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black box on crashed forest service helicopter

Home > National > Social Affairs

print dictionary print

No black box on crashed forest service helicopter

The bodies of two workers from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found yesterday after their helicopter crashed in Gangneung the day before.

KFS officials said the cause of the crash will be difficult to determine, as the helicopter did not have a flight data recorder, or black box, installed. Nor do eight other helicopters in the service’s 47-chopper fleet.

The helicopter that crashed Thursday was on a routine mission to prevent forest fires and the KFS lost communication with it at 10:43 a.m.

After the accident, the KFS sent roughly 1,000 Army soldiers to look for the chopper and possible survivors, a difficult mission because of heavy fog and mountainous terrain. The bodies and charred pieces of the helicopter were found at 7:37 a.m. yesterday morning.

“It will be difficult to find the cause of the accident, as the officers died and the helicopter itself was incinerated,” said Shin Won-ju of the Forest Aviation Headquarters, an agency of the KFS, yesterday.

According to aviation law, black boxes are supposed to be installed in aircraft, but nine of the service’s choppers are Eurocopter models and there are no black boxes made for those models, according to the KFS.

The KFS has been negotiating a way to solve the black box problem since early last year with the helicopter manufacturer and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hin said that the accident was likely to have been caused by bad weather, as the officers had reported by radio that it was “very foggy with heavy clouds” during their flight. The helicopter was flying at a low altitude.


By Christine Kim, Shin Jin-ho [christine.kim@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산림청 헬기, 10년 새 11번 추락…또 조종훈련 부족 탓?

강릉 사고로 다시 드러난 안전시스템 부실

지난 5일 오전 10시43분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소금강 계곡에서 실종된 산림청 소속 AS350-B2 헬기의 잔해가 6일 오전 7시37분 삼산리 백마봉 8부 능선에서 발견됐다. 수색에 나선 산림청과 강원소방본부는 조종사 임모(48)씨와 정비사 박모(56)씨의 시신도 수습했다. 2001년 이후 최근 10년간 산림청 헬기가 사고를 낸 것은 이번이 11번째다. 군을 제외한 정부기관 중에서 가장 많은 47대의 헬기를 운용하고 있는 산림청이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추가한 것이다.

산림청은 보유한 헬기 대수에 비해선 안전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조종 미숙에 따른 사고가 많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1건의 사고 중 5건이 조종 미숙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산림청 헬기 조종사들의 훈련이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번 사고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사고가 난 지점은 해발 770m로 난기류가 잦아 베테랑 조종사들도 어려움을 겪는 구간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 헬기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산림항공관리본부 항공안전과 신원주 팀장은 “사고 헬기가 이륙할 당시는 날씨가 좋았지만 비행 중엔 ‘구름과 안개가 많이 끼었다’는 교신이 있었다”며 “기상악화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산림항공본부는 헬기가 낮은 고도로 비행을 하다 갑자기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사고가 났을 가능성도 조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추락한 헬기엔 비행기록과 교신을 저장하는 블랙박스가 달려 있지 않아 원인 규명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청은 이번에 추락한 같은 기종의 헬기 4대와 미국 벨사의 BEL-206 5대 등 모두 9대의 헬기엔 블랙박스를 달지 않고 운용을 해왔다. 이런 기종은 사고가 나면 위치를 찾고 원인을 파악하기 힘들다. 이 헬기는 국내에 들여올 때부터 블랙박스를 장착하지 않았다. 헬기 제작사의 인증을 받은 블랙박스 제품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산림청은 9대의 헬기에 블랙박스 대용으로 자동녹음장치를 설치했지만 이 장비는 강한 충격을 견디지 못한다. 산림항공관리본부 측은 “블랙박스가 장착된 헬기를 구입할 수 있지만 도입가격이 대당 수억원 정도 비싸다”며 “블랙박스 장착이 의무조항이 아니기 때문에 꼭 블랙박스가 있는 헬기를 구입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16대의 헬기를 보유한 해양경찰청의 경우 모든 헬기에 블랙박스를 달아 운용하고 있다.

산림항공관리본부는 지난해 9월 ‘항공안전사고 제로화’ 등을 목표로 하는 ‘2013년 산림항공비전’을 발표했지만 불과 8개월 만에 다시 사고가 났다. 산림항공본부 김만주 항공안전과장은 “산불진화 등 산림청 임무의 특성상 헬기가 낮은 고도로 나는 경우가 많아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모의비행장치를 도입해 조종사의 실수를 줄이고 돌발 상황 대처능력을 키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