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etitiveness is no Olympic event
Published: 30 May. 2011, 16:06
We all know that rankings themselves don’t mean much, and taking them too seriously can be a mistake. But this year, Korea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its history in the 2011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by Switzerland’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Korea ranked 22nd.
The list raises some obvious questions. Ireland and Iceland are ranked 24th and 31st, despite their profound financial crises. And are they really more competitive than Brazil, the leading emerging market, which sits in the 44th slot? Thailand is in the middle of serious political instability, but it’s ranked 27th, only one rung lower than Japan at 26. The United States and Hong Kong share the top honor. But are those two vastly different economies in any way comparable?
It’s generally unconvincing that small countries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s. Small countries tend to have simple industrial structures, and if a certain industry or company struggles, the entire economy is affected. Such was the case for Finland, where Nokia is in a slump. In 2005, Finland was at the top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ranking. Is it valid to adjust an entire country’s competitiveness because a single company is not doing that well?
Rating agencies and other organizations use different standards when they rank countries, and the results show it. The IMD ranking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ompetitiveness ranking by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which announces its list in the fall. Last year, Japan was ranked 27th by the IMD, but the WEF put it at sixth. Germany was 16th place in the IMD ranking but number five for the WEF. The IMD gave Hong Kong (along with the U.S.) its top slot. But the WEF rated it 11th. Depending on the standards and data, the result can be very different. The rankings are clearly affected by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statistics.
In fact, national competitiveness is not an economic term. It may sound important and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ublic, but it is not based on a concept with an academic pedigree. As the term is used frequently, we can easily get the mistaken idea that countries are in competition like companies.
-ellipsis-
무엇이든 랭킹을 매긴다면 점수를 잘 받고 볼 일이다. ‘순위는 별 의미 없다’고 말해도 상위에 든 뒤에 해야 통한다. 성적이 나쁠 때 하면 변명쯤으로 들린다. 국가경쟁력 순위라는 게 딱 그렇다.
이게 별 의미가 없다는 점, 자칫하면 엉뚱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성적이 안 좋을 때 그런 말 하기가 거북스러울 뿐이다. 그러나 이젠 따져볼 때가 됐다. 스위스 국제경영연구원(IMD)의 평가에서 22위라는 역대 최고성적을 받았으니 말이다.
우선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내용이 많다. 금융위기로 휘청한 아일랜드(24위)나 아이슬랜드(31위)가 신흥국의 대표주자인 브라질(44위)보다 경쟁력 있다고 봐야 하나. 일본(26위)의 경쟁력이 심각한 정정불안을 겪은 태국(27위)과 겨우 한끝 차이인가. 공동 1위를 차지한 미국과 홍콩이 도대체 같은 수준의 국가인가.
규모가 작은 국가의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오는 것도 미덥지 않다. 산업구조가 단순해 특정 업종이나 기업이 불황에 빠지면 온 나라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최근 부진을 겪고 있는 노키아의 핀랜드가 그렇다. 핀랜드의 경쟁력 순위는 2005년 1위였다. 한 기업이 경영을 잘못했다고 그 국가의 경쟁력이 함께 떨어지다는 게 납득이 되나.
평가기관마다 순위가 들쭉날쭉인 것도 문제다. IMD의 랭킹은 매년 가을 나오는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순위와 차이가 제법 난다. 지난해 일본은 IMD에게 27위를 받았지만, WEF 평가에선 6위에 올랐다. 독일은 IMD에서 16위였으나, WEF에선 5위였다. 또 IMD에서 2위로 호평받은 홍콩은 WEF에선 11위로 밀려났다. 어떤 수치를 잣대로 삼느냐에 따라 결과가 확 달라진 것이다. 통계의 자의성(恣意性)이 역력하다.
원래 국가경쟁력은 경제학 용어가 아니다. 그럴 듯하고, 대중적 관심을 끌지만 학문적 근거가 있는 개념은 아니다. 이 말을 습관적으로 쓰다 보면 국가를 기업처럼 서로 경쟁하는 관계로 오해하기 쉽다.
-중략-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