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option: Act of love and benevolenc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doption: Act of love and benevolence



Exodus, the second book of the Old Testament, begins with a story of adoption. A Hebrew woman saves her son by setting him on the Nile River in a basket. The baby is found by the pharaoh’s daughter, who names him Moses, which means “saved from the water.” Moses grows up as the prince of Egypt and leads the Israelites out of slavery, across the Red Sea and into Canaan.

Adoption was a common practice in Kore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668). A struggling family would leave a child in front of another house or entrust him to a childless family. The child was considered a blessing and raised with love and care. The practice was a manifestation of charity and humanity.

In the Goryeo Dynasty (918-1392), children were abandoned at Buddhist temples and many orphans grew up to be great monks.

In the Joseon Dynasty (1392?1897), Confucianism prevailed and adoption increased to continue the family line and perform ancestor worship rituals. Boys were usually adopted from families with the same last name and generation. A dilemma in the early Joseon era involving brothers Kang Hui-an and Kang Hui-maeng - high government officials - changed the Gyeongguk Daejeon, or code of laws, around adoption. The younger brother Hui-maeng was adopted by his uncle but the older brother Hui-an died without leaving any children. In the end, King Seongjong ordered the adoption broken and Hui-maeng returned to his birth family.

We often say that the love of raising a child is greater than the love of giving birth. German playwright Bertolt Brecht’s “The Caucasian Chalk Circle” is about two mothers. A governor’s wife abandons her son but wants him back when she learns that the child will inherit great wealth. But the boy has been raised by her maid. To determine who the child’s true mother is, a judge draws a circle with a chalk and places the child in the middle. He orders the two women to pull the child out of the circle but the maid refuses to pull as it would hurt the child. The judge rules that the maid is the true mother.

May 11 was Adoption Day. Korea still sends more than 1,000 children to other countries through intercountry adoption every year.

An employee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ith four biological children has adopted four kids with disabilities. The parents must be enjoying the happiness of having and raising children, epitomizing benevolence, love and humanity.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입양(入養)

성경 출애굽기는 입양 이야기로 시작한다. 히브리 여인이 생후 3개월 된 아이를 갈대 상자에 넣어 강에 띄우고, 이를 이집트의 왕녀가 거둔다. 왕녀는 아이에게 '물에서 건진 자'라는 뜻의 이름을 붙인다. 바로 십계명으로 유명한 모세다. 이집트 왕자로 자라 나중에 히브리 노예를 이끌고 홍해를 건너는 대서사시의 주인공이다. 반론도 있다. '꿈의 해석' 저자 프로이트는 "모세는 왕자의 이름으로, 파라오인 람세스 모세나 투트 모세처럼 원래 이집트인"이라는 논문을 썼다.

우리도 삼국시대부터 입양이 성행했다. 먹고 살기 힘들어 아이를 남의 집 문 앞에 두거나, 자녀가 없는 집에 맡겼다. 그러면 그 아이를 복(福)덩어리가 굴러들어 왔다며 길러줬다. 진정한 박애정신의 발현이다. 고려시대에는 사찰에 아이를 버리는 일이 잦아 업둥이 출신 고승(高僧)이 많았다고 한다.

유교가 성행한 조선시대에는 후사(後嗣)를 위한 입양이 늘었다. 제사를 지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양자(養子)는 성(姓)과 항렬(行列)이 같은 친인척으로 했다. 그런데 조선 초기 문신(文臣) 강희안·희맹 형제에게 문제가 생겼다. 동생 희맹이 숙부의 양자로 입적됐는데, 형 희안이 그만 자손 없이 세상을 뜬 것이다. 결국 성종 임금이 대신들의 의견을 모아 '파계귀종(罷繼歸宗)'을 정했다. 쉽게 말해 양자로 입양됐더라도 다시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경국대전에도 기록했다.

흔히 '기른 정'이 '낳은 정'보다 강하다고 한다. 베르히트는 희곡 '코카서스의 백묵원'에서 자신이 낳은 아이를 버리고 달아났다가 나중에 상속재산이 탐나 되찾으려는 총독 부인과 이 아이를 맡아 어렵사리 기른 하녀를 등장시킨다. 재판관은 백묵으로 그린 원에 아이를 두고 두 여인에게 잡아당기도록 하는데, 하녀는 아이가 아플까봐 손을 놓는다. 재판관은 하녀의 손을 든다. 솔로몬의 지혜와 비슷하다.

5월 11일은 입양의 날이었다. 우리는 아직도 매년 1000명을 해외로 보내는 '입양 후진국'이다. 그런데 행정안전부 한 직원이 자신의 아이 외에 8명을 입양해 길러왔다고 한다. 아이 중 4명은 장애아란다. 낳은 정과 기른 정을 함께 누리는 행복한 부부이자, 사랑으로 똘똘 뭉친 박애(博愛) 가정임에 틀림 없다.

박종권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