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reaucratic confusion on North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ureaucratic confusion on North



The South Korean Unification Ministry remained in the dark for five days after a group of North Korean defectors crossed the disputed West Sea border on Saturday seeking resettlement in the capitalist South. Unification Minister Hyun In-taek confessed during a parliamentary hearing on Wednesday that he only learned of their defection from news reports earlier that day.

It is shocking to learn how lax is the security and defense information network among the Blue House, the Defense Ministry, the Unification Ministry and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We can only question if the government is capable of reinforcing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carrying out a reliable North Korean policy.

The Unification Ministry explained that it could not have known of the defection unless the military, the intelligence agency and the police informed them because it is excluded from investiga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erms of their motives and plans.

But the excuse from a ministry that oversees policies over North Korean affairs and its excuse is embarrassingly lame. It cannot be excused for being oblivious to a group defection through Korean waters just because its officials did not attend the joint investigation. The defection of North Koreans is a serious issue that could influence relations with Pyongyang. The Unification Ministry should have been fully informed so that it could come up with an adequate response to Pyongyang when it demands negotiations or the repatriation of North Korean citizens.

The Unification Ministry only underscored its weak status in the government when it comes to North Korean affairs through its display of a passive and lazy attitude by blaming other organizations for keeping it in the dark. Upon confirmation of the defection, military authorities should have informed the ministry as soon as it reported the case to the president.

Poor sharing of intelligence on North Korean affairs has caused havoc before. If the Defense Ministry and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closely shared intelligence on North Korea, the deadly attacks on the warship Cheonan and Yeonpyeong Island could have been avoided.

Selfishness and power games among ministries have led to the hoarding of intelligence on North Korean affairs, jeopardizing the broad policy on North Korea and national security.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the lives of the people could be at stake without exact intelligence collection, sharing and study. The loopholes must be fixed immediately before they do real harm.

북 주민 귀순과 대북정보 공유 시스템의 난맥상

북한 주민들이 남하해 귀순 의사를 밝힌 지 닷새가 지나도록 대북정책의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까맣게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현인택 통일장관은 며칠 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답변에서 11일 북한 주민 9명이 귀순한 사실을 알고 있었느냐는 질문에 “오늘 뉴스를 보고 알았다”고 말했다. 귀를 의심케 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청와대, 국방부, 통일부, 국정원 등 대북정보 관련 부처간 정보 공유 시스템에 구멍이 뚫려도 단단히 뚫렸다. 과연 이런 상태로 국가안보를 튼튼히 하고, 대북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집행해 나갈 수 있을지 심히 걱정스럽다.

통일부는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 주민의 망명 동기와 배경 등을 조사하는 합동신문조에서 통일부가 빠져 있기 때문에 국방부나 국정원, 경찰 쪽에서 먼저 알려주지 않는 한 통일부는 알 수 없게 돼 있다고 발뺌하고 있다. 구차한 변명에 불과하다. 합동신문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귀순자 발생 사실을 모르는 핑계가 될 수는 없다. 북한 주민의 귀순은 남북한의 중대한 문제인 만큼 어떤 경우에도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북한의 송환 요청이나 관련 협상 등 통일부 차원의 후속 조치와 대응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타 부처에서 알려주지 않아 모른다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은 통일부 스스로 책임을 방기(放棄)하는 것이고, 대북정보 라인에서 ‘따돌림’ 당하고 있음을 시인하는 것이다. 귀순자가 넘어오면 즉시 1보가 청와대에 보고되는 동시에 통일부와도 정보가 공유되도록 했어야 한다.

대북정보 공유 시스템의 난맥상은 어제 오늘 문제가 아니다. 국방부와 국정원이 체계적이고 유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했더라면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를 막을 수도 있었을지 모른다는 지적도 있다. 대북정보를 둘러싸고 부처간 이기주의가 작동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대북정보의 수집과 공유, 정확한 분석은 국가의 안위는 물론, 국민의 생명과도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이다. 그럼에도 부처간 칸막이 탓에 귀순자 발생 사실조차 공유되지 않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다. 당장 잘못을 바로잡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