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need market-friendly rates
The Bank of Korea upped the benchmark interest rate by a quarter percentage point to 3.25 percent last week, the fifth hike in the last 11 months. It did so despite a tapering off in economic growth. The central bank’s move appears necessary to rein in inflation and a surge in household debt.
The bank, which suggested more tightening moves in the second half, needs to be more pre-emptive next time, as the latest hike took place after the rise in consumer prices started easing in March. It must keep in tune with the market in its interest rate calculations to enhance predictability and credibility in monetary policy.
The BOK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percussions of its latest move. Consumer debt has topped 800 trillion won as of the end of last year. The resultant rise in borrowing costs due to the rate hike could trigger insolvencies in some households and throw cold water on the slowly-improving real estate market.
Mounting debt woes and a sluggish real estate industry could hurt the broader economy, with the market already sensitive to the sustained tightening.
So far, the monetary authorities have been criticized for keeping interest rates too low in order to please the government and help it reach its goal of economic growth of more than 5 percent. The low interest rates have also fanned debt-financed consumer spending.
But for a couple of months, the government has been wanting higher interest rates in order to tame inflation. The authorities must keep in mind that an overly fast tightening could be as perilous to the economy as excessive easing.
The Bank of Korea needs to drive its monetary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market and its expectations. The economy has suffered too much from authorized interest rates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mor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The corporate sector as well as consumers can invest and spend in ways that help the economy when monetary authorities direct interest rates in a predictable manner. In that way, the central bank could also keep excessive government meddling in interest rate policy at bay.
시장 친화적 금리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은행이 어제 기준금리를 연 3.25%로 올렸다. 지난해 7월 이후 5번째 금리 인상이다. 수그러들지 않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고려한 적절한 선택이라 판단된다.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월을 고비로 조금씩 하락하는 가운데 이뤄졌다는 점에서, 반 박자 늦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한은은 연말까지 한 두 차례 더 기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앞으로는 시장의 공감대가 형성되는 인상 적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시장 친화(親和)적인 금리 정책을 펼쳐야 경제 주체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이번에는 그 어느 때보다 금리 인상에 따른 부정적인 효과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가계 대출이 937조원을 넘어섰다. 금리 인상에 따라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면 가계 부채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 하향 안정 추세를 보이는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냉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부작용들이 현실화되면 자칫 경제 전체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5번의 금리 인상으로 시장이 금리 움직임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민감한 수준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그 동안 한은은 경제성장을 우선한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기준금리를 너무 낮게 유지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저금리가 가계 부채를 늘이고 거품을 부추긴 것도 사실이다. 올 들어 정반대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청와대와 정부가 ‘물가 안정’을 강조하면서 한은이 본격적으로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과도한 저금리가 위험한 만큼 금리를 너무 빨리, 너무 많이 올리는 과잉(過剩)대응도 위험하다.
이제는 인위적인 금리정책보다 시장 흐름에 맞춰 자연스럽게 금리를 조율해주길 기대한다. 이 땅의 경제주체들은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인위적인 금리·환율 정책이 얼마나 큰 부작용을 낳았는지 꿰뚫고 있다. 시장 친화적인 금리 조정을 통해 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통화당국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기업과 가계가 따라 움직인다. 그것이 한은 독립성과 금리정책의 효과를 높이는 길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