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nt Orange outrage
Retired American soldiers delivered horrific testimony that the U.S. Army’s Camp Carroll in Chilgok, North Gyeongsang dumped and buried tons of the defoliant Agent Orange in the 1970s.
Exposure to the toxic herbicide used during the Vietnam War has been proven to cause serious illnesses like cancer and birth defects. We are dumbfounded to discover that such toxic chemicals have been under the ground a few miles from the Nakdong River for more than three decades.
The act - no matter how long ago it took place - is still a crime that calls for accountability.
American forces in South Korea have been under fire several times for their heedles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any areas near military bases have been polluted with oil leaks and an army hospital at Yongsan base in Seoul was identified as having dumped phenol waste into the Han River.
The burial of Agent Orange poses a serious environmental hazard. If toxic dioxin from corroded storage drums seeps into the Nakdong River, the consequences would be grave. The dumping, which took place 34 years ago, can trigger public anger and distrust toward American military bases as well as triggering broad anti-American sentiment.
If American military authorities try to duck away from accountability or fail to pursue an investigation, the case could result in mass protests against the U.S. military’s presence in South Korea. When American military officials protected the soldiers who ran over and killed two South Korean teenagers nine years ago, activists and students took to the streets en masse and led nationwide vigil protests against the American forces.
The environment ministry has demanded that U.S. defense officials embark on an investigation of the case. The U.S. military must track down the people behind the order to bury the toxic material and use all possible means to eliminate the chemical remnants and detoxify the contaminated area.
Korean and U.S. officials should join forces to examine the health of residents near the area and make due compensation to those found to have fallen ill as a result of being exposed to the harmful substance.
They also must carry out a thorough environmental check-up on all American bases in the country to prevent the case developing into an issue of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주한미군 고엽제 매립 철저히 파헤쳐야
주한미군이 1977년 경북 칠곡의 ‘캠프 캐럴’에 50여t의 고엽제(枯葉劑)를 묻었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 다이옥신으로 만든 고엽제(에이전트 오렌지)는 베트남 전쟁 이후 각종 암과 신경마비 등의 후유증을 유발한 맹독성 화학물이다. 이런 독극물이 낙동강 본류와 채 1k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30년 이상 묻혀 있었다는 미 퇴역병사들의 고백은 할 말을 잃게 한다. 아무리 오래 전의 이야기라 하더라도 이런 범죄적 행위는 지탄받아 마땅하다. 돌이켜 보면 주한 미군의 환경 오염 사건은 한두 번이 아니다. 수많은 기지들이 기름 오염으로 몸살을 앓았고, 서울 용산기지에선 미군 병원에서 쓰던 페놀을 한강에 몰래 방류한 사건까지 일어났다.
이번 고엽제 매립은 이들과 차원이 다른 심각한 사안이다. 만의 하나 부식된 드럼통에서 다이옥신이 흘러나와 낙동강을 오염시켰다면 엄청난 환경재앙을 부를 수 있다. 더구나 이번 사건이 34년 만에 불거졌다. 모든 주한 미군기지들에 대한 사회적 불신이 증폭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다 국민 정서에도 악(惡)영향을 미칠 게 분명하다. 만의 하나 진상규명과 수습을 주저하면 제2의 효순·미선양 사건으로 번질 수 있다. 9년 전의 이 사건도 미군전차에 두 여중생이 깔려 숨진 사고였지만,미군이 가해자를 싸고도는 바람에 반미감정과 함께 전국적인 촛불시위를 촉발하지 않았던가.
환경부가 곧바로 미국에 신속한 진상 규명을 요구한 것은 당연한 조치다. 미군은 관련 자료들을 토대로 매립을 지시한 범인을 찾아내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파묻은 고엽제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즉각 제거하고 해독(解毒)조치에 나서야 한다. 또한 한·미 양국은 주변 주민들의 건강 조사를 실시하고, 피해 사례가 나타나면 충분한 보상을 해야 한다. 나아가 양국은 반환을 앞둔 전국의 모든 주한 미군기지들에 대해서도 환경오염 공동조사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고엽제 사건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고 제2의 효순·미순양 사태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