사관의 총영사 및 영사 3명이 한 젊은 중국 여인을 놓고 벌인 치정극과 비자 부정발급, 주미대사관 직원의 퇴폐업소 출입 등 꼽아 보기에도 숨이 가쁠 정도다. 그 밖에도 외교관들의 공금횡령 사건이나 현지 교민들에게 끼치는 민폐 등은 각종 감사에 단골로 등장하는 비리들이다.
유명환 장관에 뒤이어 취임한 김성환 외교장관은 취임 초부터 자정 노력을 크게 강조해왔다. 그러나 잇달아 터지는 스캔들을 보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외교관들의 평소 윤리의식 수준이 턱없이 낮은 탓이다. 김 장관도 부하직원들에게 호통만 칠 일이 아니다. 관리에 실패한 그 역시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외교관들을 상대로 ‘대대적인 특별 윤리교육’이라도 해야 할 상황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