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s mistake with kung fu and panda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hina’s mistake with kung fu and panda



The Hollywood movie “Kung Fu Panda” is the story of Po, the son of a noodle shop owner, pursuing his dream of becoming a kung fu master, despite the fact that he’s an overweight panda. The 2008 film grossed more than $630 million worldwide and its sequel “Kung Fu Panda 2” has attracted more than 2 million people in the eight days since its release in Korea. The series takes place in China and is very popular there. In the first week, it earned 100 million yuan ($15.4 million) there, breaking China’s box office record for an opening weekend.

But on the other side there is a boycott. Some opinion makers are refusing to watch the movie to protest the “cultural invasion of Hollywood.”

“Kung Fu Panda” was boycotted three years ago as well, and the same person who organized the campaign is doing so again this time. Chinese artist Zhao Bandi has filed a lawsuit against DreamWorks to ban it. He argues that the film has stolen Chinese treasures, kung fu and the panda. Interestingly, Zhao himself made his name as an artist with depictions of pandas. The panda has been a central subject in his paintings, photographs, fashion shows and performances. He is even known by the nickname Panda Man.

The panda is a symbol of the “balinghou” generation - the post-1980s Chinese born after the one-child policy - because pandas generally give birth to only one offspring. The only child is often raised as a little emperor with the parents tending to be very generous.

It makes sense that Zhao chose the panda as his subject as a satire of the cultural trends in China and the growing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Ironically, Zhao’s critics think he is using the panda in a provocative way. He has been criticized for saying he was king of the panda world, and the pandas were his concubines. He has also been accompanied by “panda girls” in press conferences.

Zhao’s criticism of Hollywood is not very convincing. Most of all, moviegoers do not view the panda movies in a negative way. Hollywood created the series as a strategic choice - the first film coincided with the Beijing Olympics. And with martial arts movies made in Hong Kong having been popular around the world for so long, it is strange that China has looked over the great idea of the panda, a symbol of China, mastering kung fu, the most notable of Chinese martial arts. Maybe Zhao is jealous that Hollywood came up with the idea first and is making money accordingly.

*The writer is a culture and sport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 Sun-min

쿵푸팬더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쿵푸팬더'는 국수집 아들 팬더가 쿵푸의 달인이 되는 얘기다. 2008년 전세계적으로 6억3000만 달러(약 6700억원)의 수입을 올렸다. 최근 개봉한 '쿵푸팬더 2'도 한국에서 개봉 8일 만에 200만 관객을 넘겼다. 쿵푸와 팬더는 원래 중국 것. 중국에서도 장사는 잘 된다. 개봉 첫 주 1억 위안(약 166억원)을 벌어 오프닝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역풍(逆風)도 있다. 일부 지식인층에서 "할리우드의 문화침략"이라며 관람거부 운동을 벌인다고 한다.

3년 전에도 불매운동이 일어났다. 주동자도 같다. 베이징의 40대 아티스트 자오반디(趙半狹)다. 당시 '쿵푸팬더' 상영반대 소송을 냈다. "영화가 중국의 국보(國寶)인 쿵푸와 팬더를 훔쳐 악용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자오반디가 팬더로 '출세'한 사람이라는 사실이 이채롭다. 회화·사진·패션쇼·퍼포먼스 등 그가 해온 다양한 작업의 주인공이 팬더다. 사진 속에선 팬더가 사람과 말풍선으로 대화를 나눈다. 패션쇼에선 팬더의 흑백 이미지를 이용해 거지·경찰·레스비언·부패관료 등으로 분장한 모델들이 런웨이를 누빈다. 별명이 '팬더맨'인 그는 이런 작업으로 베니스 비엔날레에도 초청됐다.

팬더는 소위 '바링허우(八零後)세대'를 낳은 한자녀정책의 상징이기도 하다. 팬더가 보통 새끼를 1마리 낳기 때문이다. 외동자녀에게 부모가 돈을 펑펑 쓰는 풍조를 빗댄 '팬더현상'이라는 조어도 있다. 그러니 "중국사회의 빈부격차·부패 등 현실을 풍자한다"는 그가 팬더를 고른 건 그럴 듯 해보인다. 흥미로운 건 중국 내에서 자오반디에 대해 "팬더를 선정적으로 이용한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는 사실이다. "난 팬더세계의 왕이고 팬더들은 내 후궁"이라고 하거나, 기자회견에 '바니걸'을 연상시키는 '팬더걸'들을 동반하는 식의 돌출 언행 탓일까.

유감스럽게도 자오반디의 할리우드 비판은 설득력 있게 들리진 않는다. 무엇보다 '쿵푸팬더'가 쿵푸와 팬더를 악용하고 있다는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다. 할리우드가 '쿵푸팬더'를 만든 건 베이징 올림픽을 염두에 둔 전략적 선택이었다. 홍콩 무술영화의 저변이 할리우드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넓어졌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오히려 중국의 트레이드 마크인 팬더가 중국의 대표무술을 익힌다는 '국보급' 아이디어를 중국이 놓쳤다는 게 이상할 정도다. 혹시 재주는 팬더가 넘었는데 돈은 할리우드가 챙겨서 그러는 건 아닐까. 배가 아파서.

기선민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