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biotic path to education
Diversification is the current administration’s signature idea for improving high school education. It endorsed various versions of high school models based on free curriculum,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and boarding schools, in addition to existing foreign language and science academies.
The initiative pursued b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s aimed at providing diverse high school programs to avoid cookie-cutter education, and groom young talents capable of competing on the global stage. But the downside of the policy is that the top group of students are shunning ordinary high schools in order to obtain more elite schooling.
A recent survey by the JoongAng Ilbo and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found that 86 percent of teachers at ordinary high schools believe the standards at their schools are severely below average. Elite programs should be promoted to diversify and improve education standards, but should not come at the expense of poor schooling at public high schools. The entire public education system is at stake.
The authorities must seek a symbiotic path to encourage both ordinary public schools and elite private high schools. The government should step up policy,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support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ordinary public high schools.
Students at ordinary schools differ greatly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But they cannot receive teaching appropriate to their levels because of a lack of classrooms and teachers.
The government should use its 120 billion won surplus, left over from high school subsidies after 50 public schools became autonomous private schools, to increase spending on public high schools.
The government also must grant ordinary high schools more freedom over their curriculum. Ordinary public schools should be capable of offering competitive programs in math, science, language, the arts and sports.
What will make the biggest difference, however, is the passion and effort of the teachers at these schools. Instead of complaining about the poor abilities of their students, they should be inspired to transform and strengthen them. The teachers at Baemoon High School provide more than 100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and even stay up until midnight to answer their students’ questions.
With more teachers like that, few students would opt to go to expensive private schools.
일반고 경쟁력 높여야 공교육 바로 선다
고교 교육력을 높이기 위한 현 정부의 핵심 정책이 고교 다양화다. 기존의 외국어고·과학고 등 특목고에 이어 자율고·마이스터고·기숙형 고교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자는 취지다. 모든 학교가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붕어빵식 교육을 해서는 미래 인재 양성에 필요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올바른 방향이다. 문제는 특목고·자율고로 우수 학생이 빠져나가면서 일반고가 궁지에 몰리고 있다는 위기감과 패배의식이 학교 현장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일보·한국교총이 얼마 전 공동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일반고 교사 86.1%가 일반고의 교육 경쟁력 저하가 심각하다고 답했을 정도다. ‘학력 하향 평준화’ ‘수월성 교육 약화’라는 고교 평준화 병폐를 보완하기 위해 특목고·자율고는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이유로 일반고가 방치되는 결과가 초래돼서는 안 된다. 고교 교육에서 가장 비중이 큰 일반고가 흔들리는 건 바로 공교육이 무너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일반고가 특목고·자율고와 상생할 수 길을 찾아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가 먼저 일반고의 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물적·정책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일반고는 학생 간 실력차가 들쭉날쭉해 한 교실 수업이 더 어렵다. 그러나 여유 교실이나 추가 교사가 없어 수준별 수업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율고 50여 곳 지정으로 절약된 학교지원 예산 1200억여 원을 모두 일반고로 돌려 교육여건부터 개선해야 한다. 일반고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확대를 통한 특성화도 필요하다. 일반고에서도 특목고에 버금가게 수학·과학·예술·외국어 등 특정 분야 집중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일반고 교사들의 잘 가르치려는 열정과 노력이다. 우수 학생 입학이 감소한다고 냉소하기에 앞서 어떤 학생들이건 지금보다 한 단계 더 성장시켜 졸업시키겠다는 마음을 다지는 게 교사 본연의 자세라고 본다. 매일 밤 11시 반까지 남아 학생들 질문에 답해주고 100개가 넘는 세분화된 보충학습을 실시하는 서울 배문고 교사들의 헌신적 노력을 보라. 이런 교사들로 교단이 넘쳐날 때 공교육이 바로 선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