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side of cyberspac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ark side of cyberspace



The police yesterday wrapped up its investigation into the suspicious death of Song Ji-seon, an MBC Sports Plus announcer who was found dead on Monday, after concluding that she committed suicide. But the fallout will likely linger because her death was a direct resul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dark side.

Before jumping from her 19th-floor apartment in southern Seoul, Song, 30, left a message on Twitter and Cyworld, a local SNS operator. On her Twitter page, she wrote that she never knew she could become a victim of netizens’ slander, saying she regretted her earlier posts and confessed her extreme depression over collective attacks.

In the smartphone and Internet age, we are not free from the allur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Cyworld’s Mini Homepage, to which Song subscribed, has more than 30 million members, and Twitter more than 2.2 million in Korea. When combining the clients of Facebook, MeToday, MypeopleNet and Kakao Talk, a whopping 85 percent of the Korean population u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But the problem is that while these services enable us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lmost limitlessly, they also have devilish implications - indiscriminate violence - as seen by malicious comments and acts of cyberstalking. Song, too, suffered from evil assaults that were duplicated over and over through cyberspace.

The main culprit in her suicide is, of course, netizens’ muckraking and personal attacks conducted under the cloak of anonymity. Netizens’ next target is reportedly Song’s boyfriend, who is a professional baseball player.

But they should not forget this: the digital world they enjoy always records traces of their presence, which could be called the curse of this “tell-all generation.” Netizens in the United States are known to be busy erasing all traces of themselves in cyberspace in order to deny companies access to sensitive information that might be uncovered during employment background checks. They should remember that their violent actions, whether committed willfully or not, will always come back to them some day.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worthwhile only when netizens know how to use them wisely. They can serve as an effective tool for promotional campaigns or for igniting the flames of revolution, as in Tunisia. But if one uses the instrument in a bad way, it suddenly turns into deadly poison. Netizens must follow an ethics code befitting their status as mature citizens in a high-tech world.

송지선 아나운서를 괴롭힌 SNS 폭력

경찰은 어제 송지선 MBC스포츠플러스 아나운서가 자살한 것으로 결론짓고 수사를 종결했다. 그러나 개운치 않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어두운 측면 때문이다. 송씨는 투신 직전 쓴 글에서 ‘미니홈피’와 ‘트위터’를 언급했다. 그는 트위터에 남긴 한 자 한 자에 깊은 후회를 나타내며 이것이 “먹잇감이 될 줄 몰랐다”고 했다. 또 ‘미니홈피’의 글도 해명하면서 “가슴이 쩡 깨질 것 같은 우울함”을 호소했다. SNS를 통한 집단 괴롭힘에 몸서리친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시대에 현대인은 SNS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송씨가 가입한 미니홈피는 회원이 3000만 명에 이른다. 트위터도 227만 명이다. 페이스북·미투데이·마이피플·카카오톡 등을 합치면 전 국민의 85%가 SNS를 활용한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이들 SNS가 ‘무제한 소통’이라는 밝은 면 외에 ‘무차별 폭력’이란 악마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악성 댓글과 사이버 스토킹이 대표적이다. 송씨도 자신이 남긴 글이 네티즌의 무한복제로 확산되면서 무차별 악성 댓글에 괴로워했다. 익명(匿名)과 다중(多衆)에 숨어 ‘신상 털기’와 인신 공격을 일삼는 네티즌들이 주범이다. 지금은 표적이 송씨와 인연이 있는 야구선수로 옮겨졌다고 한다. 정말이지 남의 일이 아니다.

네티즌들이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 디지털은 반드시 흔적을 남긴다. 바로 사이버 공간에 모든 것을 털어놓는 ‘텔올(Tell-All)세대’의 저주다. 최근 미국의 네티즌들은 과거의 디지털 흔적을 지우느라 쩔쩔맨다고 한다. 취업 때 기업들이 신상파악을 위해 관련 내용을 검색하기 때문이란다. 흔적 말소 대행업체까지 생겼지만, 완벽하지 않다고 한다. 무심코 저지른 SNS 폭력이 언젠가 부메랑처럼 자신에게 돌아와 비수로 꽂힌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지구촌을 거미줄처럼 연결한 SNS는 잘 쓰면 약이다. 기업의 홍보나 마케팅 도구로, 독재국가의 재스민 혁명 도화선으로, 돈 안 드는 선거운동으로 훌륭한 서비스다. 그러나 잘 못 쓰면 모두에게 독(毒)이 된다. 첨단 SNS시대에 걸맞은 성숙한 윤리의식이 시급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