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arency is ke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ransparency is key



After the report that U.S. Forces Korea buried a massive amount of Agent Orange at Camp Carroll in Chilgok, North Gyeongsang,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greed yesterday to conduct a joint investigation into the case. As a result, both countries’ environmental experts, government officials, Chilgok representatives and other civic groups a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on-site inspections that began today.

U.S. military authorities have been less than cooperative whenever tricky environmental issues crop up here, but this time they agreed to the investigation just three days after an uproar swept the country. USFK’s quick consent reflects the severity of the problem. Both sides should not leave any doubt behind by performing a thorough investigation to prevent more commotion and minimize any fallout.

It was a former USFK soldier, Steven House, who first exposed the incident to the U.S. media by admitting that he was involved in burying the toxic material at Camp Carroll. In a later interview with the Korean press, however, he argued that the total amount of Agent Orange dumped is twice as much as what had been known. He said the USFK first buried about 250 55-gallon drums of the defoliant that had been stored in a warehouse, and then buried a similar number of drums brought from other parts of the country on 15 to 20 occas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 and the U.S. had conducted an operation to spray the toxic compound across an area near the DMZ - which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infiltration by the North Korean military - it is doubtful that illegal burying of Agent Orange took place in that camp alone.

The two countries’ agreement to confine the investigation to Camp Carroll may trigger further suspicion. They should be prepared for the possibility that the investigation will have to be extended to other U.S. bases. Whether the Korean military allowed the illicit dumping should also be investigated.

Dioxin, a main ingredient of Agent Orange, is a material with toxicity 10,000 times stronger than that of potassium cyanide, which is used in some suicides. If more than 100 tons of such a material has been buried only 650 meters (0.4 miles) away from a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for more than three decades, that’s utterly dire news. The only way to clear suspicion is to tell the truth through a complete investigation. Both allies must keep in mind that any effort to distort or cover up the truth will only exacerbate the situation.

고엽제 공동조사, 투명성·객관성이 열쇠다

주한미군이 1978년 경북 칠곡군 왜관읍 소재 미군기지인 캠프 캐럴에 다량의 고엽제를 매립했다는 의혹과 관련, 한·미 양국이 공동조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의 환경전문가와 정부 관계자·주민대표·시민사회단체 인사 등이 직접 캠프 안에 들어가 조사를 벌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주한 미군기지의 환경 오염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소극적인 자세를 보여왔던 미군 당국이 의혹이 제기된 지 사흘 만에 신속히 합동조사에 합의한 것은 그만큼 문제가 심각하다고 봤기 때문일 것이다. 한·미 양국은 투명성과 객관성이 보장된 철저한 조사를 통해 한 점 의혹도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한·미 관계의 동요를 막고, 파장을 최소화하는 지름길이다.

매립 작업에 직접 참여했다고 미 언론에 처음 폭로한 전 주한미군 스티븐 하우스씨에 따르면 캠프 캐럴에 매립된 고엽제의 양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배가 많은 100여t에 이른다고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주장했다. 기지 내 창고에 보관돼 있던 드럼통 250개 정도를 묻은 데 이어 15~20 차례에 걸쳐 다른 곳에서 실려온 비슷한 개수의 드럼통을 매립했다는 것이다. 1960년대 말 비무장지대 인근 북한군 예상 침투로에 한·미가 고엽제 살포 작전을 벌였던 사례가 있는 만큼 고엽제 불법 매립이 캠프 캐럴만의 문제였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미 양국이 조사 대상을 캠프 캐럴로 국한한다고 못박은 것은 꼬리 자르기 아니냐는 의혹을 낳을 수 있다. 조사 대상을 다른 미군기지로 확대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 또 경우에 따라 한국 군 당국의 묵인이나 방조 여부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본다.

고엽제의 주성분인 다이옥신은 치사율이 청산가리의 1만 배에 달하는 맹독성 물질이다. 이런 독극물 100여t이 30년 넘게 낙동강 수계에서 불과 650m 떨어진 곳에 묻혀 있었다는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는 보통 충격적인 일이 아니다. 의혹을 해소하는 최선의 방법은 철두철미한 조사를 통해 있는 그대로 진상을 밝히는 것이다. 축소나 왜곡, 은폐는 문제를 더 키울 뿐이라는 점을 한·미 양국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