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on needed on deb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ction needed on debt



Household debt has long been a ticking time bomb. Foreign analysts and the media warn of the potential danger. Quick action should be taken as household debt reached an all-time high of over 800 trillion won ($734 billion) as of March. It jeopardizes the economy.

Moody’s Investors Service warned that Korea’s fast-rising household debt is a risk that can place the bank sector in crisis. Foreign analysts demand Korea raise interest rates in order to contain consumer debt.

Monetary authorities have carried out four key rate hikes from July last year, raising the benchmark interest rate by 1 percentage point. But they failed to slow the rise in household debt. Banks, having little else to invest in, resort to easily collateralized mortgage financing.

Despite the raise in the benchmark interest rate, borrowing rates on mortgages remain at the 4 percent level. But many of the borrowers who bought homes at relatively cheap rates, nevertheless, can barely keep up with interest payment.

According to Hyundai Economic Research Institute, 39 percent of people that took out a mortgage are incapable of repaying the principal.

When left unattended, household debt could rock the entire economy if an economic slowdown or plunge in housing prices were to take place. For now, more than 80 percent of those who took out collateralized mortgage loans only pay interest, as they were taken out with a grace period.

Once the grace period ends, they would have to pay both the principal and interest - and the squeeze will likely further dampen overall consumption. The Bank of Korea would then hesitate in raising the interest rate, despite inflationary pressure.

We have seen catastrophic consequences of unrestrained household debt. Japan’s housing bubble and the United States’ subprime mortgage loan debacle both arose because authorities overlooked brewing dangers of household debt.

Monetary authorities should continue with a gradual tightening cycle to dampen ballooning household debt.

Financial authorities should also contain banks in their reckless consumer lending practice. Consumers should seek fixed-rate products as protection against a potential uptick in interest rates. Everyone should be on full alert and remain attentive to household debt before it threatens the economy.

가계부채 팽창에 쐐기 박을 때다

우리 경제의 최대 위협요인이 가계 부채라는 점은 오래 전부터 지적돼 왔다. 이제는 나라 바깥에서 더 걱정하는 지경이 됐다. 3월 말 기준으로 우리의 가계 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800조원을 돌파하자 여기저기서 경보음이 쏟아지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 회사인 무디스는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는 은행을 위기로 몰아갈 수 있는 위험요인”이라 지적했다. 해외 언론들도 일제히 “한국은 금리 인상을 통해 가계 부채를 억제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이후 기준금리가 네차례에 걸쳐 모두 1%포인트 올랐지만 가계부채 증가세는 여전하다. 은행들은 마땅히 돈을 굴릴 데가 없어 손쉬운 주택담보 대출에만 매달리고 있다. 이러다 보니 기준금리가 올라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대 후반에서 요지부동(搖之不動)이다. 하지만 대출받아 집을 장만한 상당수의 30~40대 가장들은 이미 이자 부담에 허리가 휘고 있다. 이른바 '하우스 푸어(House poor)' 신세로 전락한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자의 약 39%가 만기 연장 없이는 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상황이다.

가계부채의 악순환을 방치하면 경기 침체나 집값 폭락이 닥칠 경우 경제 전체가 치명상을 입게 된다. 또한 지금은 주택담보대출액의 80% 이상이 거치기간에 해당돼 이자만 내고 있지만, 거치기간이 끝나면 원금와 이자를 함께 갚아야 한다. 그만큼 상환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제는 한은조차 가계 부채발(發) 경제위기가 두려워 기준금리 인상까지 망설여야 할 지경이 됐다.

경제 위기의 뇌관은 미리 제거해야 부작용을 줄이는 길이다. 일본의 거품붕괴와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도 가계 빚을 소홀히 여기다 대재앙(大災殃)으로 이어졌지 않았는가. 이제라도 기준금리를 서서히 올리면서 가계부채 팽창에 쐐기를 박아야 한다. 금융감독 당국은 은행들의 가계대출 과열 경쟁에 제동을 걸어야 할 것이다. 지나치게 높은 비중의 변동금리형 대출을 고정금리형으로 강력히 유도해야 최소한의 안전판을 확보할 수 있다. 가계대출이 우리 경제의 악성종양으로 번지기 전에 서둘러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